귀도 이마과이어, 『우선성 유명론』: 4장 - "술어 귀속과 퇴행: 어떤 측면에서 a는 F인가?" 요약 (2)
|
|
2
|
103
|
1월 3, 2025
|
귀도 이마과이어, 『우선성 유명론』: 4장 - "술어 귀속과 퇴행: 어떤 측면에서 a는 F인가?" 요약 (1)
|
|
2
|
142
|
1월 2, 2025
|
2024년 하반기 철학책 독서 결산
|
|
5
|
477
|
12월 28, 2024
|
낸시 프레이저, 「공론장의 초국적화」
|
|
2
|
419
|
12월 23, 2024
|
페미니즘이란? (스탠퍼드 철학 백과사전, ‘페미니즘 철학’)
|
|
0
|
243
|
12월 11, 2024
|
√-1이 발기기관이라는 라캉의 말을 읽어보자(1) - 허수와 무리수는 관련이 없는가?
|
|
0
|
302
|
12월 7, 2024
|
Somin, Ilya (2022), "The Promise and Peril of Epistocracy", Inquiry 65 (1): 27-34
|
|
4
|
169
|
12월 6, 2024
|
피터 싱어에게 있어서 삶의 의미
|
|
4
|
438
|
12월 2, 2024
|
마누엘 데란다, 『새로운 사회철학』–들뢰즈에 대한 사회학적 독해와 그 한계
|
|
3
|
389
|
11월 22, 2024
|
이데올로기란 무엇인가?
|
|
6
|
833
|
11월 21, 2024
|
애덤 스위프트, 『정치의 생각』, 5부ㅡ민주주의 요약
|
|
0
|
108
|
11월 20, 2024
|
아이리스 매리언 영, 『포용과 민주주의』 - 1장
|
|
4
|
349
|
11월 18, 2024
|
Ch. 3-4 of Gentile & Lucero, “On the Explanatory Power of Dispositional Realism”
|
|
0
|
73
|
11월 17, 2024
|
임마누엘 칸트, 『형이상학의 진보』 요약문 (3) [完]
|
|
1
|
198
|
11월 16, 2024
|
임마누엘 칸트, 『형이상학의 진보』 요약문 (2)
|
|
0
|
72
|
11월 15, 2024
|
임마누엘 칸트, 『형이상학의 진보』 요약문 (1)
|
|
0
|
216
|
11월 14, 2024
|
Ch. 1-2 of Gentile & Lucero, "On the Explanatory Power of Dispositional Realism"
|
|
0
|
113
|
11월 2, 2024
|
아이리스 매리언 영, 『포용과 민주주의』 - 2장
|
|
2
|
172
|
10월 29, 2024
|
마르틴 하이데거, 『언어의 본질에 대한 물음으로서의 논리학』
|
|
0
|
228
|
10월 28, 2024
|
Bryan Hall, 『The Post-Critical Kant』를 읽고 있습니다
|
|
0
|
222
|
10월 27, 2024
|
Capraru, Mihnea D. I. "A Counterexample to Variabilism", Analysis 76 (1), 26-29 (16)
|
|
3
|
144
|
10월 17, 2024
|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 1장
|
|
0
|
200
|
10월 15, 2024
|
Feldman & Conee - Internalism Defended
|
|
0
|
117
|
10월 13, 2024
|
Barry Smith의 데리다 비판 이후의 인터뷰
|
|
1
|
261
|
10월 6, 2024
|
이승종, 윤유석 『철학의 길』서평
|
|
0
|
369
|
9월 23, 2024
|
민주주의 이론과 심의적 전환
|
|
3
|
349
|
9월 5, 2024
|
『이론과 실재』 1~3장 요약
|
|
7
|
494
|
9월 4, 2024
|
학제적 패러다임으로서의 체계이론
|
|
0
|
324
|
8월 22, 2024
|
군주론 한줄?요약
|
|
3
|
506
|
8월 3, 2024
|
김경희 (2024), 독점적 지배의 극복으로서 마키아벨리의 공화주의
|
|
0
|
184
|
7월 18,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