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 1-2 of Gentile & Lucero, "On the Explanatory Power of Dispositional Realism"

[203]

Abstract.

  • 우선 필자는 저자 [Chakravartty]가 제시하는 존재자 실재론과 구조적 실재론 간의 진술된 통합 (purported synthesis)을 불편한 결혼으로 분석하고, 그렇게 생각할 근거를 제시한다.

  • 다음으로 인과, 자연 법칙, 자연종 개념 간의 의도된 통합의 특정한 논쟁적인 측면을 다룬다.

  • Chakravartty의 법칙 개념이 과학적 실재론자가 옹호할 수도 있는 설득적인 관점임을 지적한 뒤에, 반대로 Chakravartty의 실재론 framework에서 자연종 개념이 불필요하다고 주장한다.

Introduction. 과학 실재론과 반실재론의 논쟁에 있어:

  • 전자는 우리의 성숙한 과학의 최선의 이론이, 우리의 마음과 독립하여 존재하는 세계의 관측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특징에 대한 (거의) 참인 기술을 제시한다고 주장한다: "no miracle argument" (Maxwell, G., Smart, J. J. C., Putnam, H., Boyd, R., Kitcher, P., etc.)

=최선의 설명으로의 추론 형태의 논증;

[204]

  • 후자는 증거를 통한 이론의 underdetermination 명제, 특히 "비관적 메타-귀납" (Poincare, H., Laudan, L., etc.): 과학의 역사는 더 최근의 연구에 힘입어 거짓으로 드러난 이전의 성공적 이론들의 목록으로 가득하며, 우리의 현재의 최선의 이론이 (거의) 참이라고 볼 필요도, 그것들이 상정하는 대응되는 entity가 존재한다고 볼 이유도 없다.

한편:

  • No miracle argument에 대한 비판: 최선의 설명으로의 추론의 적절성 (legitimacy)을 의문시하거나; 참과 경험적 성공 간의 논증으로 상정된 관계를 의문시한다.

    • 이론의 예측적 성공에 대한 설명은 해당 이론 안에 있고, 참과 같은 다른 무엇에 의존하지 않아도 된다; 성공적 이론 T가 참이라는 주장은 T를 주장하는 것과 같으므로, 참 개념을 축소주의적 이론에서부터 적용하면 논증은 부적합하다 (inoperative).
  • 비관적 메타-귀납에 대한 공격: 통계적 분석에 따른 논증의 잘못된 특징을 지적하고, 중요한 답변을 제시하거나; 그것들이 거짓이라고 결론내릴 만큼이나, 이론이 그것들의 참을 증가시킨다고 결론내릴 귀납적 정초가 많아 보이므로 "실재론은 회의주의만큼이나 귀납적" (Leplin 1997, 45.)이라고 주장한다.

새로운 형태의 실재론: 이론적 변화의 과정 속에서 과거 이론의 특정 부분이 우리의 현 이론에 살아남아 있음을 보일 수 있다면, 비관적 메타-귀납의 결과를 벗어날 수 있다.

  • 존재자 실재론 (Hacking, I., Cartwright, N., etc.);
  • 구조적 실재론 (Worrall, J., Ladyman, J., French, S., etc.);
  • 부분 실재론 semirealism (Chakravartty, A. etc.)

Chakravartty에 의하면, 부분 실재론은 선택적 실재론selective realism의 한 형태이지만, 현대 과학적 실재론이 취해야 할 방향의 측면에서 더 유망하다.

  • 존재자 실재론과 구조적 실재론에 대한 비판 모두의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 세 개의 추가적인 장점을 지닌다:

    • 원래 과학적 지식의 완전히 양립 불가능한 관점으로 진행된 양자의 통합을 가능하게 한다;
    • 인과, 자연 법칙, 자연종이라는 세 형이상학적 개념의 통합된 그림을 제시한다;
    • 같은 현상에 대해 양립 불가능한 기술을 보여주는 모형의 일반적인 사용에 관한 회의주의적 문제에 답한다.

[205]

Unifying the Best of Two Worlds. 과학적 실재론은 선택적 형태로 발전되었다: 이 형태는 새로운 이론으로의 전환 속에서 보존되는 이론의 일부가 있다는 생각에 기초한다.

[206]

존재자 실재론: 관측 불가능한 존재자에 대한 믿음을 이론의 참에 대한 회의주의와 결부시킨다. 다른 것에서 어떤 효과를 산출하기 위해 존재자를 조작하는 것은 그것의 존재에 대한 commitment를 imply한다 (Hacking); "철학자는 대개 법칙을 믿고 원인(인과)을 거부하"지만, 법칙은 기만적이고, 원인이 설명적이다 (Cartwright).

=인과적 설명의 적절성이 인식되는 순간, 존재자 실재론은 자연스럽게 따라나온다; 이론의 참은 관측 불가한 상정된 존재자에 대한 믿음을 보증하지 못하지만, 원인(인과)의 존재는 이론적 존재자의 존재에 대한 우리의 믿음을 설명해낸다.

구조적 실재론: [207] 내용과 수학적 구조를 구분하여, 이론이 변할 때 내용은 실질적 변화(지시적 지속성의 돌연한 변화)하지만 수학 방정식은 영속적이다 (Worrall); 더 최근에는 인식적 구조적 실재론과 존재론적 구조적 실재론으로 발전했다.

  • 인식적: 우리가 본체의 (noumenal) 실재에 대해 알 수 있는 것은 사실 간의 구조적 관계뿐이다. (Weyl, H., Zahar, E.)

  • 존재론적: 구조만이 있기 때문에, 우리는 구조밖에 알 수 없다. (Ladyman, French)

Chakravartty는 상반되어 보이는 이 관점을 키워낸 직관이 통합될 수 있고, 그래야 한다고 주장한다.

성향 (disposition): 어떤 것이 특정 조건 하에 그것의 방식대로 움직이게 하는, 인과적으로 유관한 속성 (본질적으로 양상적 속성)

실재론자가 관심을 갖는 것은 그런 유관한 인과적 속성에 대한 지식이다: 그것이 우리에게 "특정한 방식으로 존재자를 탐지, 조작하고 다른 존재자와 상호작용하도록 사용"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2017, 107.)

성향적 실재론: "존재자 실재론과 구조적 실재론의 최선의 통찰"을 통합하는 개념적 프레임을 정교화하기 위해 구조적 실재론자가 관계에 부여하는 의미 (import)를 편입시킨다.

  • 단, 이 통합은 detection property와 auxiliary property 간의 인식적 구분에 기반한다:

"Detection properties는 겨우 탐지되는 인과적 속성이다; 탐지자의 일정한 행동에 인과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2007, 47.)

"[A]uxiliary properties는 이론의 특수자에 기인한 다른 추정되는 속성이다." (2007, 47.)

[208] Chakravartty는 이것이 과학의 발전에서 특정한 순간에 상대적임을 주목한다:

"auxiliary properties는 detection properties로 변환된다; 역으로, 우리는 특수한 관계 또는 detection properties를 제거하거나, 이전에 고려되지 않았던 다른 것을 제안할 수도 있다." (1998, 404.)

  • Detection properties가 나중에 버려지는 경우가 훨씬 문제적이라는 것만 짚고 넘어간다.

Chakravartty는 구조적 실재론의 구조 보존에 관한 인식적 낙관론을 구체적 구조에만 적용한다 (추상적 구조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 Newman's objection을 회피한다.

  • Newman's objection: 1928. (관측 불가능한 관계가 purely extensional characterization에 주어지면, Ramsey sentence는 사소하다: U에 충분한 원소가 있는 한, 관측 불가능한 domain U가 상정된 관계 집합을 갖지 못할 수 없기 때문이다.) 어떤 사물의 집합이 주어지면 그 집합의 크기(cardinality)와 양립 가능한 구조를 할당하는, 그 원소 간의 관계의 체계를 발견하는 것이 항상 가능하다.

  • 단순 cardinality는 같은 집합으로 예화될 수 있는 다수의 관계 체계가 있음을 imply한다.
    =그 구조를 예화하는 존재자를 가져야만 하는 구체적 관계의 본성을 구체화하지 않은 채 순수 형식적 구조를 논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구체적 구조를 "encode"하는 성향에 대한 상정은 실재론자가 이 반박을 회피하게 한다; 그러나 모든 구체적 구조가 중요한 것은 아니다.

Chakravartty에 의하면, 잘 확립된 탐지, 개입, 조작 등의 실천을 설명하는 데 본질적인 엄밀하게 필수적인 요소 - 방정식의 최소 해석 - 를 스스로에게 commit할 필요가 있다. (2007, 50.)

사실상 그는 탐지 속성과 유관한 구체적 구조의 특정이 단지 소급적 분석의 문제일 뿐이라면, 이는 그의 관점을 "정보적이지 않고 사소하게 만족되는 공허한 입장"으로 바꿀 것이라고 주장한다. (2007, 51-52.)

그러나 선험적 규준을 갖는 것은 "...사소함의 위협에 대한 해독제를 제공한다". (2007, 56.)

= [209] Chakravartty는 이전의 형태들을 보존하면서 그 너머로 가는 새로운 선택적 실재론 설명의 개요를 제시했다.

4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