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없이는 과학도 없다: 종교와 과학의 관계에 대한 또 하나의 이야기
|
|
7
|
1578
|
7월 28, 2023
|
누구의 종교이고, 어떤 현상학인가?: 20세기 종교현상학에 대한 비판과 대안
|
|
6
|
675
|
6월 29, 2023
|
서사 형식으로 된 이데올로기: 브루스 링컨의 『신화 이론화하기』에 대한 단상
|
|
0
|
418
|
6월 10, 2023
|
[이 책이 대단하다!] 전인성을 향하여: 이승종의 『동아시아 사유로부터』
|
|
2
|
771
|
6월 10, 2023
|
"신화를 다루는 최근의 주요 저술들 중에는 철학자가 쓴 것은 하나도 없다."
|
|
3
|
879
|
5월 30, 2023
|
종교현상학으로 가는 여행을 위한 가장 좋은 안내자: 제임스 콕스, 『종교현상학으로의 안내』
|
|
5
|
670
|
5월 17, 2023
|
그리스도교 신학자 하이데거?!
|
|
0
|
555
|
5월 5, 2023
|
칭의론: 그리스도교의 정의론
|
|
5
|
889
|
3월 20, 2023
|
철학과 성서: 야스퍼스, 레비나스, 리쾨르
|
|
1
|
697
|
3월 3, 2023
|
악의 상징 해석과 희망의 신학: 리쾨르의 방법론적 해석학
|
|
0
|
924
|
2월 10, 2023
|
나자렛의 몽키스패너: 예수 조폭설에 대하여
|
|
0
|
2661
|
1월 23, 2023
|
모든 문제를 종교적 관점에서 보지 않을 수 없다: 비트겐슈타인의 종교관에 대한 단상
|
|
2
|
1694
|
12월 5, 2022
|
고아의 아버지 제우스 썰: 도대체 학술적 근거가 있는가?
|
|
0
|
3077
|
9월 30, 2022
|
이신건의 『어린이 신학』에 대한 단상
|
|
2
|
799
|
9월 6, 2022
|
약속으로서의 사랑: 언약신학을 통해 바라본 그리스도교적 사랑 개념
|
|
2
|
625
|
7월 9, 2022
|
[오늘의 신학 특강] 키르케고르: 사상과 주요 개념(2)
|
|
0
|
497
|
2월 17, 2022
|
[오늘의 신학 특강] 키르케고르: 사상과 주요 개념(1)
|
|
1
|
749
|
2월 17, 2022
|
신앙은 철학에게 무엇을 말해주었는가?: 키르케고르의 기독교 강화 네 편에 대한 철학적 해설
|
|
1
|
2450
|
2월 15, 2022
|
[영상] 키에르케고어는 누구인가? (3)
|
|
0
|
842
|
12월 21, 2021
|
[영상] 키에르케고어는 누구인가? (2)
|
|
0
|
539
|
11월 29, 2021
|
[영상] 철학은 신과 종교에 대한 나의 생각을 어떻게 바꿨는가? (with 랜선교회 오승원, 유한철학회사 윤유석, 로고스서원 김희림)
|
|
0
|
1292
|
11월 15, 2021
|
[영상] 키에르케고어는 누구인가?
|
|
0
|
772
|
11월 11, 2021
|
[퍼온 글] 알빈 플란팅가, 「그리스도인 철학자들에게 드리는 고언」
|
|
4
|
1542
|
1월 26, 2021
|
어떠한 종교를 믿는지는 정말 중요하지 않은 문제인가?: 틸리히의 설교에 대한 비판
|
|
3
|
1525
|
12월 21, 2020
|
헤겔과 하나님 나라의 신학
|
|
2
|
1901
|
12월 18, 2020
|
『대승기신론』에 대한 사견
|
|
1
|
1134
|
11월 20, 2020
|
'묵경'의 중요성 2 : 해명과 대답
|
|
2
|
1451
|
10월 11, 2020
|
틸리히 전기 종교철학
|
|
2
|
988
|
6월 19, 2020
|
에버하르트 융엘의 종교적 신학적 언어론
|
|
4
|
1280
|
6월 19, 2020
|
불교에 대한 개략적 설명
|
|
5
|
1593
|
6월 15, 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