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 야스퍼스
"서양 철학에 있어서 철학의 내용은 그 역사적 근원을 희랍적인 사고방식뿐 아니라 성서적 사고방식도 두고 있다. 계시 자체를 믿을 수 없는 사람이라도 성서적 근원을 습득할 수 있고 계시 없이도 인간으로서 성서의 진리를 꿰뚫어 볼 수 있다. 성서의 연구는 사실상 오늘날까지 서양의 철학 사상의 기반이었다. 성서는 어느 한 종파나 한 종교에만 속하는 것이 아니고 모든 종파, 모든 종교에 속하는 것이다."(카알 야스퍼스, 『철학적 신앙』, 신옥희 옮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79, 44쪽.)
"니체에 이르기까지, 그리고 니체를 포함해서, 어떠한 위대한 철학자도 성경에 대한 철저한 지식 없이는 철학적 사유를 수행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서양철학은 숨길 수가 없다."(카알 야스퍼스, 『철학적 신앙』, 109쪽[번역 수정]. / K. Jaspers, The Perennial Scope of Philosophy, R. P. Mannheim (trans.),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50, p. 109.)
에마뉘엘 레비나스
"성서는 사람의 삶이 의미를 갖기 위해 꼭 이야기되어야 할 제일 중요한 것들이 들어 있는 책이요, 뿐만 아니라 다양한 주석을 통해 그 심오함이 드러나도록 개방된 형태의 이야기책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한 마디로 말해 성서는 책 중의 책이다. 성서에 들어 있는 풍부한 윤리성 그리고 신비할 정도로 다양한 주석의 가능성, 나한테 초월이란 바로 그런 것이었다. 역시 그렇다. 풍요로운 해석을 엿보고 느끼는 것은 과연 종교요 제의라고 할 만하다. 한편 큰 철학가들이 쓴 책을 읽고 해석하면서 내게는 철학이 성서와 반대라기보다는 성서에 가깝게 보였다. 성서의 주제들이 구체성을 띤 반면 철학책은 그렇지 못한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말이다. 처음부터 나는 철학이 무신론이라는 인상을 받지 않았으며,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철학의 글귀 몇 줄이 하나님을 증명할 수 없듯이, 철학자가 아무리 비슷한 은유를 동원해서 하나님을 표현한다 해도 성령은 그 너머에서 역사하신다."(엠마누엘 레비나스, 『윤리와 무한』, 양명수 옮김, 다산글방, 2000, 28쪽.)
"그러나 어디에도 비교할 수 없는 예언자 정신의 책은 책 중의 책인 성서라고 나는 확신한다. 세상의 모든 문자는 그것을 기다렸다고 주석했다. 성서는 초자연스럽고 성스러운 기원의 이야기, 교리로 얼룩진 그런 이야기로 말하지 않는다. 내용과 위치를 갖기 이전에 성서는 다른 사람의 얼굴을 드러내며 말한다. 그 표현은 우리의 일상생활에 대한 관심사가 강력한 만큼이나 강하다. 성서는 오랜 세월 동안 사람들이 읽으며 깨우친 것과 주석한 것들 그 모든 것을 통하여 말한다. 성서는 '무거운 단절을 명한다.' 거기서 우리의 현존재(Dasein) 의식은 의문에 부쳐진다. 성서의 거룩성은 거기에 있다. 성스러운 의식에 있지 않다. 만일 성서의 이 위기의 바람을 법규라고 부를 수 있다면 그것은 유일한 법규요, '아름다운 영혼'이라는 꿈 같은 법규로도 바꿀 수 없는 것이다. 역사는 자꾸 매듭을 지으려고 하지만 그 위기의 바람, 또는 성령은 자꾸 불어 흩는다."(엠마누엘 레비나스, 『윤리와 무한』, 152-153쪽.)
폴 리쾨르
"오늘날 예수의 비유들에 대하여 설교한다는 것──또는 이 비유들을 설교한다는 것──은 실로 내기를 거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 내기란 모든 반대적인 논증에도 불구하고 예수의 비유를 듣고 우리가 다시 한 번 놀라고, 감동을 받으며, 갱신되고,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내기로 인하여 나는 이 비유들을 다른 텍스트 중의 하나처럼 단지 학문적인 방식으로 연구하지 않고 그것들을 설교하려고 하는 것이다."(폴 리쾨르, 「예수의 비유 듣기」, 『해석학과 인문사회과학』, 존 톰슨 편집, 윤철호 옮김, 서광사, 2013, 549-550쪽.)
기독교인 가슴이 웅장해지게(?) 만드는 구절들이네요. 야스퍼스의 책을 읽다가 올려 보았습니다. 제가 기독교인이라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확실히 성서는 안일한 사고에 어떤 '충격'을 주는 이야기들을 많이 담고 있다고 생각해요.
널리 알려진 예수의 비유 중에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만 봐도 그렇죠. 당대 유대 사회에서 '사마리아인'이란 유대인들에게는 종교적으로나 인종적으로 '더러운 피' 혹은 '잡종' 같은 부류의 사람들이었거든요. 그래서, 이런 사마리아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스스로 '선택받은 민족'이라고 자부하던 유대교 제사장과 레위인을 비판하는 예수의 이야기는 당대 사회에서는 굉장히 도전적이었죠.
바로 이런 점들에서, 레비나스가 이야기하는 것처럼, 성서의 이야기는 우리에게 "무거운 단절"을 명하면서 "우리의 현존재를 의문에 부치는" 힘이 있다고 생각해요. (물론, 레비나스는 유대인이어서 예수의 비유보다는 히브리 성서를 염두에 두었겠지만요.)
그리고 성서 이야기가 이렇듯 단순히 '교리'나 '교훈'으로 나누어 떨어지지 않는, 훨씬 더 복잡한 문제 상황과 고민을 담아 우리에게 '충격'을 주고자 한다는 점에서, 이 이야기가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만큼 손쉽게 읽히고 이해될 수 있는 건 아니라고 생각해요. 예일대학교 교수 크리스틴 헤이즈가 구약성서 입문 강의 첫 시간에 했던 이야기도 올려봅니다.
"세 번째로, 성서는 어린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나에게는 12살 된 아이와 8살 된 아이가 있다. 나는 이 아이들에게 성서를 읽게 하지 않을 것이다. 나는 이들에게 성서를 읽게 하지 않을 것이다. '어린이들을 위한 성서 이야기' 책이라는 것은 나에게 충격적이다. 그러한 것들은 나에게 정말로 충격적이다. 성서는 어린이들에게 적합하지 않다. 성서 속의 주제들은 매우 성숙한 것이며, 특별히 내러티브 텍스트들이 그렇다. 거기에는 배반과 근친상간과 살인과 강간의 에피소드들이 있다. 또한 성서는 순진한 낙관주의자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성서는 직설적인 책이다. 성서는 삶이 열정과 기쁨으로 가득차 있는 만큼 고통과 갈등도 있다는 것을 인정할 만큼 충분히 용기 있는 사람들을 향해 말을 건다. 성서는 또한 다른 의미에서도 어린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다. 다른 문학 걸작들처럼, 성서는 구조와 스타일과 주제의 예술적 기교와 은유에 있어서 복잡성으로 특징지어지며, 내가 믿기로는, 어른 독자들에게도 꽤 종종 제대로 이해되지 못하고 있다. 성서는 독자가 활동하도록 만든다. 성서는 훈계하지 않으며, 좀처럼, 좀처럼 훈계하지 않는다. 성서는 도덕적인 이슈들과 상황들을 탐구하며, 사람들을 도덕적 이슈들과 상황들로 밀어 넣는다. 결론은 독자에 의해서 끌어내져야 한다. 성서에는 모든 종류의 패러독스와 미묘한 언어유희들과 아이러니들이 있으며, 앞으로 여러분들이 세밀한 독서 활동을 많이 하게 될 섹션들에서는, 여러분들의 관심을 끌게 될 몇 가지 것들이 있기도 하다. 여러분들은 정말로 그 내용들을 앞으로 기대하게 될 것이다." (Christine Hayes, INTRODUCTION TO THE OLD TESTAMENT in Open Yale Courses, Lecture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