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종교철학' 카테고리의 설명
|
|
0
|
490
|
5월 4, 2020
|
|
악마는 뭘 자꾸 읽는다: 니체, 데리다, 기독교
|
|
3
|
361
|
10월 19, 2025
|
|
개신교 철학자로서 후설: 후설의 현상학 속 종교적 동기에 대한 단상
|
|
1
|
368
|
10월 18, 2025
|
|
바티모에 관한 몇몇 일화
|
|
1
|
253
|
9월 19, 2025
|
|
키르케고르의 ⟪죽음에 이르는 병⟫ 출판 텀블벅 프로젝트를 진행하네요
|
|
0
|
228
|
9월 17, 2025
|
|
철학과 신약성서신학: 사도 바울 해석에 대한 단상
|
|
3
|
465
|
9월 8, 2025
|
|
[신간] 크리스토퍼 왓킨, 『성경적 비판 이론』
|
|
0
|
233
|
9월 3, 2025
|
|
[서평] 파리에서 무슨 선한 것이 날 수 있느냐?: 제임스 k. a. 스미스『누가 포스트모더니즘을 두려워하는가?』
|
|
1
|
372
|
6월 30, 2025
|
|
[신간] 이승종, 『구도자의 일기』
|
|
0
|
336
|
4월 27, 2025
|
|
[신간] 마르틴 부버, 『신의 일식』
|
|
0
|
236
|
4월 12, 2025
|
|
경험주의적 과학철학자가 말하는 신과 종교: 반 프라센의 『경험적 입장』
|
|
0
|
349
|
1월 9, 2025
|
|
칸트 vs. 슐라이어마허 vs. 헤겔: 기독교의 본질 논쟁
|
|
1
|
329
|
12월 12, 2024
|
|
나의 사랑하는 책 비록 헤어졌으나 - 찬송가199장에 대한 급진신학적 재구성
|
|
9
|
717
|
12월 2, 2024
|
|
[서평] 누구의 종교이고, 어떤 신인가?: 존 카푸토의 『포스트모던 해석학』
|
|
0
|
341
|
11월 5, 2024
|
|
도스토옙스키 연구서 목록
|
|
2
|
472
|
10월 6, 2024
|
|
[신간] 『바울과 철학의 거장들: 그리스-로마 맥락에서 바울 읽기』
|
|
1
|
636
|
9월 30, 2024
|
|
우리 시대 유럽 대륙의 종교철학자들
|
|
1
|
476
|
9월 25, 2024
|
|
종교적 의사소통의 해석학으로서 기독론 -비테킨트의 종교적 의사소통의 이론을 중심으로 (2)
|
|
3
|
265
|
9월 21, 2024
|
|
종교적 의사소통의 해석학으로서 기독론 -비테킨트의 종교적 의사소통의 이론을 중심으로 (1)
|
|
2
|
265
|
9월 20, 2024
|
|
종교적 의사소통의 해석학으로서 기독론 -비테킨트의 종교적 의사소통의 이론을 중심으로- (3)
|
|
0
|
110
|
9월 19, 2024
|
|
"하나님은 아마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니 근심을 멈추고 당신의 삶을 즐기십시오"?
|
|
3
|
958
|
9월 11, 2024
|
|
예수는 비도덕적이고 다혈질적이다?!: 러셀, 도올, 어만, 진규선 비판
|
|
2
|
871
|
8월 11, 2024
|
|
『기독교 신학 1』, 1부 1장, 요약
|
|
1
|
435
|
7월 18, 2024
|
|
[공모] 제4회 ‘온 세상을 위한 신학과 영성’ 연구자 공모
|
|
0
|
298
|
6월 20, 2024
|
|
Dvedhavitakka Sutta: Two Sorts of Thinking
|
|
4
|
330
|
6월 19, 2024
|
|
서구 유신론을 바탕으로 한 악의 문제(the problem of evil) 에 대한 짧은 단상
|
|
7
|
1340
|
6월 7, 2024
|
|
키에르케고르에 대한 통념
|
|
2
|
552
|
5월 20, 2024
|
|
현상학과 종교현상학: 신호재, 『미르치아 엘리아데의 『성과 속』 읽기』
|
|
1
|
602
|
4월 17, 2024
|
|
비트겐슈타인은 왜 그리스도의 부활을 믿고자 하는가?
|
|
0
|
842
|
3월 31, 2024
|
|
그리스도교 철학자 하이데거?!
|
|
16
|
2341
|
3월 25,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