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질문의 연장선상에 있습니다. 같은 질문이지만, 서강올빼미 내에서의 카테고리 분류가 잘 작동하도록, 서로 상이한 주제를 갖는 질문을 나누게 되었습니다. 죄송합니다
지금까지 키에르케고르를 공부하며 생각한 점이 과연 옳은 방향인지, 또 서강올빼미 회원분들의 생각을 여쭙고 싶습니다!
키에르케고르의 철학(사상)에서 "용어"는 상당히 많은 오해를 불러 일으키는 부분인것 같습니다.
가령, 저는 얼마 전 까지만 하더라도, 키에르케고르 내에서
"주관적", "나에게 진리인 진리" 등을 통해 키에르케고르를 "주관주의자, 또는 상대주의자라고 생각했으며,
"객관적 진리", 그리고 "부조리"와 "절대적 역설을 각각 "마음과 독립적인 의미", "논리적으로 모순된것" 쯤으로 생각했었습니다.
-
하지만 키에르케고르가 쇼펜하우어 (정확하진 않지만, 아들러까지도.) 등의 여러 사상가들을 비판할때, 오히려 키에르케고르가 비모순율을 인정하고, 이에 입각하여 비판을 전개해나감에 있어서 논리적 일관성의 부족을 근거로 삼는단 생각이 듭니다.
그럼에도 키에르케고르는 "기독교", 즉 신에대해서는 이러한 비판을 하지 않습니다. 단지 책에 입각하여 해석하기로는, "논리적 모순을 포함하는 비합리적인 믿음"과 "이성보다 높은 진리"를 명확히 구분하는것 같습니다. 또한 전적으로 저의 독해법에 있어서는 키에르케고르가 의도한 "부조리"란 후자에 가깝습니다..
그렇다면 과연 키에르케고르에게 있어서 믿음이란 과연 어떤 의미를 갖는지 불분명합니다.. 비합리적인 믿음과 이성보다 높은 진리를 구분한다면, 정말로 나의 믿음은, 완전히 합리적이지 않은것인지 헷갈립니다.
즉, 믿음이 증명가능한것인지, 전적으로 의지에 의존하는 것인지에 대한 딜레마는 어떻게 해석해야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
어쩌면 첫번째 질문에 있어서 해답이 될지도 모르겠지만,
저는 키에르케고르의 "믿음의 도약, 신앙의 도약" 에서 임의적이거나, 상대주의적이거나, 의지에 의존한 해명은 옳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키에르케고르의 도약은 개인과 신적 권위 (또는 그러한 현상)과 마주함으로 이뤄집니다. (성경, 성령의 증거, 예수 그리스도 등등요..) 특히 키에르케고르가 그리스도와 동시대성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의 의미가 바로 이것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성은 우리의 현상과의 관계를 불확정적으로 남겨두지만, 의지는 임의적으로 약동하지는 않습니다.
믿음의 도약은 신의 사랑을 받아드리는 이에게 그의 초이성적 인식이 비추어질때 발생합니다. 즉, 도약이라는 개념에 있어서 제가 지금까지 접해온 여러 키에르케고르 해설이 의지에 너무나도 큰 비중을 두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계시 사실 자체가 이성적으로 증명될수 없다는 점에서, 키에르케고르는 역설적이란 수사를 사용한것 같습니다. -
그렇다면 키에르케고르는 종교 상대주의자인가요?
종교적 실존에서 종교성 A (자기 심화의 일환), 종교성 B (역설적 종교성)을 구분하고 후자의 중요성을 천명한것을 생각해본다면 그의 논리에서 모든 종교를 동등하게 유효하게 보는것은 결코 무리가 아닙니다. 물론 안티클리마쿠스가 그리스도를 부정하는것, 자신이 주장한 존재가 아니라는것은 죄의 최고 강화라고 부르지만, 그부분은 과연 왜 그러한지 궁금합니다!
제가 철학에 대해서 다른 사람에게 질문을 함이 처음이라 매우 두서 없는 글이고, 가독성도 낮으며, 주제도 불투명합니다, 그럼에도 이 글을 읽어주신것이 너무 감사합니다!!!!!!
실례가 안된다면 여기에서 답변주신 내용을 학교 보고서에 참고해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