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주위를 보면, 불교에 대해서 흥미를 가지시는 분이 꽤 있어보입니다. 허나 어디서부터 접근해야할지 어려워하고, 그럼에도 불교에 대한 전체적인 아웃라인을 그려주는 책이 전무(…)한 상황에서 미력하게나마, 글을 하나 남깁니다.
(0) 이 글은 불교의 사상을 다룹니다. (달리 말해, 개별적인 신앙의 대상/신격, 미술, 교단, 정치-사회사 등의 문제를 여기서 다루지 않습니다.) 다만, 지역적 범위는 그 어떤 책보다 넓을 예정입니다. 인도 - 중앙아시아 - 동북아 - 동남아 - 티베트 모두 다루겠습니다.
(1) 들어가기 앞서 알아두면 유용한 사항들.
a) 흔히 불교 문화권은 네 가지로 나누어집니다. 1. 인도 산스크리트어 문화권. 2. 동북아 한문 - 대승불교 문화권. 3. 티베트 - 탄트라 불교 문화권. 4. 동남아 상좌부 문화권. 다만 이 분류는 편의상의 분류라서, 문제가 좀 있습니다. 예컨대, 동북아에도 탄트라 불교는 있고, 동남아는 단일한 상좌부 문화권이 아닌 것 등등.
하지만 이 문화권 분류라 유용한 것은 바로 '사상의 기반이 되는 언어’를 기준으로 구분되었다는 점입니다. 동북아 문화권에서는 한문으로, 티베트에서는 티베트어로, 동남아에서는 (12세기쯤부터) 팔리어로 된 경전을 바탕으로 공부하고, 논쟁을 펼쳤습니다.
b) 수행과 사상, 종파와 학파는 다릅니다. 예컨대, 선은 수행법입니다. 그래서 선종에서도, 천태종에서도 선 수행법을 할 수 있습니다. 한편, 공 사상은 사상입니다. 선종에서도, 삼론종에서도 주장할 수 있습니다.
종파와 학파의 구분은 좀 미묘한 문제입니다. 여튼, 종파의 구분이 반드시 학파적 구분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그저 종파가 다른 이유는 학파적 대립이 아닌, 규율상의 문제가, 단순히 내분(…)때문 일수도 있습니다.
(I) 석가모니 ; 석가모니가 사성제, 팔정도, 무아와 연기를 제시했다는 건 대충 다 알겁니다. 근데 이 석가모니가 탄생한 배경에 대해서, 알려주는 책이 드뭅니다.
석가모니는, 당대 의례 위주의 힌두교에 대한 반발로 출현한 일련의 개혁론자 중 한 명입니다. 이 중 일부는 힌두교 우파니샤드로 남았고, 나머지는 '육사외도’라고 불리면서 비-힌두교/비-전통파로 남아있습니다.
이 중 석가모니만큼 중요한 학파는 자이나교와 차르바카/아지위카입니다. 이 둘은 나머지 외도들이 다 망했을 때도, 불교와 함께 큰 그룹을 이루었습니다. 간략하게 말하면 차르바카는 유물론자들입니다. 세상은 원자로 이루어져있고, 이 원자는 경험을 통해서 알 수 있습니다. 차르바카는 이것 이외의 모든 관념 - 추론되는 지식은 실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반대로 자이나교는 일종의 극단적 상대주의자들입니다. 이들은 A와 ~A가 동시에 진리라고 말합니다. 왜냐하면 깨닫지 못한 자의 지식은 모두 세상의 부분만을 알려주기 때문에, 모두 옳다는 (동시에 그르다는) 것입니다.
[이들에 대한 연구는 90년대를 기점으로 영미권 학계에 본격화되었습니다. 특히 인도 본토에 남은 자이나교 도서관들을 연구하는게 계기였는데, 여전히 자이나교와 차르바카에 대한 연구는 불교와 힌두교 연구에 비해서 굉장히 드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은 Oxford Handbook of Indian Philosophy에 자세하게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이 때의 경전은 팔리 니카야와 한역 아함경이 있습니다.
(II) 부파 불교/아비달마 불교 ; 이제 석가모니 사후 교단이 분열됩니다. 왜? 석가모니가 남긴 견해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견해 차이가 발생해서 그렇습니다. 그렇다면 무슨 견해의 차이일까요?
불교에서 가장 중요한 이론은 다른 무엇도 아닌, 이제설(Two Truth Theory)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있습니다. 석가모니는 우리가 경험하는 '세속적 세상/현상적 세상’이 ‘진리’(제가 진실이나 실체라는 표현을 쓰지 않은 걸, 명심해주시길 바랍니다)가 아니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리고 이 현상적 세계를 드러나게 해주는 더 근본적인 것인 '진리의 세계’에 대해서 별 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다보니, 아비달마 불교는 이 현상적 세계를 이루는 가장 ‘기본 단위’[다르마/법]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심각하게 고민했습니다. 여기서 '기본 단위’라고 표현한 이유는, 이게 단순히 물질적 존재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물질적 존재(원자)는 물론, 마음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 언어의 가장 작은 개념적 단위까지도, 여기 다르마에 포함됩니다.
여튼 아비달마의 각 학파들은 무엇이 다르마이고, 무엇이 아닌지에 대해서 서로 의견이 갈립니다. 그래도 여하튼 무언가 최소 단위가 있다는데는 모두들 동의하죠.
이 부파불교에 속하는 종파-학파로는 상좌부, 설일체유부, 경량부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들은 니카야/아함경을 바탕으로 정리한 논장이라는 이론서들과 각각의 계율서들을 가지고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