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제가 짧게 남긴 글에 많은 반응을 보여주셔서 기쁘네요!!! (하...관종의 삶이란....) 그렇지만 워낙 휘리릭 쓴 글이라서 제 논지가 제대로 전달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겸사겸사 묵가에 대한 기본 정보도 정리할 겸, 이 글을 작성합니다.
(1) <묵자>의 구성.
<묵자>란 우리에게 유일하게 남은 묵가의 텍스트입니다. 다만 슬플 필요는 없는게, 제자백가 텍스트 중에서 가장 분량이 많고 오탈자와 착간이 많기로 악명이 높은 텍스트이기 때문입니다. 우선 간단히 텍스트의 구성을 살펴보겠습니다.
(I) 입문 에세이 : 친사/수신/소염/법의/칠환/사과/삼변 - 총 7편. 상대적으로 짧은 분량이고, 당대 제자백가들이 모두 공유하던 수양법, 치국법 등이 담긴 에세이입니다. 아마 시기적으로 가장 나중에 쓰였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II) 묵가 십사 : 상현/상동/겸애/비공/절용/절장/천지/명귀/비악/비명 - 상중하편 - 총 30편(이어야하나, 결락된 편도 있다. 그래서 현재 23편 현존.) 이제 여기가 묵가의 핵심 명제 10개를 해설한 코어 파트입니다. 다만 여기는 같은 제목과 유사한 내용을 가진 상중하 세 가지 편이 전해지고 있습니다. (다만 유사하다고 해도, 결정적인 부분에서 내용이 다른 부분이 꽤 있습니다.)
왜 텍스트가 상중하로 구분되어서 내려오는가? 이 부분을 해석하기 위해 여러 가지 설이 나왔습니다만, 이건 묵가와 후기 묵가 파트에서 다루겠습니다.
(II -1) 묵가 십사 부록 : 비유 - 2편(이어야하나, 상편 결락. 그래서 총 1편 현존) 말 그대로 유가에 대한 비판입니다.
(III) 묵경 혹은 묵변 : 경/경설 상하 - 대취와 소취 - 총 6편. 묵가의 논리학적/인식론적 기술들과 여러 철학적 용어들을 정의하고 그에 대한 해설을 한 사전 파트입니다.
(IV) 묵자 어록 : 경주-귀의-공맹-노문-공수-결번 - 총 6편(중 5편 남음)
(V) 병법서 : 총 21편(중 11편 남음)
(2) 그렇다면 (전기) 묵가와 후기 묵가는 무엇이고, 그 차이는 무엇인가?
전기 묵가와 후기 묵가를 말할 때, 두 가지 구분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묵가의 분열 이후를 후기 묵가로 보는 것입니다.
우선 묵가의 분열에 대해서는 <한비자>의 [현학]에 언급되어 있습니다. 묵자의 사후, 총 세 부류로 나뉘었고, 각각 "상리씨", "상부씨", "등릉씨"라고 되어있습니다. 문제는 도대체 이들이 누구인지 특정하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그럼에도 우리는 이 분화에 대한 말이 어느정도 사실임을 인지할 수 있는 구절이 있습니다. <맹자>에서 묵가로 나오는 이지는 묵가의 주장은 '박장'(절장), 즉 검소한 장례를 치루지 않고 사치스러운 장례를 치루었기에, 맹자에게 묵가의 교리에서 어긋난다고 비판받습니다. 이에 대해 이지는 우리는 마땅히 모두를 사랑해야하지만, 그 시작은 부모로부터 해도 된다는, 유가와 절충된 입장으로 자신을 옹호합니다.
이와 같은 사실을 고려할 때, 그레이엄은 묵가십사가 각각 상중하인 이유가, 분화된 세 학파의 각자 다른 문헌들이 상중하로 나뉘어서 남겨졌다는 견해를 제시합니다. 다만 현재에 와서는 그닥 옹호되지 않는데, 이 실체를 불분명하기 때문이고, 과연 상편마다(혹은 중편/하편마다) 하나의 일관된 사상을 가진 것인지 의심스럽기 때문입니다. 오늘날 학자들은 이질적인 묵가 학파 그룹이 여러 시기에 걸쳐서 만든 텍스트들을 상중하로 나누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두번째는 묵자에서 다른 부분들과 확연히 구분되는, 논리학적/인식론적/언어철학적 부분이 담긴 '묵변' 파트를 기존 윤리학적/정치학적 주장을 하는 묵가와 구분해서 후기 묵가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보이다시피, 두 구분은 차이가 있으며, 두 구분 사이에 관계가 무엇인지는 굉장히 불명료합니다. 허나 현재 학계에서는 보통 '후기 묵가'라고 할 경우, 묵변에 있는 텍스트를 보통 지칭합니다. 따라서 전/후기 묵가의 구분은 '내용상'의 구분으로 보는게 편합니다.
(2-1) 그리고 전기/후기 묵가 구분이 공자/노자/양주 이후 텍스트에서 의미가 없는 이유는?
단순히 말해서, 이미 묵가 사후 묵가의 분열이 일어났고, 정확히 언제인지는 모르지만 아무리 늦어도 이 시기 조금 이후로 '묵변'의 프로토타입은 성립되었다고 보는게 타당하기 때문입니다.
모두 알다시피, 맹자는 당시 세상은 양주와 묵가로 양분되어있다고 회고합니다. 그렇지만 정작 본인은 묵자를 만나지 못하고, 묵자의 제자들인 이지, 고자 등을 만납니다. (참고로 이들은 <묵자> 자체에는 이름이 나오지 않는 사람들입니다. 즉, 직전 제자가 아니라고 볼 수 있죠. 직전 제자로는 금골회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맹자는 묵가에 대한 꽤 자세한 지식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앞서 이지의 화려한 장례가 묵가의 교리와 어긋난다는 지적이나, 고자를 상대할 때 '흰색'이라는 속성을 가지고 논박하는 부분 등에서 우리는 그걸 알 수 있죠. (그리고 우리가 언급한 권이나 추의 용법까지도요.)
보다 결정적인 것은 맹자와 동시대 인물인 장자입니다. 장자에는 묵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도 있지만, 특히 혜시에 대한 많은 언급이 있습니다. 혜시가 명가로 분류되지만, 명가의 논의들이 '묵변'의 내용들과 겹친다는 점 그리고 혜시의 윤리적 주장이 묵가의 겸애와 유사하는 점에서, 혜시가 묵가를 잘 알았다는 건 기정 사실로 보입니다. 더 나아가, 장자 역시도 [제물론] 등의 논의를 통해서, 묵가의 용어과 논증에 대해서 꽤 잘 알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상의 내용을 고려해볼 때, 적어도 맹자 - 장자 때에는 '묵변', 즉 논리적 묵가의 내용이 이미 등장했고, 그것이 꽤 많은 영향력이 있었다고 추측할 수 있습니다.
(3) 보너스 ; '묵변'에서 보이는 재미있는 정의들.
(a) 효 : 효란 피붙이를 이롭게 하는 것(利)이다.
설 : 효란 온화한 모습으로 치붙이를 모시여, 힘닿는 한 피붙이를 이롭게 하지만, 반드시 효자라는 명성을 얻는 것은 아니다.
: 기본적으로 묵가는 인/의/효 등의 윤리적 덕목들을 '이로움을 주는 것'으로 정의합니다. 즉, 실질적으로 무언가 이롭게 만들어줘야한다는, 적어도 그럴 의도로 행동을 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맹자와 묵가가 극심히 대비되는 부분은 이 지점일텐데, 맹자는 이런 '이익을 줌'이라는 것이 도덕의 영역이라는 점을 절대 인정하지 않을 겁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맹자와 묵가의 정의 사이에는 굉장한 유사점이 있죠.)
(b) 변론 : 변론을 함에 이기는 자가 없다면, 그것은 반드시 적절하지 않은 변론이다. 그 (변론에 대한) 설명이 변론에 있지 않는 것이다.
해설 : (변론을) 함이란 같은 내용이 아니라면, 다른 내용이라는 뜻이다. 같은 내용이란 어떤 사람이 개(狗)라고 부르면, 그것을 다른 사람도 도그(犬)라고 부르는 경우다. 다른 내용이란 어떤 사람이 소라고 부르는 것을, 다른 사람이 말이라고 부르는 경우다.
변론함에 승자가 없다면, 그것은 변론이 아니다. 변론하는 사람 중 어떤 이가 그것이라 하고, 어떤 이가 저것이라 한다면, 합당한 (주장을 한) 자가 이긴다.
:이 부분이 굉장히 흥미로운 부분입니다. 묵가에서 변(론)이란 반드시 누가 옳거나 그른, 일종의 유사-베중율이 있어야하는 것입니다. (유사-배중율이라는 단어를 쓴 이유는, 변이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형식 논리가 아니라, 그걸 포괄하는 일종의 비형식 논리 - 설득법 일반을 가리키기 때문입니다.)
해설 역시 흥미로운데, 묵가는 외연과 내포 비스무리한 구분을 여기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