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철학' 카테고리의 설명
|
|
0
|
466
|
5월 4, 2020
|
|
2025 베르그루엔 철학상 수상자: 마이클 샌델
|
|
1
|
291
|
10월 18, 2025
|
|
중국의 민주집중제와 심의민주주의
|
|
1
|
239
|
8월 31, 2025
|
|
롤즈에 전해진 칸트의 유산
|
|
1
|
290
|
8월 25, 2025
|
|
플라톤, 『국가』 4권 주요 논증 정리 및 비판
|
|
2
|
541
|
7월 28, 2025
|
|
에피스토크라시
|
|
8
|
558
|
7월 11, 2025
|
|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 관점에서 자본주의 정의가 '임금노동' 아닌가요?
|
|
5
|
286
|
6월 9, 2025
|
|
젠더를 둘러싼 문제Trouble with gender와 젠더 문제gender trouble
|
|
4
|
620
|
4월 17, 2025
|
|
Doppelsatz 2차자료
|
|
0
|
125
|
3월 9, 2025
|
|
학술계의 민주성에 대한 고찰
|
|
2
|
306
|
3월 7, 2025
|
|
리처드 벨러미, 『시민권』 - 5장
|
|
0
|
124
|
2월 21, 2025
|
|
고대 그리스 민주주의와 선거제 비판으로서의 추첨: 현대적 함의
|
|
3
|
444
|
2월 19, 2025
|
|
Kogelmann, Brian (23), "Finding the Epistocrats", Episteme, 20: 497-512
|
|
2
|
148
|
2월 1, 2025
|
|
Buchetmann - Hegel and the Representative Constitution
|
|
0
|
102
|
1월 22, 2025
|
|
「현대 숙의 민주주의 이론과 정치적 배제의 문제」, 『시대와 철학』, 제35권 4호, 2024
|
|
2
|
244
|
1월 1, 2025
|
|
정의로운 민주사회를 염원하는 철학자들의 시국선언
|
|
0
|
586
|
12월 13, 2024
|
|
"The Promise and Peril of Epistocracy"에 대한 의견
|
|
0
|
114
|
12월 5, 2024
|
|
리처드 턱, <홉스> 자유요약
|
|
5
|
1634
|
12월 4, 2024
|
|
Soon, Valerie. (Review on Against Democracy). Essays in Phil 19:1 (2018)
|
|
0
|
113
|
10월 14, 2024
|
|
RA. Dahl, 「Democratic Theory and Democratic Experience」
|
|
0
|
139
|
9월 22, 2024
|
|
R. Rorty, 「Idealization, Foundations, and Social Practices」
|
|
0
|
205
|
9월 22, 2024
|
|
[어떻게 극단적 소수가 다수를 지배하는가]공화당은 왜 다인종 민주주의를 저버렸는가
|
|
0
|
395
|
9월 12, 2024
|
|
전쟁과 정치의 공통 목적에 관하여 (전쟁론과 군주론)
|
|
0
|
223
|
8월 22, 2024
|
|
숙의 민주주의 이론의 발전 양상 추적: 경합적 민주주의의 비판을 중심으로
|
|
0
|
299
|
8월 13, 2024
|
|
마키아벨리의 정부 형태 수정안과 민주주의
|
|
2
|
260
|
8월 12, 2024
|
|
Machiavelli, Niccolò, Il Principe (군주론) 1장 요약+견해
|
|
1
|
296
|
8월 2, 2024
|
|
법과 무력에 관한 소고
|
|
5
|
647
|
8월 2, 2024
|
|
죽어가는 사람, 자유지상주의와 '정의' 의 문제(자발성 문제)
|
|
5
|
633
|
7월 31, 2024
|
|
마키아벨리의 정부 형태 이름들에 대한 제안
|
|
4
|
670
|
7월 19, 2024
|
|
(소유와 아나키2-1)"무정부"-자본주의자들이 말하는 "자유"는 무엇을 의미할까요?(1부)
|
|
0
|
226
|
7월 10, 20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