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확히 어디 게시판에 쓰는 게 좋을지 모르겠지만, 일단 정치적인 문제니 정치 철학 게시판에 써봅니다. 다음 글의 연장선상에 있는 글입니다.
- 작년 11월 알렉스 번의 주장을 담은 Trouble with gender가 <젠더라는 환상>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됐다. 대충 리뷰들을 둘러 보니 저자는 성이 사회적 구성물이라는 인식에 반대하고, 생물학적 성별(남/녀)을 기반으로 한 이분법적 구분을 지지하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Trouble with gender라는 제목은 번 자신도 인정하듯이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트러블을 비튼 제목이다. 여기서 번은 주디스 버틀러를 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됐다고 주장하는 사상가에 위치 시키며 비판한다. 또한 버틀러의 최근 저작 who's afraid of gender에 대해 다소 노골적으로 비판적인 리뷰 기사를 작성하기도 했다.
'When the chips are down, the philosophers turn out to have been bluffing' - The Freethinker
The Phantasmagoric World of Judith Butler - Fairer Disputations
-
나 역시 궁금해서 서점에서 젠더라는 환상을 약간 들춰봤다. 그런데 책을 다 읽어봐야 정확한 비판이 가능하겠지만, 번이 버틀러를 단순히 '성 사회구성론자'로 위치시키는데는 뭔가 좀 조야하단 생각이 들었다. 나는 버틀러에 대한 개론적인 지식밖에 가지고 있지 못해서 글 쓰기가 망설여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아는 버틀러에 대해 써보자면, 버틀러의 주장은 '단순히' 젠더가 사회적으로 구성되었다는 게 아니었던걸로 기억한다.
-
다음 기사에서 알렉스 번이 버틀러를 어떻게 비판하는 지 확인할 수 있다.
Is Sex Socially Constructed?. Examining the arguments | by Alex Byrne | Arc Digital | Medium
여기서 번은 버틀러의 수행성을 통해 젠더를 얻는다는 개념을 논증화 해, 그런 접근이 실패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을 논증하고 있습니다. 버틀러가 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고 주장할 떄, 번은 '사회적 구성'을 다음과 같이 이해합니다.
But what does it mean to say that a category is socially constructed? The terminology of “social construction” is often thrown around so carelessly that its intended meaning is impossible to divine, but there is one clear answer that corresponds closely with what Butler has in mind. A socially constructed category is a category that meets this condition: If an object belongs to the category, the object must exist (or have existed) within a society or social organization.
즉 범주가 사회적으로 구성됐다는 것은 객체object가 범주에 속하고, 객체가 사회 혹은 사회적 조직에 반드시 존재해야(혹은 존재해왔거나) 한다는 것이다.
번은 약혼반지, 여왕, 행성의 예를 든다. 약혼반지는 결혼제도가 존재하는 사회 내에서 구성된 범주이다. 여왕은 군주제 사회에서 구성된 범주이다. 하지만 행성은? 우리가 존재하기 수십억년전 부터 존재해온 행성은 사회적으로 구성된 범주라 할 수 없다.
버틀러의 주장대로 성은 사회적으로 구성되는 것인가? 번은 버틀러가 참조하는 오스턴의 수행성performative이론을 설명하며 다음과 같이 말한다: 만일 수행성들이 한 사물이 범주에 속한다는 결과를 내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면, 그 범주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if performatives can be used to bring it about that a thing belongs to a category, that category is socially constructed .
오스틴에 따르면 적절한 사회적 환경이 주어진다면, 수행성은 이루어진다. 적절한 사회적 환경에서 나는 "저 배의 이름은 엘리자베스"라는 말을 통해 배에 이름을 붙일 수 있고, 내가 판사라면 나는 "3년형을 구형합니다"라는 말로 죄인에게 형을 구형할 수 있다.
번은 이러한 수행성 이론으로 부터 '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는 결론을 도출해내는, (번 자신이 정식화한) 버틀러의 수행적 논변performative argument이 실패한다고 주장한다.
- 그런데 번의 버틀러 비판은 내가 배운 버틀러와는 거리가 상당해 보인다. 결론부터 말하면 번의 '사회적 구성'은 버틀러가 말하는 구성과는 다른 것 같다. 버틀러에게 있어 젠더는 단순히 '문화적 성'만을 지칭하는 게 아니라, 성에 대한 담론들을 생산해 내는 생산 장치들을 의미하기도 한다.
섹스 자체가 젠더화된 범주라면 젠더를 섹스의 문화적 해석으로만 정의하는 것은 이치에 맞지 않는다. 젠더를 이미 정해진 섹스에 문화적 의미를 각인한 것(사법적 개념)으로만 이해해서는 안된다는 것이다. 젠더는 섹스 자체가 설정되는 바로 그 생산장치를 지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섹스가 자연에 관계되듯 젠더가 문화에 관계되는 것이라고 생각해선 안된다. 그리고 젠더는 '성적으로 구분된 자연'이나 '자연적 섹스'가 '담론 이전에' 문화에 앞서서, 그 위에서 문화가 행해지는 정치적으로 중립적인 표면으로 생산되고 설정되게 하는 담론적/문화적 수단이기도 하다. (<젠더 트러블>, 97p)
이런 개념에 입각해 주디스 버틀러는 페미니스트들로 하여금 단순히 섹스를 지탱하는 과학적 사실에 주목할 것이 아니라, 그런 과학적 사실들을 생산하는 담론, 그리고 담론들을 생산하는 권력 관계에 주목하기를 주문한다.
젠더화된 주체의 이런 극단적 분열은 일련의 다른 문제도 야기한다. 우선 섹스/젠더의 의미가 어떻게 주어졌는지 묻지 않고서 '주어진' 섹스나 '주어진' 젠더를 지칭할 수 있는가? 그렇다면, 어쨌든 '섹스'는 무엇인가? 그것은 자연적인 것인가, 해부학적인 것인가, 염색체인가, 호르몬인가? 페미니즘 비평가는 그런 '사실들'을 우리에게 확인시키려는 과학 담론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 섹스에는 역사가 있는가? 각각의 성은 하나, 혹은 여러개의 다른 역사를 갖는 것인가? 성의 이원성이 어떻게 확립되었는지에 대한 역사는 있는가? 그 이분법적 항목이 변화무쌍한 구성물임을 폭로할 수 있는 계보학이 있는가? 겉보기에 자연스러운 성적 사실들이 다른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이해관계를 추구하면서 여러 과학 담론으로 생산된 것인가?
따라서 내 생각에 버틀러가 성이 사회적으로 구성된다 할 때, 나아가 섹스 조차 젠더라고 할때, 그 구성은 단순히 '객체가 사회 범주에 속하고, 사회 혹은 조직 내에서 존재하는 것' 과는 거리가 있어 보인다. 그것은 담론의 권력 관계에 의해 성에 관한 지식의 구성을 의미하고 그 관계를 추적하기를 요구하는 계보학, 다분히 푸코Foucault적인 것이다.
물론 이것 역시 사회적 구성이 아니냐고 반박할 수 있다. 하지만 번이 버틀러의 주장들 중 핵심은 빼놓고 기본 틀만 조야하게 축소해 자신의 논증에 가져다 쓰는 것 아닌가 하는 의심을 지울 수가 없다. 만일 누가 진정으로 버틀러의 주장을 비판하고자 한다면 성에 대한 사실이 정말 담론의 권력관계를 통해 이루어지는 지 에 대해 비판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