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https://forum.owlofsogang.com/t/topic/6496 ) 아래 글에 댓글 논쟁을 보고 생각이 나서 올립니다.
"[자본]의 존재에 대한 역사적 조건은 단순히 화폐와 상품의 유통만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 이는 생산수단과 생계수단의 소유자가 시장에서 자신의 노동력의 판매자로서 자유로운 노동자를 발견할 때에만 발생한다."[Marx, 『Capital, vol. 1』, p. 264)
"정치경제학은 원칙적으로 두 가지 매우 다른 종류의 사유재산을 혼동한다. 하나는 생산자 자신의 노동에 기반하고, 다른 하나는 타인의 노동에 대한 착취에 기반한다. 정치경제학은 후자가 전자와 정반대일 뿐만 아니라 전자의 무덤에서만 자라고 다른 곳에서는 자라지 않는다는 사실을 망각한다. (…) 자본주의 체제는 끊임없이 생산자가 제기하는 장애물에 부딪힌다. 생산자는 자신의 노동 조건의 소유자로서 자본가가 아닌 자신을 부유하게 하기 위해 그 노동을 사용한다. 이 두 정반대 경제 체제의 모순은 바로 이 두 체제 사이의 투쟁에서 실질적으로 드러난다." (Marx, 『Capital, vol. 1』, p. 931)
"생산수단과 생계수단은 직접 생산자의 소유로 남아 있는 한 자본이 아니다. 그것들은 노동자에 대한 착취와 지배의 수단으로 동시에 기능하는 상황에서만 자본이 된다." (Marx, 『Capital, vol. 1』, p. 938)
"노동자들이 각자의 생산수단을 소유하고 서로 상품을 교환한다고 가정해 보자. 이 상품들은 자본의 산물이 아닐 것이다." (Marx, 『Capital, vol. 3』, p. 938)
"생산의 목적, 즉 상품을 생산하는 것은 생산 도구에 자본의 성격을 부여하지 않는다. (…) 상품 생산은 자본의 존재를 위한 전제 조건 중 하나이다. (…) 생산자가 자신이 생산한 것만 판매하는 한, 그는 자본가가 아니다. 그는 자신의 도구를 사용하여 타인의 임금 노동을 착취하는 순간부터 자본가가 된다." (Engels, 『Marx-Engels Collected Works』, pp. 179-80)
-『Capitalism does not equal the market(시장은 자본주의와 같지 않다)』 (2009) 에서 재인용-
.
제가 주로 읽은 건 프루동주의에 관한 글들이긴 하지만, 전통적인 마르크스주의적 관점에서 볼 때 '자본주의'는 단순히 '시장(Market)'이나 '재산(Property)' 그 자체로 정의되지 않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둘 다 자본주의 이전 사회에서도 이미 존재했던 것)
.
그래서 마르크스주의적 전통에 따르면 ‘자본주의’의 정의는 ‘시장(Market)’이나 ‘재산(Property)’이 아니라 자본주의를 특징짓는 핵심 요소는 바로 '임금노동(Wage Labor)'이라는 특정한 사회적 관계로 즉, 무산자들(생산수단이나 거주지 같은 생활수단을 소유하지 못한 사람들)이 유산 계급(생산수단과 거주지 등을 소유한 사람들)이 정한 조건 하에서 노동력을 제공하거나 비용을 지불해야만 하는 ‘임금노동(Wage Labor)’이라는 구조적 종속 관계가 자본주의의 본질이라고 주장하며 비판했던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결국 전통적 마르크스주의 관점의 자본주의 비판의 핵심은 무산 계급이 유산 계급에 종속되는 이 구조 자체를 문제 삼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
그래서 이런 관점에서 보면, ‘시장’과 ‘사유재산’이라는 요소는 자본주의의 필수적인 특징이 아니라, 임금노동을 중심으로 한 특정한 사회관계로 자본주의가 정의되는 걸로 알고 있어서...
.
음... 그래서 전통적인 마르크스 관점에 따르면 사업이 생산자들 자주관리가 되지 않는다면 그냥 지금 중국 같은 경우도 ‘기업위주의 자본주의’ 가 아닐까 싶은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