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hiavelli, Niccolò, Il Principe (군주론) 1장 요약+견해

모든 'stato' 1, [즉/그리고] 모든 dominions는 공화국이거나, 공국이다.
공국은 세습적이거나, 신생이다.
신생 공국은 완전히 새롭거나 2, 정복자인 세습 군주국에 더해진 일원이다. 3
정복된 dominions는 군주 치하나, 자유에 익숙해져 있다.
이 dominions를 정복할 때는 타인의 군사나 자신의 군사, 운 4이나 virtù 5로 획득된다.


1 Mansfield, Harvey의 영역본 The Prince p. 5. 각주 2번에 의하면, status와 state를 의미하지만, 비인격적(impersonal)인 것은 아니다.

2 Milan to Francesco Sforza를 예로 들고 있다.

3 Naples to the king of Spain, 즉 Ferdinand the Catholic의 왕국을 예로 들고 있다.

4 개괄적으로 읽고 8장까지 나름대로 읽은 결과를 요약하자면, 마키아벨리의 'fortuna'는 셋 정도의 의미를 가진다. 하나는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으로 이루어진, 내가 '가변적(우연-미결적)인 면'으로 부르는 것이다. 원조, 선물, 전쟁, 질병 등이 있다. 두 번째는 내가 '우연-결정적인 면'으로 부르는 것이다. 조상, (군주국/민주정 등 거대한) 국가적 제도 등이 있다. 마지막은 '운명'으로 불리는 것이다. 협소하게는, 이후 장에서 시라쿠사 참주 겸 폭군 아가토클레스를 다룰 때 '사적인 fortuna'에서만 쓰인 의미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좀 더 넓히면, 마키아벨리가 'Fortuna'라고 쓸 때를 아우르는 의미라고 이해할 수 있다. 'fortuna'가 아닌 'Fortuna'는 여신 티케(포르투나)를 의미한다.

왜 운명의 의미가 여신과 합쳐질 수 있는가? 신화에서 대개 여신이 운명을 관장했기 때문이다(좋은 근거는 아닌 것 같아서, 더 생각해 볼 것이다). 티케와 포르투나 외에도 모이라이, 노른이 있다. 결정됨, 숙명의 함의(즉 죽음)를 포함한다면 서왕모도 있겠다.

5 이때 'virtù'는 마키아벨리 자신이 쓰는 amoral한 용어의 의미뿐 아니라 일반적인 용례로서 무력의 의미에도 가까워 보인다. 어떤 국가를 정복할 때 위선과 기만으로 상대 군주를 제거하는 것이 "도움"은 되겠지만, 제거를 통해 곧장 정복이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순순히 성문을 연다든가 군주가 도망간다든가 하는 "행사(사건)"가 있어야, 해당 국가의 신민들을 포함한 군중이 정복을 인정, 동의, 승인한다. 이런 행사들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군대의 행진이다. 따라서 정복하는 방법의 한 갈래로서 virtù라는 말은, 그 자신의 용법과 무력이라는 의미 모두로 해석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6개의 좋아요

Il Principe 관련 문서를 만들던 도중에 생각난 지점:

그렇다면 신생 공국이라는 말은 로물루스-레무스를 통한 건국과 같은 의미에서 신생이라는 것이 아니라, 군주의 혈통도 무엇도 아니었던 자가 군주가 되면서 얻게 된 그의 나라다. 다시 말해 참주가 갖게 된 그의 나라를 '신생 공국'이라고 한다!

이렇게 이해한다면 6장의 논의와 배치된다. 왜냐하면 6장에서 Machiavelli가 드는 예시는 모세, 키루스, 로물루스-레무스, 테세우스 등인데, 이들은 모두 건국자이기 때문이다.

'Principe'와 'Signore'가 두 단어지만 때로 같은 것을 지칭한 것처럼, 다만 반대 방향으로, 'principati nuovi'가 한 단어지만 서로 다른 것을 지칭하면서 나타났을 수도 있겠다. 또는, 그가 scope를 자유자재로 바꾸면서 말했다고 볼 수도 있겠다. 일관되게 작성했다고 해석할 여지는 없는가?

전자는 후자를 포함하는 의미로 기능할 수 있어 보이고, 충분히 그렇다. "군주의 혈통도 무엇도 아니었던 자가 군주가 되면서 얻은 그의 나라"라는 점만 취하면 말이다. 로물루스-레무스 등이 군주의 혈통은 아니었을 것인데 - 그리고 아닌데 - 그가 국가를 "세워서" 얻은 바 로마가 신생 공국이(었)다.

한편 밀라노의 Francesco Sforza는 어떠한가? "군주의 혈통도 무엇도" 아니었는데 장인이 사망하여 밀라노의 왕위를 얻었으니 "얻게 된 그의 나라"가 밀라노 아니겠는가? 따라서 '신생 공국'은 어떤 사람이 참주가 되면서 얻게 된 그의 나라를 가리킨다.


19장을 읽으며, 추가 수정: 신군주는 모두 참주다. ('Principe'와는 구분되는 단어를 쓰므로, 군주와 신군주는 별개라고 가정한다.)

신군주는 신생 공국의 군주다; 신생 공국은 창건됐거나, 반 이상 새롭거나(Milan) 혼합 국가 셋 중 하나다; 창건된 국가라면 신군주의 혈통이 곧 군주의 혈통이 되기는 하지만 선왕이 없었기 때문에, 즉 공석 내지 부재하던 군주(의 자리)에 자신을 세웠기 때문에 참주다; Milan의 Sforza는 자신 또는 타인의, 운 또는 군대와 능력으로 군주(의 자리)에 자신을 세웠기 때문에 참주다; Naples의 Ferdinand는 다른 나라를 합병했기 때문에 합병한 국가 입장에서는 Sforza처럼 참주다.

그러나 모든 참주가 신군주는 아니다.

구 질서를 그대로 유지하고 새로이 성취하는 과업이 없다면 참주일 뿐이다. 그에게 새로운 달성이 없다면 국가 창건이나 복속도 하지 않았을 것이다; 신군주는 신생 공국의 군주이므로 이 둘 중 하나를 필요로 한다; 그러므로 그에게 성취된 바가 없다면 그는 기껏해야 참주 내지 군주다.

만약 그가 참주고 새로이 성취하는 과업이 있더라도,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다시 말하지만 신군주는 신생 공국의 군주다. 따라서 국가의 창건 또는 병합의 과업이 부재하고, 단지 신질서 몇 가지만 확립했다면, 그것이 아무리 혁신적인 것일지라도 그는 신군주가 아니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