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의 정부 형태 이름들에 대한 제안

로마사 논고에서 등장하는, 정부 형태의 이름들에 대한 제안입니다. 생각나는 걸 쓴 것이다 보니, 구체화를 위한 많은 다른 제안들 감사하겠습니다

--

물론 마키아벨리의 로마사 논고도, 거기서 정부 형태의 이름들을 등장시킨 것도, 상세히 분석하자는 의도 없이 작성되었을 수 있다. 그럼에도 이 작업은, 대략적으로 제시하는 것보다 people의 정부, 정치에서의 역할을 더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따라서 그가 people을 중시한 더 큰 의도에 부합하도록, 정부 형태의 이름들이 상세해져야 하며, 여기에 본 작업의 필요가 있다.

마키아벨리는 monarchy가 tyranny로 갈 수 있고, aristocracy는 oligarchy, democracy는 anarchy로 간다고 로마사 논고에서 쓰고 있다. 그가 생각하지 못하고 넘어간 부분이 있는 것 같다. Prince만큼이나 people을 중시했다면, 이것을 생각했어야 할 것이다: 어느 정부 형태든 people이 악한 경우가 있다.

  • Monarchy는 tyranny가 될 수 있다: Prince가 악할 때; people이 악하면, 그야말로 anarchy가 될 것이다 - 군주가 끌어내려질 것이다.

  • Aristocracy는 oligarchy가 될 수 있다: 귀족들이 악할 때; people이 악하면, 마찬가지의 이유로 anarchy가 되거나, 덜 극단적으로는 ochlocracy가 될 것이다.

  • Democracy는 anarchy가 될 수 있다: 통치되는 people이 악할 때; 지도자 시민이 악하면, ochlocracy를 위장한 dictatorship이나, anarchy보다 심각한 "chaos"가 될 것이다.

그러므로 정부 형태의 이름은, 세 개의 중도인 monarchy, aristocracy, democracy를 우선 갖는다. 이어서, Prince가 악할 때의 네 이름과 people이 악할 때의 두 이름을 가진다. 이로부터, 정부 형태의 이름은 아홉 개가 된다 - 만약 "chaos" 같은 게 정부 형태의 이름일 수만 있다면.

1개의 좋아요

마키아벨리를 안 읽어보아 정확히 무슨 말씀을 하고 싶으신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다만 여러 정체의 구별은 플라톤의 <국가>에 나오는 것과 거의 유사하네요. 이에 기반해서 유추해보자면, 아마도 각 정체들의 이름이 좋은 것과 나쁜 것으로 나뉜 기준이 불충분하다는 지적인 것 같은데 맞을까요?

만약에 피지배자들의 악(?)을 다른 규준으로 삼아 정체를 구분해야 한다고 생각하시는 것이라면 이것이 적절한 것 같지는 않습니다. 우선 말씀해주신 바에 따르면 마키아벨리의 각 정체의 구분 기준은 지배자(들)의 좋음과 나쁨인 것으로 이해됩니다. 만일 피지배자인 people(?)이 악(?)하여 그들이 기존 체제를 전복한다면 체제를 전복하는 이 사람들은 지배자가 되겠지요. 따라서 이들은 기본적으로 democracy의 나쁜 형태로 귀결된다고 봐야할 것입니다.

또 사람들이 악하다는 것 역시 너무나 애매한 표현이고 따라서 그들이 악할 때 이들이 기존 체제의 지배자를 끌어내린다는 설명도 사실 마키아벨리의 논의를 몰라서 그런지 선뜻 이해되지 않네요. 어떤 논리가 있을까요? 악하다는 게 무엇인지요?

1개의 좋아요

지적 감사합니다. 계속 제 논리에 매몰되어 있었더니, 정확히 말씀해주신 부분(무엇을 악이라고 명명했는지와 같은 마키아벨리의 의도/논증)은 뒷전이었던 것 같네요. 또 확실히, 러프만 면밖에 없는 사고 전개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기억나는 한에서, 마키아벨리는 "끌어내린다"기보다, 그렇게 "이행한다" 정도로 (예를 들면 democracy에서 anarchy로 이행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또 러프하게도, 피지배자의 악이 행동으로 드러나기 이전까지는 해당 정체에 속하기 때문에, 그 정체의 people의 악으로 볼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를테면 Prince의 악이 "드러나지" 않으면 monarchy는 tyranny로 이행하지 않을 것입니다. 같은 방식으로, people의 악이 "드러나지" 않으면 monarchy는 anarchy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러나 쓰고 보니, Prince와 people의 지위와 부담이 다르고, 1인이냐 다수냐의 차이도 있는데, 과연 유비될 수 있을지 스스로 의심이 됩니다.)

Democracy의 악한 이름들에 이것들이 해당한다는 말씀에는 동의합니다. 지배되는 동료 시민이 악하면 ochlocracy도 anarchy도 가능합니다. (그리고 저는, democracy에서 정반대로, "지도자 시민"이 악할 때를 말했습니다.)

이렇게 마키아벨리의 생각을 더 구체화(?)하려던 계기는 다음의 사고 흐름에서 기인합니다: 마키아벨리는 people의 마음을 얻지 못한 Prince를 최악으로 여겼다. 그들의 "마음을 얻"기 위해, Prince 또한 동기 부여를 받아야 할 것 같다. (물론 국가도, 자신도 망하고 쇠한다는 이유가 있다. 그러나 정확히 "어떤 식으로" 망하고 쇠하기에 마음을 얻어야 하는지 아는 것은, people의 본성을 아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즉 Prince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그가 people의 (또한 자신의) 본성을 알게 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피지배층의 악이 낳는 귀결을 말하는 것은 어떤가?

《군주론》에서 악을 어떻게 말하고 있는지 되돌아볼 필요 등이 있겠네요. 다시 한 번 감사합니다.

추가) 애초에 로마사 논고에서, 영역본이기는 하지만, people이 악해서라는 말이 아니라 "from their inherent badness"라고 되어 있군요. 그렇다면 "people이 악할 때 anarchy로 이행한다"는 말을 어디에서 보아야 하는지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지적 정말로 감사합니다.

2개의 좋아요

한 장짜리 질문지로 정리하다가 생각난 내용을 덧붙입니다.


나 자신의 반박은 다음과 같다:

  • 첫째, Prince는 그의 지위와 부담을 가지지만, people에게도 그와 같은 것이 있는가: 그들에게 그런 것이 없다면, 그들은 anarchy로 이끌 만한 존재가 아니다.

  • 둘째, dictatorship은 정부의 형태가 아니다: 이것이 지속될 경우, aristocracy에서 우려되는 것(coup d'etat)이 마찬가지로 발생하며, 그것이 대개 일회적이지 않으므로 결국 anarchy가 된다.

  • 셋째, democracy의 이행에서 양면으로 나누는 것이 부당할 수 있다: 통치하는 시민과 피지배 시민이 Prince와 people만큼 수직적 관계에 있지 않으므로 한 쪽의 악이 다른 쪽의 악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심지어 '한 쪽의 악', '다른 쪽의 악'이라는 말 자체가 문제일 수 있다.

  • 넷째, 궁극적으로 ochlocracy는 통치하는 시민의 힘을 뺏는 월권 행위로 anarchy와 같고, "chaos"도 통치하는 시민이 제 일을 똑바로 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anarchy로 볼 여지가 있다: 그렇다면 결국 정부 형태가 아니라 정부 형태의 여러 면의 이름을 말하는 셈으로, Machiavelli가 말하려던 바와 멀어 보인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