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철학' 카테고리의 설명
|
|
0
|
422
|
11월 21, 2021
|
후기 분석철학의 역사: Philosophical Inquiries, Vol. 6 No. 1 (2018)
|
|
0
|
299
|
1월 11, 2025
|
산티아고 자바라: 로티와 바티모 이후 해석학계의 중심 인물인가?!
|
|
2
|
395
|
1월 6, 2025
|
주디스 버틀러의 방한 강연 '민주주의와 인문학'
|
|
0
|
264
|
12월 24, 2024
|
양진주의적 사르트르 해석에 대한 단상
|
|
5
|
493
|
10월 31, 2024
|
철학계의 비빔대왕, 가다머
|
|
2
|
727
|
10월 8, 2024
|
카르납(Carnap)과 자동차 낮잠 사례(Car Nap Case)
|
|
1
|
336
|
9월 24, 2024
|
비트겐슈타인의 영향력은 왜 쇠락하였는가?
|
|
8
|
986
|
9월 14, 2024
|
실존주의는 본래 무신론적이다?!: 무신론적 실존주의에 대한 마르셀의 비판
|
|
4
|
555
|
9월 8, 2024
|
Sep '가브리엘 마르셀' 항목에 감탄했습니다
|
|
1
|
453
|
8월 23, 2024
|
1951년 파리의 어느 술집: 분석철학과 대륙철학의 또 하나의 갈림길
|
|
5
|
1378
|
8월 11, 2024
|
이화여대 한충수 교수님의 실존주의 강의 영상
|
|
2
|
476
|
7월 29, 2024
|
사변적 연금술로부터 지적 노동으로: 주재형, 「인간적 지식 너머의 지식?: 메이야수의 사변적 유물론 비판」
|
|
0
|
922
|
4월 2, 2024
|
Henry Somers-Hall의 <Deleuze's Difference and Repetition>을 읽었습니다
|
|
0
|
220
|
6월 21, 2024
|
형식 철학과 증명 보조기
|
|
4
|
947
|
6월 18, 2024
|
(미완성) 들뢰즈와 짧은 동영상(Shorts) '넘김'의 무기력 (1)
|
|
2
|
479
|
6월 3, 2024
|
두 가지 철학의 구별 - <철학은 시가 될 수 있을까>를 읽다가
|
|
6
|
578
|
5월 2, 2024
|
맥도웰, 테일러, 퍼트남의 거북했던 하루
|
|
4
|
1270
|
4월 26, 2024
|
부고: 다니엘 데넷(1942-2024)
|
|
0
|
453
|
4월 19, 2024
|
불교로 이해하는 현대철학: 동국대 김종욱 교수
|
|
1
|
775
|
4월 4, 2024
|
현대철학의 문제들: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
|
|
2
|
1212
|
3월 19, 2024
|
On the Tractarian Concepts of 'senseless (sinnlos)' and 'nonsense (Unsinn)'
|
|
0
|
294
|
2월 28, 2024
|
논리철학논고 新 영역본 출간
|
|
5
|
987
|
2월 16, 2024
|
[성천아카데미 추계강좌] <철학의 길> 제1강과 제12강 발췌문
|
|
1
|
345
|
12월 18, 2023
|
김경만, 「현대성, 합리성, 문화 변동에 대한 하버마스와 로티의 논쟁」
|
|
3
|
614
|
11월 13, 2023
|
VV Mayor, 「Die Idee der Philosophie als Kritik bei Nietzsche und Adorno」
|
|
0
|
250
|
10월 19, 2023
|
비트겐슈타인 연구의 신세대가 출현했다?: 마리우스 바르트만의 책에 대한 단상
|
|
1
|
1808
|
9월 15, 2023
|
표상주의에 대한 로티의 비판에서 핵심은 무엇인가?(feat. 로버트 브랜덤)
|
|
5
|
945
|
9월 12, 2023
|
게메스, 「포스트모더니즘의 니체 이용과 오용」
|
|
8
|
1019
|
8월 18, 2023
|
'진짜' 니체는 누구? - '힘에의 의지' 사용과 관련하여
|
|
1
|
590
|
8월 17, 2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