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브리엘 마르셀의 "Some Reflections on Existentialism"이라는 논문에 흥미로운 내용이 있어서 올려봅니다. 마르셀은 실존주의가 근본적으로 '무신론적'이라는 대중적 통념에 반대하면서, 우선 실존주의의 뿌리가 그리스도교에 있다는 점을 강조하네요. 우리가 철학사에서 흔히 실존주의의 원형으로 평가하는 아우구스티누스, 파스칼, 키에르케고어 같은 인물들이 그리스도교 사상가들이었다는 사실을 지적하면서 말이에요.
[…] 사교계 여성분들에게는 숙명적인 오류가 퍼지기 시작하였는데, 이에 따르면 실존주의는 근본적인 형태에서 본래적으로 무신론적인 것으로 여겨져야만 합니다. 그래서 저는 그러한 호기심 많은 여성분들에게 어떻게 제가 그리스도교 실존주의자일 수 있었는지에 대해 질문을 받았습니다. 말하자면, [그리스도교 실존주의자란] 일종의 정신적 둥근 사각형이라는 거죠. 물론 이러한 질문은 키에르케고어에 대한 무지를 암시합니다. 키에르케고어는 의심의 여지 없이 오늘날 실존주의라고 불리는 사조의 창시자였고, 가장 깊은 의미에서 종교적이었으며, 그리스도교 사상가였죠. 우리의 동시대인들에게서 우리가 발견하는 그러한 실존철학의 기원에 이 덴마크 사상가가 있다는 사실에 주목합시다. 그러나 우리는 그가 자신의 선구자들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 실존이 파스칼―그의 중요성도 분명히 두드러집니다―에 의해 뿐만 아니라 이미 아우구스티누스에 의해서도 강조되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됩니다. (G. Marcel, "Some Reflections on Existentialism", Philosophy Today, Vol. 8(4), 1964, 249)
그 이후의 내용에서는 사르트르의 소위 '무신론적' 실존주의에 대한 비판도 나오네요. 삶에 대한 종교적 열정이 없었던 사르트르는, 자유를 일종의 '부족'이나 '결핍'으로 이해함으로써, 결국 역설적이게도 유물론과 굉장히 유사한 형태의 철학을 전개하게 되었다는 지적입니다.
실존한다는 것은 개인 혹은 주체가 된다는 것이지만, 주체가 된다는 것은 선택한다는 것이고, 이는 또한 정열에 사로잡힌다는 것입니다. '정열에 사로잡힌다(impassioned)'는 이러한 말은 키에르케고어 자신의 사유를 가장 명확하게 특징 짓는 말 중 하나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실존과 자유를 설명하는 연결점을 분명하게 이해합니다. 이러한 연결점이 사르트르에 의해서도 발견되지만, [키에르케고어와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사실에 주목합시다. 그리고 이러한 차이는 사르트르가 탁월하게 비종교적이고, 반종교적인 사상가라는 사실 때문에 자연스러울 뿐입니다.
키에르케고어에게는, 중심이 여하튼 그리스도로 남아 있습니다. 모든 자유로운 실존자가 그분과의 관계를 통해서 이해되어야 하는, 그 자신이 실존적으로 존재하는, 다시 말해, 비대상적인, 절대적 실존자로서 여겨지는 그리스도 말입니다. […] 그리스도가 키에르케고어의 사유에 가져다 준 이러한 절대적 측면은, 무신론적 실존주의에서는 제거되었는데, 그에 따라 자유 자체가 나쁜 것으로 심지어 도착적인 것으로 바뀌기도 한다는 사실 쉽게 드러납니다. 이것은 사르트르가 "인간은 자유롭도록 선고되었다."라고 말하는 데까지 이르는 한 사실입니다. 이 말은 자유가 인간에게, 최소한 어떤 의미에서는, 부족이나 결핍의 표현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습니다. 사르트르에게는, 존재가 자신의 부족이나 박탈에 의해 내적으로 짐 지워집니다. 이것은 바로 의식을 거역하는 박탈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가장 역설적이게도, 사르트르가 19세기 혹은 심지어 18세기 유물론자들을 따른다는 사실, 그리고 그의 형이상학에 의해 제기된 극복하기 어려운 난제가, 내가 믿기로는, 자유의 철학이 되고 싶어하는 실존철학과 언제나 이러한 동일한 자유를 질식시키기 직전에 있는 유물론 사이의 모순과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입니다. (G. Marcel, "Some Reflections on Existentialism", 250-251)
마르셀의 주장에 완전히 동의하는 것은 아니지만, 마르셀이 분명히 흥미로운 문제를 제기하고 있다고는 생각됩니다. 확실히, 사르트르 같은 철학자들이 자유를 지향하는 실존주의를 강조하면서도 자유를 결코 허용하지 않는 일종의 유물론을 자신의 형이상학적 입장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는 것은 다소 역설적이긴 하죠. 그 이외에도, 사르트르에게 자유는 우리에게 주어진 단순한 사실일 뿐, 우리가 열정을 가지고서 추구하고 실현해야 할 상태라고 보기에는 어려운 것 같습니다. 삶을 살아내고 싶다는 강렬한 '종교적 열정' 같은 동력이 사르트르의 철학에서는 다소 희미하다 보니, 자유가 '속박', '결핍', '박탈', '짐', '부담'으로만 묘사되는 것 아닌가 해요.
물론, 살아야 하는 이유가 반드시 기성 종교를 통해 제시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저는 이런 식의 이유가 언제나 '종교적' 측면을 지니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세상의 자잘한 문제들을 완전히 망각할 정도로 깊이 몰두할 만한 가치를 발견했을 때에야 우리에게 주어진 자유도 그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의미가 있을 텐데, 이런 식의 가치를 표현하기에 과연 '종교'나 '신앙'보다도 더 적절한 용어가 있을까 해서요. (하물며 애니메이션 오타쿠들조차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 속 캐릭터를 '신'처럼 숭배하기 때문에 자기 인생을 캐릭터에 갈아 넣잖아요.) 그래서 저는 일종의 '종교성'이라는 것이 없는 실존주의가 가능할 수 있을지 다소 회의적인 입장입니다. 사르트르에 대한 마르셀의 비판도 바로 이 점을 지적하고 있는 것으로 저에게는 읽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