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철학' 카테고리의 설명
|
|
0
|
346
|
5월 4, 2020
|
T h. W. 아도르노, M. 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계몽의 개념」 - 5
|
|
4
|
975
|
8월 30, 2024
|
Affirmation과 정치 철학
|
|
4
|
280
|
8월 3, 2024
|
사회적 질서의 문제(Finlayson, 2005)
|
|
2
|
232
|
7월 11, 2024
|
「주권적 개인은 니체주의적 경합적 민주주의의 주체인가?」, 『시대와 철학』, 제35권 2호, 2024
|
|
7
|
360
|
6월 29, 2024
|
페미니즘의 정치적 입장들 요약
|
|
2
|
536
|
1월 3, 2024
|
김도윤, 「니체주의적 경합적 민주주의는 샹탈 무페 모델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시대와 철학』, 제34권 4호, 2023
|
|
6
|
568
|
1월 3, 2024
|
Credibility Deficit and Credibility Excess
|
|
3
|
862
|
1월 9, 2022
|
능력주의 리얼리즘?
|
|
27
|
1467
|
11월 18, 2023
|
참여연대 <반짝★반짝 논문상> 모집
|
|
0
|
454
|
11월 3, 2023
|
인권과 투표권: 인권에 대한 로티의 관점
|
|
0
|
608
|
9월 11, 2023
|
'사회적 전회'와 지역성, 그리고 "분석철학"의 미래?
|
|
3
|
656
|
8월 16, 2023
|
니체는 왜 자본주의를 비판하는가?
|
|
3
|
1294
|
5월 17, 2023
|
김도윤, 「니체 철학의 사회철학적 재구성 흐름에 대한 비판적 점검: 공동체주의와 대안적 독법을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제45집, 2023
|
|
5
|
810
|
5월 4, 2023
|
포퓰리즘, 데모스, 급진민주주의 - 한상원 2020
|
|
3
|
681
|
2월 21, 2023
|
라클라우·무페 이론의 전략적 빈곤 - 지주형 2020
|
|
0
|
430
|
2월 21, 2023
|
샹탈 무페 이론의 한계
|
|
4
|
587
|
2월 16, 2023
|
팬데믹과 신자유주의, 신권위주의의 관계 - 무페 2022 中
|
|
3
|
374
|
2월 10, 2023
|
브뤼노 라투르 타계
|
|
1
|
619
|
10월 9, 2022
|
보편성과 특수성의 대립에 관한 통속적 니체 해석과 그에 대한 비판
|
|
4
|
867
|
6월 16, 2022
|
'상대적 박탈감'이라는 오개념
|
|
2
|
2170
|
4월 8, 2022
|
푸코에 대한 권력담론 해석이 왜 틀린가요?
|
|
2
|
1637
|
3월 31, 2022
|
트랜스크리틱이란 무엇인가?: 박가분, 『가라타니 고진이라는 고유명』 제2부 비판
|
|
0
|
1667
|
9월 18, 2021
|
에라스무스 연구소에서 짐멜&벤야민 강독회를 하네요
|
|
0
|
806
|
8월 18, 2021
|
가라타니 고진에 대한 단상
|
|
0
|
1223
|
8월 1, 2021
|
김홍중, ⟪은둔기계⟫, 문학동네, 2020
|
|
2
|
1239
|
4월 12, 2021
|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 아사다 아키라, 『구조와 힘』
|
|
1
|
2021
|
3월 19, 2021
|
바틀비를 위한 나라는 없다-근대적 인간과 <필경사 바틀비>
|
|
3
|
1845
|
8월 21, 2020
|
T. 핀카드, 『헤겔의 자연주의』 1장
|
|
0
|
952
|
7월 21, 2020
|
T h. W. 아도르노, M. 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계몽의 개념」 - 3
|
|
7
|
983
|
5월 30, 20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