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철학' 카테고리의 설명
|
|
0
|
397
|
5월 4, 2020
|
동일 노동 동일 임금
|
|
1
|
263
|
7월 17, 2025
|
슬라보예 지젝, 「소프트 파시즘, 인공지능, 그리고 수치심의 몰락」
|
|
9
|
657
|
6월 9, 2025
|
무사 알-가르비, "우리는 깨어난 적이 없다: 새 엘리트의 문화적 모순"
|
|
0
|
255
|
11월 25, 2024
|
현대 사회철학의 논의 구도
|
|
2
|
456
|
10월 14, 2024
|
참여사회연구소 신진학자 논문상 공모(~11/10)
|
|
0
|
223
|
10월 8, 2024
|
T h. W. 아도르노, M. 호르크하이머, 『계몽의 변증법』, 「계몽의 개념」 - 5
|
|
4
|
1116
|
8월 30, 2024
|
Affirmation과 정치 철학
|
|
4
|
372
|
8월 3, 2024
|
사회적 질서의 문제(Finlayson, 2005)
|
|
2
|
342
|
7월 11, 2024
|
「주권적 개인은 니체주의적 경합적 민주주의의 주체인가?」, 『시대와 철학』, 제35권 2호, 2024
|
|
7
|
513
|
6월 29, 2024
|
페미니즘의 정치적 입장들 요약
|
|
2
|
687
|
1월 3, 2024
|
김도윤, 「니체주의적 경합적 민주주의는 샹탈 무페 모델의 대안이 될 수 있는가?」, 『시대와 철학』, 제34권 4호, 2023
|
|
6
|
694
|
1월 3, 2024
|
Credibility Deficit and Credibility Excess
|
|
3
|
929
|
1월 9, 2022
|
능력주의 리얼리즘?
|
|
27
|
1850
|
11월 18, 2023
|
참여연대 <반짝★반짝 논문상> 모집
|
|
0
|
570
|
11월 3, 2023
|
인권과 투표권: 인권에 대한 로티의 관점
|
|
0
|
702
|
9월 11, 2023
|
'사회적 전회'와 지역성, 그리고 "분석철학"의 미래?
|
|
3
|
766
|
8월 16, 2023
|
니체는 왜 자본주의를 비판하는가?
|
|
3
|
1440
|
5월 17, 2023
|
김도윤, 「니체 철학의 사회철학적 재구성 흐름에 대한 비판적 점검: 공동체주의와 대안적 독법을 중심으로」, 『사회와 철학』, 제45집, 2023
|
|
5
|
944
|
5월 4, 2023
|
포퓰리즘, 데모스, 급진민주주의 - 한상원 2020
|
|
3
|
759
|
2월 21, 2023
|
라클라우·무페 이론의 전략적 빈곤 - 지주형 2020
|
|
0
|
474
|
2월 21, 2023
|
샹탈 무페 이론의 한계
|
|
4
|
666
|
2월 16, 2023
|
팬데믹과 신자유주의, 신권위주의의 관계 - 무페 2022 中
|
|
3
|
427
|
2월 10, 2023
|
브뤼노 라투르 타계
|
|
1
|
695
|
10월 9, 2022
|
보편성과 특수성의 대립에 관한 통속적 니체 해석과 그에 대한 비판
|
|
4
|
969
|
6월 16, 2022
|
'상대적 박탈감'이라는 오개념
|
|
2
|
2360
|
4월 8, 2022
|
푸코에 대한 권력담론 해석이 왜 틀린가요?
|
|
2
|
1802
|
3월 31, 2022
|
트랜스크리틱이란 무엇인가?: 박가분, 『가라타니 고진이라는 고유명』 제2부 비판
|
|
0
|
1743
|
9월 18, 2021
|
에라스무스 연구소에서 짐멜&벤야민 강독회를 하네요
|
|
0
|
852
|
8월 18, 2021
|
가라타니 고진에 대한 단상
|
|
0
|
1342
|
8월 1, 2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