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의 정치적 입장들 요약

각각의 입장은 여성의 조건이 종속의 조건이 되는 그러한 기본적인 사회제도 장치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한다.

자유주의 페미니즘: 대부분 사회가 여성을 가정이나 저임금 노동에 묶어두는 경향이 있는, 그리고 일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만큼이나 온전한 삶을 누리지 못하게 하는 법적 불평등이나 일상적 편견 및 장벽 위에 세워져 있다.

문제점: 이제껏 남성과 동일시되어온 인간과 (남성적인) 사회적 삶만이 우월한 가치를 지닌다는 생각을 당연시하는 것처럼 보임.

래디컬 페미니즘: 거의 모든 사회가 가부장적이다. 이러한 사회의 문화, 신념 체계, 제도와 규범이 남성은 지배를 추구하게 만들고, 여성은 복종하게 만든다.

문제점: 모든 여성이 공통적인 어떤 것을 갖고 있다고, 즉 집단으로서의 여성은 집단으로서의 남성에 의해 지배받는 고통을 겪고 있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본질주의적이다. 하지만 이러한 본질주의는 단순화의 오류를 겪는 위험이 있다. 실제 현실에서 어떤 여성은 어떤 남성에 대해 권력을 갖는 반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사회주의 페미니즘: 현대사회의 경제구조는 자본주의적이고, 자본주의는 젠더 편향적인 초기 가부장적 관념들과 상호작용해왔다. 그 제도들은 여성과 남성을 서로 다른 종류의 노동으로 밀어 넣었고 남성의 노동에 더 높은 보수를 주었다.

문제점: 맑스를 따라 생산적 활동에 초점을 맞추는지라 이들은 출산과 자녀 양육을 특수한 형태의 생산적 활동으로 취급한다. 그러나 생산은 전통적으로 철저히 남성적인 활동으로 여겨져왔기 때문에 이들은 남성 편향적인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출산과 육아 문제에 접근하는 듯이 보인다. 기존의 남성 편향적인 사상의 틀에 갖혀 여성의 경험을 성찰하는 새로운 범주 개발에 미흡하다는 말이다.

흑인 페미니즘: 근대사회의 기본 장치는 모든 여성이 그들의 젠더 때문에 불리한 입장에 처하게 되지만, 어떤 여성들은 그들의 인종 덕분에 특권을 누리게 되는 억압 체계의 관계망을 여실히 보여준다. 즉, 근대사회는 단순히 가부장적이거나 가부장적-자본주의적인 것이 아니라 인종적 억압을 포함한 여러 주요 억압 체계에 의존한다. 이 체계들은 서로를 강화하고 형성하며 지배의 매트릭스(matrix of domination)을 이룬다. 백인 여성이 흑인 여성보다 더 우세한 권력과 자신감을 갖고 있는 현실을, 여성들 사이의 권력 차이를 직시해야 한다.

cf. 낸시 프레이저는 ‘생산관계의 심층적인 재구성’ + ‘여성의 열등성에 대한 문화적 가정들의 심층적인 재구성’을 말하는데, 이들은 이에 동의하면서 추가로 인종적 가정들의 심층적 재구성도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문제점: 텍스트에 명료히 드러나있지 않음.


출처: 엘리슨 스톤, 페미니즘 철학, 2022, pp. 11-59.

5개의 좋아요

평가가 좋은 교과서라고 슬쩍 들었던 책이군여... 재밌을것같아서 나중에 읽어보고 싶습니다

철학과 사회학 전부를 통틀어서 제가 읽어본 교과서적 텍스트 중에 가장 뛰어납니다.

2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