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ccoon 님과 @wildbunny 님이 번역하신 티모시 윌리엄슨의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가"의 마지막 부분입니다. 제가 읽다가, 남아 있는 부분이 얼마 되지 않아 번역했습니다.
역사는 종종 승자에 의해 쓰인다고 말해진다. 하지만 분석 철학의 경우, 역사가 대체로 패자들에 의해서 쓰일 위험을 가지고 있다. 하나의 이유는 분석 철학이 어떤 이유에서인지 반-역사적 전통을 가졌기 때문이다. 특히 스스로를 야망이나 성취에 있어서 과학과 동등한 것으로 여기는 점에서 그렇다. 그렇기에, 분서철학은 과학마냥 과거보다는 미래를 지향했다. 진보가 예상되는 시점이라면 딱히 놀라운 태도인 것도 아니다. 역사를 좋아하지 않은 사람들은 그들의 역사가 자신들을 싫어하는 사람들에 의해 쓰일지라도, 불평할 수 없는 법이다. 두번째 이유는 최근의 분석 철학이 (전복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분석철학의 역사에 대해 말해져야 한다 느끼는 거대 서사를 전복하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이다. 특히, 리얼리즘 형이상학의 재부상은 종종 어떤 부끄러움도 가지지 않고 사물 그 자체(things in themselves)에 대해 생각하기 때문이다. 칸트-비트겐슈타인-듀이에 동조하는 사람들은 최근 분석 철학이 긴 철학의 과정 중 중요하지 않은 변칙적 사건이자, 지나갈 구태의연한 것으로 보고 싶어할 것이다.
이 사례에 해당하는 사람은 리처드 로티다. 그는 한 걸음 뒤에 서서, 감탄을 자아낼 정도로 동시대와 가까운 분석 철학의 역사가 가진 선명한 패턴을 분간하려고 했다. (또한) 그는 자신의 영웅들을 하나하나 호명한다. 칸트, 헤겔, 비트겐슈타인, 듀이, 하이데거, 셀라스, 브랜덤. 그의 선정적이고(racy) 정교하게 의도된 도발적인(deliberately provocative) 이야기가 널리 읽힌 것은 놀랍지도 않다. <철학과 자연의 거울>에 (영웅으로든 빌런으로든) 언급된 무수히 많은 당대 철학자들 명단에 데이빗 루이스가 누락된 것은 눈에 띄는 지점이다. 루이스는 그 때 이미 널리 논의되는 두 권의 책/무수한 논문을 썼으며, 1970년대 이후 프린스턴에서 로티의 동료였음에도 그랬다. 로티의 레이더는 다음 세기 분석 철학의 중심 인물과 (그 인물이 가져올) 심각한 위협을 놓친 셈이다. 로티는 새로운 물결의 언어 철학자들과 이에 수반된 형이상학에 더 이상 동감하지 않은 것이다. 왜냐하면 이 흐름이 가진 의미론에 대한 지칭적 접근은 언어를 세계에 대한 거울로 만든다는 점에서, 자신의 입장이 위협받을 정도가 되었기 때문이다. 미래를 위해, 그는 자신의 돈을 추론주의적 접근, 특히 로버트 브랜덤에 의해 제시된 신-실용주의적 형태에 대신 투자했다. 이 이론은 언어 게임에서 화자가 움직일 수 있게 만들어주는 (화자에게 가해지는) 요구(commitement)와 (화자가 가지는) 권리(entitlement)에 초점을 맞춘다. 브랜덤은 자기 스스로도 철학의 역사에 관한 거대 서사를 가지고 있다. 브랜덤은 (농반진반으로 [tongue partly but not wholly in cheek]) 자신이 칸트와 헤겔의 자연스러운 계승자라 자평한다. 하지만 그의 추론주의는 더밋의 것보다 훨씬 더 프로그램적인 단계에 머물러있다. (왜냐하면) Dag Prawitz 등이 제시한 증명 이론(proof theory)에서 이루어진 기술적 발전과 연관된 더밋에 비해, (브랜덤의 이론에는) 이와 같은 것이 결핍되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추론주의는 언어학자들에게 지칭주의(referentialism)보다 훨씬 덜 유용하다. 상스럽게 말하자면, 실용주의적 관점에서 지칭주의가 추론주의를 "발라버린 셈"(beats)이다.
물론 우리는 최근 철학에 대한 역사가 미래에 대해 중립적일 것이라 기대해서는 안 된다. 누가 무엇을 언제 출간했는지만을 담은 건조한 목록조차, 누가 무엇이 역사적으로 중요할 것이라는 암묵적인 기준을 전제한다. 좋은 역사적 이야기는 자신의 글에서 보다 직접적이고(explicitly) (자신의 입장을 고려하여) 반성적으로(reflectively) 패턴을 명확하게 한다. 이 논문은 (역사에 대해 진지한 깊이나 엄격함을 열망하는 것이 아니라고 이미 말했지만) 요근래 분석 철학을 다루는 역사서라면 누구라도 질서를 부여해야 할 몇 가지 두서없는 덩어리들을 제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글에는 보다 명확히-반성적으로 언급되야할 거대한 패턴를 말하려는 시도(gesture)가 있었다. 연대기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철학 내에서 유행이 가진 힘은 이미 철학의 역사가 어떠한 패턴을 보여줄 수 밖에 없다는 점을 보증한다. 이 패턴이 그저 한 무리가 이곳저곳으로 달려는 것으로만 보이면 좋겠지만, 몇 유행은 회고할 때 머저리처럼 보인다. 그 당시에도 그에 동조하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이미 그렇게 느껴졌다. 하지만 유행은 모든 학문 영역에서 강력한 힘을 지닌다. 심지어 수학조차 그렇다. 예컨대 어느 주제나 스타일의 작업이 명망 있는지 고려하는 경우를 생각해보라. 또한 유행은 단지 인간 집단이라면 피할 수 없는 결함인 것도 아니다. 학계의 유행은 제도 속에서 훈련된 인간이 제도에서 훈련된 다른 사람의 판단을 존중하여, 무엇이 모방하거나 따라야 할 좋은-가치있는 작업인지 정하기에 발생한다. 모든 일이 잘 돌아갈 때, 이 매커니즘은 공동체가 발전이 일어나는/일어날 것 같은 곳에 빠르게 역량을 집중할 수 있게 만들고, 노력이 낭비되는 일을 피하게 해주며, 집단의 기준이 생기게 만든다. 이는 타인에게서 무언가를 배우는 방법이다. "유행"이라는 단어는 주된 견해에 대한 존중이 숭배에 이르러, 다양성과 독립적인 생각을 질식하게 만들고, (마침내) 다른 대안을 잃어버려서, 학계가 잘못된 방향에서 후진하기 더욱 어렵게 만들 때에나 적절하다. 하지만 유행의 역할은 오직 어떤 공동체가 없을 수 없는 어떠한 것의 과장된 형태일 뿐이다. 나쁜 아이디어에 쏟은 시간과 노력, 잘못 생각된 프로그램조차, 그 탐구의 한계가 적절히 탐사-평가되어 교훈을 충분히 얻었을 때에 그 나름의 가치가 있다. 학계의 유행의 역사는 고도로 지적이며 박학다식한 사람들이 한때 어떻게 무엇을 보았는지에 대한 역사다.
이 글에서 논의된 철학의 변화가 일어난 시기에 대해 이미 정치적-사회적-문화적 역사가 쓰였다. 철학의 역사 역시 적절하게 쓰여야 할 것이다. (다만) 이걸 쓰는 철학사학자는 최소한 왜 그때 많은 철학자들이 이걸 좋은 아이디어로 여겼는지 이해하고 공감하는 사람이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역사가 이제 쓰여지기 시작했다는 긍정적인 징조들이 있다. 나는 그 작업들을 읽을 수 있는 날을 고대한다.
검색의 편의성을 위해 연재글 전체의 하이퍼링크를 아래 달아놓겠습니다. 그동안 열심히 번역해주신 라쿤님과 와일드버니님에게 다시 한번 감사를 표합니다. 정말 좋은 글이었습니다.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가 (1)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가 (2)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가 (3)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가 (4)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가 (5)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가 (6)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가 (7)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가 (8)
우리는 어떻게 여기에 오게 됐는가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