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인', 그리고 철학사가의 임무

전통적으로 철학사 연구의 주된 의의 중 하나는 철학사의 '거인' 을 깊게 탐독함으로써 통찰을 얻고 새로운 철학을 펼쳐나갈 기반으로 삼는 것이었다고 봅니다. 이건 본 포럼에서 번역되었던 질 들뢰즈의 견해에서도 잘 드러나는 것 같습니다.

전세계의 뭇 철학적 전통에서 많은 실질적인 "철학적 작업"이 그 앞서 살았던 '거인'들의 문헌에 대한 주석 및 해석 작업을 통해 이뤄졌다는 점은 이를 잘 방증하는 것 같습니다. 들뢰즈 본인의 철학사가로서의 커리어 또한 그러했구요.

그런데 이런 전통적인 '의의'가 2020년대 지금의 철학사 연구와는 궤가 점점 달리하게 된다는 인상을 받게 된 바 있습니다. 최근 아래 글을 보면서 오랜만에 다시 떠오르게 된 생각인데요.

플라톤, 맹자, 데카르트, 칸트 등 '거인'들에 대한 켜켜히 쌓인 해석사에 또 한 줄을 덧붙이는 것이 아니라, 역사의 흐름 속에 '잊혀졌던 인물'들을 재발견해내는 것으로서의 의의가 철학사 연구에서 점점 부각되는 것 같다는 인상을 받고 있습니다.

대중적인 시도로는 전세계의 잘 알려지지 않았던 철학사를 소개하는 팟캐스트인 History of Philosophy without any gaps, 서양 근대 여성 철학자들에 대한 조명을 시작으로 점점 범위를 확장해나가는 Project Vox 같은 사례를 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런 흐름은 학술지 공간에서도 확인되는 것 같은데요. 2018년에 창간 25주년을 기념하여 British Journal for the History of Philosophy의 편집장 Michael Beaney가 쓴 논평문 "Twenty-five years of the British Journal for the History of Philosophy"에서 이를 잘 표현한 것 같습니다.

[본 학술지에서 첫 20년간 출판된 논문 주제들을 살펴보니] 거의 반에 달하는 논문들이 소위 근대 철학의 '7대장(big seven)'에 집중되어 있었고 [데카르트, 칸트, 흄, 로크, 라이프니츠, 버클리, 스피노자: 역주], 2분의 3에 달하는 논문이 고작 16명 정도 철학자에 할애되어 있었다 [+ 홉스, 아리스토텔레스, 말브랑슈, 리드, 플라톤, 헤겔, 밀, 키에르케고르, 니체: 역주]. 따라서 우리의 핵심 목표는 명확했다: 다른 철학자들에 대한 출판 비중을 늘리기.

[본 학술지에서는] 지난 오 년간 그전까지 다뤄지지 않았던 82명의 철학자, 전통 및 주제에 대한 논문이 출판되었다. 덕분에 '7대장'에 관한 논문은 49%에서 20%로 줄어들었고, 기존의 '16대장'에 대한 논문은 67%에서 40%로 줄어들었다.

저자는 본 학술지에서 "지난 오 년간 이룩해낸 결과물에 대한 흡족감"을 표시하며, 다음과 같이 논평합니다.

첫째, 근대 철학 '7대장' 및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에 대한 연구는 이미 충분히 기름칠이 잘 되어있는 기계라고 봅니다. 이미 그 저작들에 대한 훌륭한 철학적 해석들, 거기에 풍부한 맥락적 연구는 충분히 많이 쌓였습니다. 만약 하고 싶기만 하다면 신진 학자는 얼마든 다른 이들의 어깨 위에 서서 공헌을 할 수가 있습니다. 그게 그냥 기존 논쟁에 주전원(epicycle)을 하나 더 덧붙이는 것일뿐일지라도요.

둘째, 이들 아홉 명 (혹은 열여섯명) 철학자에 대한 전공자들은 철학 정규직 취직이나 승진 등을 두고 봤을 때 현대 인식론, 형이상학, 윤리학, 언어철학 같은 분야 전공자들에 비해 그 기회가 딸리지 않는 반면, 예컨대 중세철학이나 신칸트주의 전공자들은 '그 급이 같지 않다(not in the same league)'는 편견이 팽배해 있습니다. 저희는 이런 편견이 얼마나 깊게 잘못된 것인지를 보이고자 합니다.

(관련 Daily Nous 링크: 1, 2)

물론 이러한 흐름은 어쩌면 기존의 철학사 연구에 대한 견해와 충돌하지 않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그저 이제까지 놓치고 있었던, 새로운 '거인'을 찾는 시도로 현재의 흐름을 이해할 수 있을수도 있으니까요.

다만 저의 인상이 맞다면, 어쩌면 이러한 흐름은 그저 그 어깨 위에 설 '거인'을 찾는 주석가로서의 모습이 아니라, 아예 거인이 아닌 '틈새'를 발굴해내는, @Mandala 님의 표현을 빌어 "빅토리아 모험가"로서 철학사가의 임무가 재정립되어가는 흐름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다들 이런 흐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9개의 좋아요

(1) 오만한 말이긴 하지만, 이에 대한 매우 큰 제 견해를 말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a) 지금 같은 '빅토리아 시대 모험가'로서의 철학자/철학사가라는 역할은 10-20년대로 수명을 다할 것이다.
; 사실 철학사 내 이러한 흐름은 학계 내부적 요인과 학계 외부의 사회작 요인이 결합한 탓으로 저는 바라보고 있습니다. (i) 학계 내부적 요인이라면, '전통적인 철학사'를 전공한 사람들의 교수 자리는 여전한 반면, 이들이 '연구할 만한 새로운 내용'은 더 이상 부족하게 된 상황을 의미합니다. 말하셨듯, 전통적으로 철학사는 '거인'에 대한 주석이었습니다. 하지만 이 거인은 7대장 - 16대장으로 그 수는 매우 적고, 이제 무수히 많은 전세계 사람들이 달려들어서 물고 뜯고 맛보고 논문을 '경쟁적으로' 발표하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어떠한 '새로움'을 기대하는 것은 어려워 보입니다.

이와 같은 학계 내부적 모순 상황에서, (ii) 학계 외부의 상황적 변화는 어떠한 이 교착 상황에 대한 타계책을 제시했다 여겨집니다. 하나는 지성사(intellectual history)이고 다른 하나는 PC의 흐름이겠죠. 지성사는 제가 보기에 '거인'보다는 '역사'에 초점을 맞춥니다. 그러다보니

이 아닌, 틈새/전달자/번역자 등 역사적 가치가 충분한 것이면 무엇이든 연구할 수가 있죠. (그리고 역사적 가치가 없는 것은 존재하지 않아 보입니다.)

나아가 PC의 흐름은 이 '역사적 가치' 중 무엇이 더 연구할 만한 가하는 선택의 기준을 제시했다 여겨집니다. 그동안 간과되어왔던 젠더퀴어/소수인종/타문화권 등등.

아마 장기적으로는 지성사와 철학이 분리되면서, 지금의 상황이 해소될 것이라 생각됩니다. 지금 같은 상황에서 누군가가 '거인'을 '기적적으로' 발견한다면, 그 사람은 이제 철학의 커리큘럼 내에서, 다시 물고 뜯고 맛보는 신세가 되겠죠. (오늘날 인도 철학이 점점 이렇게 되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나가르주나, 쿠마릴라, 디그나가 등등) 반면 그렇지 못한 사람들과 그런 것들에 대한 연구는 (외부의 PC라는 바람이 다시 잠잠해진다면) 철학계의 '무관심'으로 인해, 지성사의 영역으로 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b) 장기적으로 (영미권 분석) 철학계 내부에서 유익할 만한, 철학사 연구는 20세기 전반 영미/독일의 영향을 받은 반-서양 국가들의 철학자들이다.
; 앞서 말했듯, 결국 철학과 내에서 계속 거인 대접을 받고 지속적으로 연구될 사람은 '역사적 가치'가 높은 사람이 아닌 '철학적 가치'가 높은 사람입니다. 여기서 철학적 가치란 대체로 논증의 치밀함, 신비주의와 같은 (오늘날 사람들이) 수용하기 어려운 비약이 없는 것 등등이죠.
(그렇기에, 유대교 신비주의인 카발라나 이슬람교 신비주의인 수피즘, 불교/힌두교의 탄트라 같은 요소들이 각 문화권 내에서는 '철학'이라 불리는 흐름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지만, 정작 오늘날 철학사 연구에서는 떨떠름한 위치를 차지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를 생각해보면, 철학적 가치가 높은 문헌은 필연적으로 지금 분석 철학계와 유사한 풍토를 가지면서도, 영미권 학계와 고립되어 있었기에 독자적인 연구 방향성을 생성한 반(half)-서양 국가들에 많을 수 밖에 없어 보입니다.
(반 -서양이 조금 애매한 표현이긴한데, 서유럽 [영국, 미국, 프랑스, 독일]은 아니지만, 이들의 영향을 받아서 일찍부터 서양 철학/계몽주의/모더니즘을 수용한 국가를 지칭하고자 제가 쓴 표현입니다. 대체로 스페인/포르투갈/이탈리아 같은 남유럽, 폴란드/헝가리/체코 같은 중부유럽, 핀란드/노르웨이 같은 북유럽, 멕시코/아르헨티나/브라질 같은 라틴아메리카가 있습니다.)

(이처럼 핀란드에는 게임 이론 - 형식 논리학을 활용해 사회학적 주제를 탐구하는 전통이 있습니다. [이번 르포르가 편집하는 응용언어철학 컴패니언에 참여하는 학자 중에서 핀란드 분이 계시기도 합니다.])

(한편 비-형식 논리학을 비롯, 주류 영미 철학계에서는 잘 다루지 않는 논리학/언어철학적 문제를 다루는 전통이 네덜란드에 존재합니다. 이 Dutilh Novaes는 네덜란드에 계신 분입니다.)

3개의 좋아요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동의하게 되는 부분도, 말을 좀 아끼게 되는 부분도 있네요.

사실 이 지점 같은 경우에는 특히 공감을 하게 되는게, 인도 철학이 그 아래에서 말씀해주신

학문 공동체의 조건에 잘 부합하는 것으로 느껴진다는 점이었습니다. 그 주제면에서도 그러하구요. 이런 측면에서 저는 개인적으로 ''거인'에 대한 주석'으로서의 전통적인 관점을 따른다 할지라도 철학사의 외연은 점점 넓어질 것 같다고 추측하게 됩니다.

2개의 좋아요

"철학사가"에 대해 몇가지 구분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1. "거인"의 철학적 사상을 연구하면서, 그로부터 현대에도 적용될 수 있는 "철학적" 함축이나 논변을 발굴하고 재구성하는 경향성. 예컨대 영미권에서의 칸트, 헤겔 연구가 이러한 경향성을 잘 보여준다고 봅니다.
  2. "거인"의 철학적 사상을 그 자체로 연구하면서, "거인"이 표현하고 제시했던 사상을 최대한으로 해석학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경향성. 아마 이것이 가장 일반적으로 "철학사가"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일 듯 합니다. 물론 이들도 철학적 함축이나 논변을 강조합니다. 다만 1번이 현대적 재해석에 가깝다면, 2번은 역사적 연구의 성격을 가집니다. 예컨대 칸트, 헤겔에 대한 연구에서 유럽권으로 갈수록 1번보다는 2번과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3. "거인" 자체가 아닌, "거인"들이 살았던 역사/사회/문화적 배경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 "거인"들의 사상을 맥락화시키고자 하는 경향성. 지성사/이념사/개념사 등의 작업들이 여기에 속할 듯합니다. 예컨대 "거인"이 살던 시대의 지적 분위기, 당시 논쟁적이던 주제들, 당대의 개념사용, "거인"과 당대인들 사이의 교류 및 영향관계 등등이 연구됩니다.

1번쪽으로 갈수록 소위 철학과에 가까워지고 3번쪽으로 갈수록 역사학과/문학과 등과 공유하는 외연이 넓어집니다.

말씀하신 "넓어지고 있는 철학사의 외연"에서의 "철학사"는 3번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거인"들이 아닌 다른 곳으로 시선을 돌림으로써 이러한 외연확장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3번 역시 다시 한번 (인위적) 구분을 할 수 있어 보입니다.

3-1. "거인"들의 사상에 굉장히 많은 영향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무시되거나 발굴되지 못한 "틈새"를 찾는 경향성. 개인적으로 최근 지성사에서 이러한 경향성을 따라 굉장히 많은 성과를 거두었다고 봅니다.
3-2. 3-1과는 무관하지만 (즉 "거인"들에 끼친 영향 자체는 미미하지만), 지금까지 주목받지 못했던 "틈새"이기 때문에 이들을 발굴하고자 하는 경향성.

저는 1,2,3번 그리고 3-1,3-2번 모두 학문적으로 매우 가치 있는 작업들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제가 비록 이들을 넘버링하면서 인위적으로 구분을 했지만, 이들의 작업들은 대개의 경우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또한 1번으로 갈수록 "철학적" 가치가 높고, 3-2번쪽으로 갈수록 "역사적" 가치에 한정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3-2번이 있어야 3-1번이 가능해지고, 3번이 있어야 2번, 더 나아가 1번이 가능해진다고 생각하기에, "역사적" 외연을 역시 넓히는 작업이 동시에 "철학적" 외연을 넓히는 작업에도 도움을 주고 있는 것이죠.

다만 최근의

이러한 경향성들은 3번 중에서도 3-2번에 귀속될 수 있을 듯한데, 최근의 "유행"을 보면 이러한 경향성이 1/2/3/3-1 번과의 유기적 관계를 염두에 두고 하는 작업이라기 보다는, Mandala 님이 말씀하셨듯 모종의 윤리적/정치적 신념과 결부되어 있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습니다.
또다른 부작용은 이들이 보여주는 성과에 비해 과대대표되는 경향이 있다는 거죠. 예컨대 현대 철학에서 연구되고 있는 주제들에 대해 concise하면서도 전문적인 내용을 전달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Cambridge Elements Philosophy 시리즈는 총 18개의 하위 시리즈를 가지고 있는데 (Philosophy), 대부분은 "주제적" 시리즈로서 "인식론", "윤리학", "형이상학", "논리학" 등으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그 중 "철학사"에 할애된 하위 시리즈는 총 4개인데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를 총망라하는) 고대철학", "칸트", "비트겐슈타인", 그리고 "Wome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입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철학적 주제들에 대해 알고 싶어 하는 독자의 입장에서는 살짝 갸우뚱하게 되는 것이죠. 현재 논의되고 있는 "여성주의" 테마에 대한 하위시리즈도 없는데, 철학사 속에서 발굴되지 않은 여성철학자들을 다루는 "철학사" 시리즈를 낸다는게 저로서는 납득하기 어렵더군요.

3개의 좋아요

잊혀졌던 인물들을 발굴해내려는 오늘날의 경향 자체는 좋다고 생각해요. 다만, 저는 '거인'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매우매우 중요하다고 봅니다.

철학사를 공부하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저는 그 중 하나가 '소통'이 아닐까 하네요. 가령, 유럽권의 정치철학을 전공하는 사람과 영어권의 언어철학을 전공하는 사람 사이에는 엄청난 갭이 있지만, 아무리 세부 전공이 달라도 아직은 철학을 공부하는 사람이라면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아퀴나스, 데카르트, 칸트 같은 철학사의 '거인'들에 대해서만큼은 전공을 넘어서는 어느 정도의 합의된 이해가 있잖아요. 종종 그 이해를 바탕으로 상대편 진영에 대한 접근이 가능해지기도 하고요.

가령, "A는 칸트의 초월철학적 기획을 받아들이고 있다." 혹은 "B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 윤리를 현대적으로 계승하려 한다."라고 하면, 그 입장들이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을지에 대해 대강이나마 떠올려 볼 수 있잖아요. 철학사의 '거인'들이 특정한 철학적 진영 자체를 압축적으로 대변하고 있으니까요. 그래서 별도의 자잘한 설명 없이도, 자신이 지지하거나 비판하는 철학사의 거인들을 논평하는 작업만으로도 곧바로 문제의 핵심으로 들어갈 수 있을 때가 많죠.

'거인'들의 이야기로서의 철학사는 이런 식으로 철학 전공자들이 함께 토론할 수 있는 공통의 지반을 마련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생각해요. 어느 사회나 구성원들이 통합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합의된 역사 의식이 필요하듯이 (가령, 우리 나라에서는 일제강점기와 민주화에 대한 논의들이 특히 그런 역할을 하듯이) 철학사는 지금처럼 철학 내부의 전공이 세분화된 시대에 마지막으로 남아 있는 통합의 보루가 아닌가 해요.

'잊혀졌던 인물들'을 찾고 '틈새'을 메우려는 작업은 무척 장려할 만한 것이지만, 자칫 이런 작업들이 철학사를 완전히 파편화시켜서 그나마 남아 있는 공통의 지반을 없애버리는 뱡향으로 전개되지는 않을지지 조금 우려가 되긴 해요. 철학사를 단순히 '자료사' 혹은 '인물사'로 만들어버릴까봐 걱정스러운 거죠.

적어도, 저는 철학사가 잡다한 정보의 나열을 넘어서 철학 전공자들이 대체로 동의할만한 학계의 '담론 유형'과 '담론 방향'을 담아내야 한다고 생각해요. 소위 '철학사 망각'이라는 것이 그 자체로 비난적인 표현인 이유도, 저 말이 "너는 지금 철학판이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도 모르냐?"랑 거의 동의어처럼 쓰이고 있어서잖아요. 설령, 철학사가 지금보다 훨씬 더 다양한 인물들을 포함하게 된다고 하더라도, 철학사를 이루는 큰 줄기들에 대한 합의된 논의들은 계속 남아 있으면 좋겠다는 게 제 생각이에요.

5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