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철학사에 대한 짤막한 낙서

(1) 요근래 철학사에 대한 글을 두 가지 적었다.

이는

라는 글을 읽다가, 예전부터 내가 가지고 있던 덕후 기질(?)이 다시 끓어오른 덕분이었다.

(2)

예전에도 간략하게 적은 바 있지만, 오늘날 (영미권 학계의 철학사 연구에서) 철학이라 지칭되는 범위는 과거에 비해 넓어졌다. 흔히 (문화인류학의 역할이라 여겨졌던) 세계관(world view)에 가까운 내용들까지도 이제 철학사의 영역으로 포섭되었다.
이러한 흐름의 한계에 대해서는 윗 글에 이미 적은 바 있다.

(3)

그래도 우리는 적어도 세 가지, 철학이라 불릴만한 학문이 제도권 내에서 지속적으로 연구된 문화권을 가지고 있다. (a) 고대 그리스 철학을 계승한 유럽과 범아랍권 (b) 인도 철학을 계승한 인도 - 티베트 - 동남아권 (c) 중국 철학을 계승한 동북아권.

이 중에서도 영미권 학계의 관심을 지속적으로 받고 있는 분야는 (a)와 (b)다.

(4)

얄궂게도 새로운 분야의 철학사를 연구한다는 것은, 빅토리아 모험가와 같은 신세가 된다는 점이다. 새롭게 발굴된 철학자/문헌은 모두 '역사적 가치'를 지닌다. 하지만 철학적 가치는? 그 사람이 독창적이며 고유하고 정교한 체계를 발달시켰는가?

슬프게도, 철학사 연구에서 결국 명예를 얻은 사람은 '철학적 가치'가 높은 문헌/학자를 발견한 사람이다.

(5)

SEP의 중세 철학은, 사실 현 학계의 최전방이라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현 학계의 최전방은 이미 아랍 철학을 넘어, 다른 언어로까지 번졌다.

(i) 늦고대 고대 그리스 철학/기독교를 수용한 지역들
; 신플라톤주의 이후 기독교가 로마 제국에서 공인된 시절, 로마가 정복/영향을 미치던 지역으로 기독교 문헌들은 번역되었다. 이 과정에서 철학 문헌 역시 부수적으로 번역되었는데, 아랍 철학 이후의 먹거리로서 한동안 꽤 많이 연구되었다.
고대 이집트의 콥트어, 아랍/이슬람 정복 이전의 시리아어, 아르메니아어, 에티오피아 정교회의 게으즈어. 이 넷이다.
이 중 콥트어 문헌은 가장 먼저 '나가리'가 되었다. 콥트어 문헌은 대부분 고대 그리스 문헌의 번역본이었으며, 흥미로운 작품이 소수 있지만 (나그함디 문헌에서 발견된 마니교/그노시즘/헤르메스 문헌들) 철학적 가치는 떨어진다는 것이 학자들의 대체적인 합의인듯하다.
시리아어도 한동안 유행이었다. 결국 아랍권에 고대 그리스 문화를 전파한 사람들이 시리아어 기독교인인 이상 여기에도 무언가가 있지 않을까? 그렇지만 결론은 거의 없다, 로 귀결된 듯하다. (거대한 시리아 기독교 컴패니언에 흥미로운 자료는 딱히 보이지 않았다.)

이제 남은 것은 아르메니아와 게으즈어다.
이 둘은 아직 (문헌 연구에 있어서는 미국보다 훨씬 선두에 서 있는) 유럽에서나 주로 연구되는 실정이다. 내가 기대하는 것은 게으즈어다.
의외로 에티오피아는 문헌 전통이 오래되고, 아랍권과의 교류가 활발했던 지역이라 나름의 독자적인 철학 전통이 있을 수도 있다. (특히 아프리카 철학의 부상으로, 에티오피아는 나름 주목을 받는 지역이기도 하다.)

(ii) 범-아랍권의 철학들
; 의외로 이슬람이 전파된 지역에서는 모두 마드라스라는 교육 시스템을 통해 인력/문헌의 교환과 생산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사실 '고전기 이후' 아랍 철학에 대해서, 오스만(터키)/사파비(이란)/무굴(인도) 이 세 제국조차 이제야 연구가 되는 상횡에서, 이 너머의 아자미(아랍어를 차용해 로컬한 언어로 만든 문헌)를 쓰던 변방의 철학을 연구하길 기대하는 건 무리일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대략적으로 쓰면 다음과 같다.
(a) 우선 러시아가 있다. 카잔 지역처럼 금장 칸국 이후 볼가 타타르 등에 의해서 유럽에서 최초로 이슬람이 도입된 지역과 나중에 이슬람으로 개종한 코카서스 지역, 크게 두 권역이다. 꽤 흥미로운 문헌들이 남아있는 것으로 아는데, 대체로 러시아 대학들에서 연구가 되고 있기에 영미권에서는 거의 소식을 알 수 없다.
(b) 서아프리카. 사하라 지역에는 거대 제국들이 있었고, 유명한 마드라스도 꽤 있었다. 프랑스와 영국의 학자들이 열심히 문헌을 뒤지면서 정리하고 있는데, 다들 사학자에 가깝다보니 역사서가 더 주목받는 실정이다. 아마 마드라스 문헌이기에 여러 논리학이나 신학, 철학 교재 역시 있을 것이다.
(c) 동아프리카. 동아프리카 역시 독자적인 문헌 전통이 성립되어있다. 스와힐리어와 소말리어 등. 스와힐리어 연구는 의외로 스와힐리어를 국어로 정한 탄자니아/케냐가 중심가 되는 바람에, 영미권쪽 소식은 한발짝 느린 감이 있다.
(d) 말레이 - 인도네시아. 이 지역 역시 많은 로컬 문헌들이 생산되었다. 말레이어, 자바어는 물론 세 네 가지 언어가 문헌을 남긴 것으로 기억한다.
(e) 오스만 제국의 일부였으나, 유럽에서 가장 무슬림 인구가 많은 보스니아도 흥미로울 수 있다. 이 지역에는 세라피딤 유대인들이 스페인 무슬림 왕조의 몰락 이후 꽤 많이 피신한 지역이다. 유대 철학이나 이슬람 철학에서 뭔가 흥미로운 요소들을 찾을 수 있을지 모른다.

(iii) 선교 - 수도사들의 철학

; SEP에도 나와있지만, (우리가 흔히 근대로 분류하는) 스피노자나 라이프니츠 시대에도, 프랑스/이탈리아/스페인/포르투갈에서는 중세 스타일의 철학 교육이 여전히 대학에 남아있었다. 특히 이런 교육을 받은 예수회/프란체스코회 수도사들이 여러 나라로 퍼지면서 나름의 흥미로운 문헌들을 꽤 많이 남겼다. (최초의 인류학적 문헌을 남긴 사람들이 기본적으로 다 스콜라 철학을 공부한 사람이었다니. 흥미롭지 않는가?)
우리가 아는 중국에 서학을 확립한 마테오 리치는 물론, 프란시스코 하비에르처럼 인도 고아 지방에 선교한 사람도 있다. 나아가, 아즈텍/마야 같은 메소아메리카, 잉카 같은 안데스, 그 외 국가를 형성하지 못한 여러 아메리칸 원주민에 대한 첫 기록을 남긴 사람들도 수도사들이다.
나는 이들 연구가 어떤 가능성을 잠재한다 믿는다.

(6)

인도 철학도 굉장히 많이 연구되는 분야다. 그래도 인도 역시 고전기 이후에 대한 논의나 자이나교에 대한 논의는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니 동남아에 대한 논의는 시기상조일 수 있다.

흔히 동남아 불교를 상좌부라 하지만, 이는 오해의 소지가 있다. 적어도 10세기 정도까지 인도네시아의 보로도보루나 캄보디아의 앙코르와트가 보여주듯, 동남아의 불교는 대승/탄트릭 불교에서 큰 차이가 없었다. (중국에 밀교를 전한 승려들도 대부분 벵갈에서 동남아를 거쳐 중국으로 오는 해양루트를 선택하기도 했다. 이는 이슬람의 정복으로 카슈미르가 무너졌기 때문이다.)

이제 그 이후 태국 남부에 있는 몬 제국에서 일종의 국교 프로젝트로 스리랑카에서 상좌부 불교를 도입한 후, 버마와 태국은 상좌부 문화권으로 넘어간다. (따라서 상좌부 문헌 아래에 존재하는 로컬한 위경이나 전통들은 이전 대승/탄트릭 불교의 영향일 수도 있다.)

여튼 상좌부 불교에 대한 연구도 팔리오부라는 전통적 문헏에만 집중할 뿐, 그 이후 각 지역에서 생산한 팔리어 주석 혹은 로컬 언어 주석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편이다.

얄궂게도 태국 고대 문헌에 대한 연구가 가장 활발한 국가는 독일이다. (기실 독일이 기이한 문헌을 참 많이 연구하긴한다.)

7개의 좋아요

세계철학사, 특히 쉽게 평소에 만날 수 없는 지역의 철학에 대해 개관하여 주신 글, 참 재미있었고요, 많이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드려요.

이슬람/유대 철학 (및 신학)을 포함한 중세철학에 대해선, 주요한 1차 문헌이 그리 많이 한국어로 번역되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앞으로 그러한 문헌들의 번역작업이 주된 과제로 남게 될 듯도 합니다.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세계 각국의 고대후기~중세 시기 철학을 연구하고 가치있는 학문적 성과를 발굴하는 것이 큰 의의가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동시에 현대에 활동한 수많은 학자들의 다양한 업적들을 발굴하는 것 역시 큰 의미가 있다고 보여요. 사실 고대부터 18세기까지 정도까지 철학자 수와 19세기 이후 현대까지 활동했거나 현재 활동하는 학자 수를 비교해봐도 후자가 훨씬 많을 거라 여겨지거든요.

그리고 혹시 실례가 되지 않을까 염려가 됩니다만, 유럽 중에서 스칸디나비아 쪽, 그러니까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정도의 근현대 철학에 대해서는 어떤 견해를 가지고 계신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제가 알기론 그쪽애서는 분석철학적인 학풍의 영향이 강하다고 들었습니다만...또 서유럽 철학과 비교되는 독특한 면도 있는 것 같아요.

(1) 저와 동일한 견해를 가지신 것 같아 흥미롭습니다. 저도 아주 소략하게 나마 20세기 초중반 영미-독일의 분석철학적 학풍을 계승한 핀란드과 네덜란드의 철학자들에 꽤 관심이 있는 편입니다만 어디가서 글을 적을 정도로 알지는 못합니다.

1개의 좋아요

답변 감사히 읽었습니다. 무척 유익하고 도움이 되는 말씀이었어요...하나 첨언하자면, 누군가의 표현을 인용하자면 어쩌면 "21세기의 제일철학은 생태철학(+생태철학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있다는 것이죠. 친절하신 말씀 감사했습니다. 평안하세요.

1개의 좋아요

참, 저는 핀란드의 철학자 Jaakko Hintikka 의 철학에 깊은 관심이 있고요, 네덜란드의 Luitzen Egbertus Jan Brouwer의 학문세계도 잘 알고 싶어요. @Mandala 선생님도 알고 계시는 분들이겠지요. (만약 그렇다면) 비슷한 취향이신 분인 것 같아서 괜스레 반가운 느낌입니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