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아사다 아키라는 도대체 뭔가? 26살에 『구조와 힘』1이라는 저서를 발표해서 1980년대 소위 ‘뉴아카데미즘’을 이끈 일본 현대 사상계의 스타 중 하나이긴 한데, 이 사람을 어떻게 평가하면 좋을지 감이 잘 잡히지 않는다. 가령, 가라타니 고진은 확실히 뛰어난 인물이다. 아즈마 히로키는, 본업인 서브컬쳐 비평은 다소 식상하긴 해도, 『존재론적, 우편적』에서 보여준 철학적 면모로 보았을 때는 꽤나 흥미로운 인물이다. 그런데 아사다는 평가를 내리기가 힘들다.
(2) 사사키 아쓰시가 쓴 『현대 일본 사상』이라는 책으로 아사다를 접했을 때는 아사다가 도올이나 강신주처럼 대중적 인기에 힘입어 성공한 인물인 줄 알았다. 사사키는 아사다가 현대철학을 일종의 ‘처세술’과 뒤섞었다고 평가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구조와 힘』을 직접 읽으니 그렇게 단순하게 보기만도 힘들 것 같다. 이 책은 확실히 독특하다. ‘쉽게 읽는 ……’ 정도로 과소평가 될 수 있을 만한 책은 아니다. 그렇지만 아주 새롭고 혁신적인 내용을 말하고 있는 책이라고 하기도 어렵다. 내가 벌써 40년 가까이 되는 시간 차이를 두고서 ‘한때 최신이었던’ 철학적 사조에 대해 논의하는 책을 읽고 있어서 그런지는 모르겠지만, 현란한 문체에 비해 주장하는 내용 자체는 다소 뻔하다.
(3) 그런데 어쩌면 내용보다도 그 ‘문체’가 아사다의 독특함인지도 모르겠다. 『구조와 힘』은 대학원에서 통용될 만한 학술 서적이라기에는 너무 현란한 방식으로 온갖 철학적 사조를 다 엮어버리고 있다. 글을 쓰는 스타일만 보면, 성실한 대학원생이 쓴 글이라기보다는, 거의 데리다나 들뢰즈 같은 프랑스 철학자가 자기 철학을 직접 쓴 글이라고 봐도 좋을 만큼 엄청나게 대담하다. 하지만 『구조와 힘』은 왠지 모르게 교과서를 읽는 것 같은 느낌을 주는 글이기도 하다. 자유자재로 대담하게 현대철학자들을 인용하고 있는데도, 결국 매 장마다 그 철학자들의 주장이 그림과 도식으로 정형화되어 있기도 하다. 그래서 전체 결론은 레비스트로스식의 소위 ‘구조주의적’ 사유를 들뢰즈식의 ‘힘’에 대한 사유로 극복해야 한다는 뻔한 주장인데도, 그 주장을 전개하기 위해 철학자들을 묶어서 개념화하는 방식은 놀라울 만큼 독창적이고, 그렇게 묶인 방식이 큰 틀에서는 다시 교과서적 요약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기도 해서, 과연 이 책을 뻔하다고 해야 할 지 독창적이라고 해야 할 지, 깔끔하다고 해야 할 지 난삽하다고 해야 할 지 판단하기가 어렵다.
(4) 이런 특이한 책을 볼 때마다 생각하는 것이지만, 이런 책이 나올 수 있는 ‘문화’나 ‘분위기’라는 게 참 부러울 뿐이다. 아사다에 대한 평가는 차치하더라도, 대학원생이 ‘감히(!)’ 수많은 철학자들을 자기 방식대로 차용하여 과감하게 글을 쓸 수 있다는 사실이 부럽고, 그렇게 쓰인 글이 책으로 출판될 수 있다는 사실이 부럽고, 그렇게 출판된 책이 폭넓은 독자층에게 읽힐 수 있다는 사실이 부럽다. 이런 문화나 분위기는 단순히 한 개인의 재능이나 역량만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뛰어난 작품이나 천재적인 인물이 나오기 위해서는 사실 그만큼 서로의 작업에 관심을 가지고 서로의 글들을 잘 읽어주는 학계가 뒷받침되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여러 가지 요인들 때문에 이런 학계가 제대로 형성되지 못하는 것 같아서 아쉽다.
*아, 한남유충이 한남충으로 변모하는 과정에 대한 ‘충격적일 만큼 참신한(?)’ 연구가 KCI에 등재되는 걸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으려나?
- 국내에는 『구조주의와 포스트구조주의』(이정우 옮김, 새길, 1995)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