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 소개글 감사합니다.
개인적으로 근래에 "과학주의"란 말은 "신자유주의", "포스트모더니즘"과 비슷한 방식으로 쓰이는 어휘라고 생각합니다. 어떤 이는 칭찬으로, 어떤 이는 비난으로 받아들이고, 또 그 와중에 논자들마다 제각기 다른 의미로 쓰고는 한다는 점에서요.
철학적인 맥락에서 "과학주의"의 뜻은 최소한 두 가지 결로 나눠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그 둘은 종종 함께 가고는 하지만, 꼭 반드시 함께 가지도 않죠. 이들 각각은 (사실 썩 맘에 뜨는 명명은 아닙니다만) "철학적 과학주의"와 "사회적 과학주의"로 부르겠습니다.
철학적 과학주의는 이승종 교수님께서 닐 디그래스 타이슨과 스티븐 호킹을 인용하여 훌륭하게 설명해주신 바로 그 입장입니다. '철학은 과학으로 환원가능하다' 같은 매우 "철학적"인 주장이고, 이건 뭐 소위 '분석/대륙철학' 진영을 가리지 않고 실질적인 논쟁이 벌어지는 주제죠. (뭐 타이슨이나 호킹이 이런 논쟁사를 알았을지는 모를 일입니다만.)
사회적 과학주의는 학문의 사회적 구조를 둔 입장이고, 대략 '철학은 (현대)과학에서 논의가 이루어지는 사회적 방식 및 구조를 따라갈 필요가 있다'는 표어로 그 입장을 거칠게나마 나타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구체적으로 사회적 과학주의자는 대략 사안마다 다음과 같은 주장을 펼칠 것입니다.
- 철학의 소통 매체로서 긴 단행본 책과 짧은 학술지 논문을 비교할 경우, 과학과 마찬가지로 철학 역시 짧은 학술지 논문을 선호할 이유가 있다.
- 과학과 마찬가지로 철학 또한 단 번에 큰 체계를 내놓으려 시도하는 것이 아니라, 점진적으로 조금씩 조금씩 빈 자리를 채워나가는 방식으로 진전해 나가야한다. (Cf. 아교세포로서의 철학)
- 따라서 (현대)과학과 마찬가지로 철학의 진전 역시 분업에 기초한 공동체적 작업으로 인식하는 것이 합당하며 또 바람직하다. 한 명의 고독한 천재가 번뜩이는 영감을 풀어놓는 것이 아니라. (Cf. '낭만주의적 천재관'에 부합했던 이시다 아키라, PMS 해커가 외면받는 이유)
- 과학과 마찬가지로, 철학에서 역시 "무슨 말인지 이해할 수가 없어요!"는 덕목이 아니라 악덕으로 여겨져야한다.
- 물리학 및 수학에서 arXiv가 쓰이는 것처럼, 철학에서도 PhilArchive 같은 매체를 통하여 새로운 아이디어는 국경을 가리지 않고 실시간으로 빠르게 공유되는 것이 마땅하다. '대가의 새로운 아이디어는 최소 몇 년은 오직 그 수제자들만이 허락된 세미나실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태도는 학문 생태계에 긍정적이지 않다.
이승종 교수님께서는 <철학의 길> 강좌에서 이런 사회적 과학주의에 대해서도 (최소한 부분적으로는) 반대하는 입장을 보여주셨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제가 이해하는게 맞다면, 비트겐슈타인은 철학적 과학주의와 사회적 과학주의 양 쪽에 다 반대했을 것 같으니 '과학주의' 일반에 대한 반대의 선봉장으로 두는게 합당할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철학적 과학주의와 사회적 과학주의 중 어느 한 쪽만을 받아들이는 사람들 또한 상당히 있으며, 그 역시 나름 일리가 있는 입장 같습니다. 이렇듯 '과학주의'의 여러 의미를 따로 나눠 논의하는게 여러 의미로 향후의 생산적 논의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덧. 사실 "사회적 과학주의"가 정말로 "과학"주의인지 역사적으로 따져보는 것도 흥미로운 과제일 것 같습니다. 이를테면 최초의 학술지 중 하나인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에서 나타나는 기치가 과연 현대에 "철학"으로 부르는 학제와 어떤 관련을 맺었는지 등이 흥미로운 과제가 될 것 같네요.)
사실 이미 @YOUN 님께서 이 질문에 대해서 좋은 답변을 드렸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한편, 최근 예일대 철학과 대학원에서 '논리학 필수 수강' 요건을 그냥 '형식 도구가 쓰이는 강좌면 다 됨 (예. 논리학, 확률론, 통계학, 게임이론 ...)'으로 완화했다는게 소소한 화제가 되기도 했죠. 고민해볼만한 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