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편의 석사논문에 대한 단상

(1) '국내의 철학 연구자들은 왜 서로의 글을 진지하게 읽지 않을까?' 이건 제가 항상 마음속에 가지고 있는 의문 중 하나입니다. 그렇지 않아도 국내 철학계는 좁은데, 그 좁은 철학계에서 생산되는 연구를 서로 읽지 않고, 다른 사람들이 무슨 연구를 하고 있는지에 대해 그다지 관심도 없고, 각자 자기 고립되어서 자기 길만 가고 있는 것 같아서요. 그래서 올해 초에, 제 주변 대학원생 연구자들이 출판한 철학 논문들을 한 달에 한 편이라도 "이 논문이 대단하다!"라는 제목으로 리뷰해 보자는 계획을 세웠습니다.

(2) 그래서 1월과 2월에는 계획대로 리뷰를 해 보았는데, 3월부터 제가 이번 학기에 새로 작업하고 있는 글이 하나 생겨서 계획보다 리뷰가 많이 늦어지고 있네요. 그래도 3월과 4월에 리뷰할 논문들은 정했고, 그 중에서 3월 리뷰 논문은 일단 읽어둔 상태입니다. 각각 최우창의 「현상적 마음 상태의 반선명성」과 박성준의 「순자의 삼혹에 대한 새로운 해석」입니다.

(3) 최우창의 「현상적 마음 상태의 반선명성」은 티모시 윌리엄슨의 반선명성 논증(anti-luminosity argument)을 소개하면서 이에 대해 제기되는 셀림 버커의 반론을 논박하는 글입니다. 한 마디로, 우리의 마음에는 우리 자신조차 선명하게 알 수 없는 상태가 있다고 주장하는 내용이에요. 마음의 선명성(luminosity) 논제와 오차 범위 원리(margin of error principle)라는 두 가지 주장을 모두 받아들일 경우 모순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선명성 논제를 부정해야 한다는 것이 논문의 핵심입니다.

(4) 이 논문은 정말 '학위논문의 모범'이라고 해도 좋을 정도로 잘 쓰인 글입니다. 흥미롭고 중요한 주제를, 간결하고 깔끔하게 다루고 있으면서도, 글의 구성이 대단히 체계적이고 논증적이네요. 읽으면서 '학위논문은 이렇게 써야 하는 구나!'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마 제가 제 석사논문을 쓰기 전에 이 논문을 먼저 읽었다면, 제 허접한 논문을 훨씬 더 많이 개선할 수 있었을 것 같네요. 제가 그동안 모범적으로 생각한 석사논문 중에 김진희의 「힌지의 동물성과 문법성」과 김주용의 「아도르노의 이성 개념의 유물론적 성격에 관한 연구」가 있었는데, 이제 최우창의 「현상적 마음 상태의 반선명성」도 저의 최애 학위논문 리스트에 포함시키려고요.

(5) 그런데, 논문이 너무 잘 쓰여 있다 보니, 솔직히 이 논문을 제가 비판적으로 다시 소개하기가 다소 겁이 날 정도네요. 다른 사람의 글을 정확히 읽고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독해하는 사람이 그만큼 능력을 갖춰야 하잖아요. 어설프게 읽고 어설프게 평가하면, 오히려 독해자의 수준이 고작 그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는 게 다 들통나고 말죠. 사실, 이 점 때문에 이미 논문을 오래 전에 읽고서도 쉽게 글을 쓰지 못한 채 시간만 보내고 있기도 합니다.

(6) 박성준의 「순자의 삼혹에 대한 새로운 해석」은 순자가 자기 시대의 학자들의 주장을 '삼혹(三惑, 세 가지 의혹)'이라는 범주로 분류하는 방식을 정합적으로 해석하고자 합니다. 논문은 순자의 논의를 언어철학적-인식론적 문제로 해석하는 앵거스 그레이엄의 입장과 윤리적 문제로 해석하는 정재현의 입장을 비판적으로 종합합니다. 그레이엄의 입장을 따라 순자가 삼혹을 설명할 때 사용하는 명/실(名/實)이라는 구분을 (명분justification에 대한 논의가 아니라) 이름name에 대한 논의로 해석하면서도, 정재현의 입장을 따라 이름에 대한 순자의 분류가 규범적 기준을 전제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는 거죠.

(7) 사실, 저는 이 논문 자체보다도 논문 저자인 박성준이라는 인물에 더 관심이 많습니다. 저처럼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서강대 철학과에 입학한 1년 후배이고, 저와 같이 종교학을 부전공으로 공부하였기 때문에, 아주 오래 전부터 친하게 진낸 사이인데, 저는 지금까지 이 친구만큼 소설, 미술, 역사, 지리 등 인문-사회 분야 전반에 관한 온갖 지식을 박학다식하게 알고 있는 사람을 본 적이 없습니다. 단순히 교양으로 아는 지식이 많다는 수준이 아니라, 굉장히 오타쿠스러운(?) 지식들을 폭넓게 알아서요. 아프리카 미술 연구 동향, 시리아 기독교, 인과의 형이상학, 일본 문학, 당나라 불교의 발전사, 남미 가톨릭의 토착화 과정, 미국 대중음악의 역사 등, 도대체 어디서 무얼 찾아봐야 알 수 있는 것인지 감조차 찾기 힘든 주제들을, 도서관에서 영문 자료들을 뒤져가면서 공부하는 친구거든요. 저는 항상 이 친구가 비평가를 하면 정말 잘 맞을 것 같다는 생각을 합니다.

(8) 여하튼 이런 친구가 쓴 학위논문이다 보니 일단은 내용을 신뢰하면서 읽고 있습니다. 특별히, 학위논문에서 지도교수님을 직접 비판의 대상으로 거론하고 있다는 점이 꽤나 인상적이네요. 또 (저는 동양철학을 제대로 공부한 적이 없기 때문에 잘은 모르지만) 유가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그동안 연구가 부족했던 순자를 다루고 있다는 점과 순자를 통해 제자백가 중 한 명인 송견의 입장까지도 새롭게 해석하고자 한다는 점도 이 논문이 지닌 중요한 의의 중 하나가 아닐까 하고요.

(9) 새로운 철학 분야를 처음 공부하고자 할 때, 그 분야에 관해 쓰인 석사논문들은 꽤나 유용한 '발판' 역할을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해당 분야에 대한 개괄적인 내용을 다루면서도, 너무 수준이 낮지도 않고, 학술적 의의도 어느 정도 지니고 있으면서, 너무 전문적이거나 어렵지도 않으니까요. 물론, 자신의 석사논문을 일종의 흑역사로 생각하는 분들도 많은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리고 제 석사논문도 지금 와서 보면 부족한 부분이 너무 많아 부끄럽지만) 그래도 저는 다른 분들이 쓰신 석사논문을 통해 새롭게 배우게 되는 내용이 많네요.

최우창의 「현상적 마음 상태의 반선명성」

http://www.riss.kr/link?id=T16091411

박성준의 「순자의 삼혹에 대한 새로운 해석」

http://www.riss.kr/link?id=T16013441

16개의 좋아요

이게 정말 큰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국내 철학계를 하나의 '계'라고 할 수 있으려면 서로의 글을 읽고 비판하거나 옹호하고 후행 연구에 참조하는 일이 잘 이루어져야 하는데, 각자 자기 할 것만 하면서 서로의 연구에 관심이 없다면 국내 '철학계'를 하나의 철학 풀이라고 부르기에 망설여지죠. 저도 그런 의미에서 국내 논자들, 가까이는 주변 연구자들의 글을 읽고 주석하고 평가하는 활동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데, 워낙에 게으른 탓에 이걸 많이 못하고 있어서 반성이 됩니다. 저도 나중에 시간이 되면, 아니 시간을 내서 리뷰를 좀 해야겠네요.

4개의 좋아요

중대한 노력을 기울이시는데 박수를 보냅니다! 다만 소위 '악마의 대변인'에 빙의해서 몇 가지 이견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1) "그 좁은 철학계에서 생산되는 연구를 서로 읽지 않"는 큰 이유 중 하나는 바로 그 철학계가 '좁다'는 점에 있는 것 같습니다. 요컨대 연구자들의 관심 주제는 천차만별로 갈라질 수 밖에 없고, 학계의 구성원 수가 적다보니 내가 관심 갖는 주제가 다른 사람의 관심 주제와 맞아떨어질 확률은 낮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다른 한국어 저작을 읽고 싶지 않아서 안 읽으려 하기보다는, 그 관심 주제에 대한 한국어 문헌이 희박한 경우가 더 흔한 것 같습니다.

이를테면 본문에서 언급된 반선명성 또한 20년 가까이 꽤 핫한 주제로 알고 있습니다만, 인식론, 그것도 윌리엄슨 식의 인식론을 접한 덕분에 그 주제를 잘 파악하고 있거나, 내지는 연구 주제 상 그 문헌을 읽을만한 유인이 있는 사람의 비중은 철학계 전체에서 얼마 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에 포함되지 않는 사람들이 그 논문을 읽을만한 이유가 있는지, 과연 '그래도 한국어로 쓰였으니까!"라는 이유만 남았을 때 그게 충분히 강력한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하물며 좀 마이너한 주제들, 예를 들어 세계를 통틀어 북미 5명, 유럽 3명, 남미 2명, 아프리카 3명, 아시아 4명 ... 정도쯤만 진지하게 연구하는 주제라고 한다면 그에 관한 한국어 문헌이 있을 확률은 희박할 것 같습니다.

(2)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학계 차원에서 특정 연구 주제를 범학계 차원에서 전념하게끔 권장한다', '한 교수 밑의 '연구팀'은 그 연구팀의 연구 주제에 집중한다' 같은 식으로 개별 연구 주제가 사방팔방으로 뻗어나가는걸 가지치는 방식이 있는 것 같습니다. 이공계에서는 실천되고 있고, 또 몇몇 지역의 철학계에서는 제도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방식이기도 하죠.

하지만 적어도 제 개인적인 기호를 밝히자면, 저는 부정적입니다.

(3) 사실 좀더 현실적인 타개책은 학위논문 보다는 학술지 논문에, 그리고 글을 읽기보다는 발표의 장을 더 넓히는 것이라고 봅니다. 학위논문은 '범 학계'를 노리고 쓰는 글이 아니고, 더욱이 문외한으로서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글을 읽기보다는 비전문가를 대상으로 한 발표를 듣는게 훨씬 낫죠.

이런 취지하에서 많은 대학 철학과에서 자체적으로 다양한 발표 워크샵을 진행하고 있고, 또한 학회가 그런 이유 때문에 존재하죠. 또 국내에 역시 대학원생 학회가 운영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이런 교류의 장을 넓히는 것이야말로 비용대비적으로 더 나은 방책이 아닐까 조심스레 생각해봅니다.

4개의 좋아요

글쓴이분 뿐만 아니라 '악마의 대변인'을 자처하시는 분의 의견에도 공감합니다. 철학계의 사정은 잘 모르나 저희 쪽 경우에는, 지나치게 넓은 활동영역으로 인해 서로가 서로의 연구를 온전히 잘 알지 못하게 되는 불가피함이 존재합니다. 심지어 같은 과/같은 학회에 있어도 각자의 관심사나 전문 영역이 달라 서로 관심사의 교집합에 한해서만 제한된 이야기를 할 수 있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비단 철학계뿐만이 아닌 모든 학계가 겪는 실정이며, 애초에 '적극적인 학문 종사자'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기 때문에(심지어 그들 모두 관심사가 겹치는 경우가 잘 없더군요.) 일어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인 것 같습니다. 학계 내에서 서로에게 시너지를 줄 수 있을 정도로의 긴밀한 화학적 상호작용을 보이기 위해서는 공통의 목표를 가진 일정한 수의 연구자가 있어야 하는데 그게 상당히 어려운 선결조건이지 않나 싶습니다. 때문에 저는 교류가 부족함을 아쉬워하기보다는, 오히려 적은 수의 학계 종사자에도 이만큼 연구 축적과 학문적 교감, 제 나름의 행보가 이어져 왔다는 사실을 더 뜻깊게 바라봅니다.

3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