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수빈 선생님의 '언어철학으로 칸트 읽기'에 2부에 참여하여 로버트 한나의 『칸트와 분석철학의 토대(Kant and the Foundations of Analytic Philosophy)』를 4주 동안 읽었습니다. 책 전체의 내용을 순서대로 따라가면서 비판적으로 살펴보는 아주 유익한 세미나였습니다. 텍스트 자체가 영어 원서로 된 전문 학술 연구서이다 보니, 세미나의 난이도는 꽤 높은 편이었어요. 발제 부담이 없다는 점만 빼면, 대학원 철학 전공 수업과 거의 맞먹는 수준이었습니다. 그래도 진행자이신 남수빈 선생님께서 매 주마다 발제문을 아주 꼼꼼하고 성실하게 작성해 오셔서, 참여하는 입장에서는 굉장히 편하게 책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었네요. 발제문에 논의의 흐름이 잘 구조화되어 있어서, 원문과 비교해서 보면 핵심이 한눈에 잘 들어오더라고요.
이전부터 로버트 한나의 칸트 연구에 대해서는 여러 경로로 들어서 대략 알고 있었지만, 책을 실제로 읽어본 것은 이번이 처음이네요. 개인적으로, 굉장히 흥미로운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칸트의 철학을 일종의 '의미론'의 관점에서 (더욱 정확히 말해, '인지적 의미론'의 관점에서) 독해하겠다는 것이 한나의 야심입니다. 전통적 칸트 독해가 주로 "세계에 무엇이 존재하는가?"라는 형이상학적 물음과 "우리는 무엇을 알 수 있는가?"라는 인식론적 물음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한나의 칸트 독해는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라는 의미론적 물음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거죠. 그리고 이런 관점에서, 한나는 칸트가 18세기에 했던 논의들이 20세기 이후의 영미권 철학에서 제시된 언어철학의 의미론적 논의들과 매우 밀접하게 관계된다고 주장합니다. 칸트의 『순수이성비판』을 프레게, 콰인, 카르납, 크립키, 카플란 같은 인물들의 논의 맥락에 위치시켜서 현대적으로 해설하려 하는 거죠.
그런데, 글을 읽다보면 한나가 좀 지나치게 야심가(?)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더라고요. 한나는 영미권 언어철학의 주류 논의를 바탕으로 칸트를 해설하려 하지만, 결국 칸트를 가지고서 주류 논의와는 상당히 다른 방향으로 나아가려고 해서요. 가령, 칸트를 통해 분석/종합 이분법에 대한 기존 언어철학자들의 비판을 넘어설 수 있다고 주장한다든가, '내포' 개념의 의의를 부활시킬 수 있다고 주장한다든가 하는 부분은, 저에게는 굉장히 과감해 보였어요.
물론, 저런 주장을 하는 것 자체가 문제될 것은 없죠. 스트로슨과 그라이스처럼 콰인 이후에도 분석/종합 이분법을 옹호하는 철학자들은 여전히 존재하죠. 또 "의미가 지시를 결정한다(Meaning determines reference.)"라는 구호를 내세우면서 프레게의 전통을 따르는 철학자들 역시 여전히 존재하고요. 하지만 이런 입장들을 주류 언어철학자들에게 납득시키려면 상당히 광범위하고 다차원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한나는 언어철학자들이 이 주제들로 벌인 논쟁에 깊게 들어가는 것도 아니고, 자신이 옹호하는 입장에 있는 실제 학자들을 아주 적극적으로 인용하는 것 같지도 않고, 단순히 칸트의 철학만을 자신의 주된 무기로 삼아 주류 입장들을 논파하겠다는 태도를 취하고 있어서, 저로서는 약간 '돈키호테' 같다는 인상을 받았네요.
칸트의 논의들을 현대적으로 해설하기 위해 언어철학의 논의를 가져오는 방식도, 너무 칸트의 철학과 오늘날 언어철학 사이의 '유사성'을 드러내는 데만 치중한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었어요. 가령, 한나는 공간과 시간이라는 감성의 형식을 바탕으로 경험적 직관을 해명하려고 하는 칸트의 논의를 카플란의 지표사 이론과 비교하더라고요. 지표사가 '특성(character)'과 '내용(content)'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갖는다는 카플란의 주장처럼, 칸트의 철학에서 공간과 시간도 일종의 지표사의 '특성'처럼 기능한다는 주장이었어요. 그런데 카플란의 지표사 이론에서 특성과 함께 지표사의 의미를 구성하는 '내용'은 결국 발화가 이루어지는 '맥락(context)'인 반면, 칸트의 철학에서 공간과 시간의 형식에 주어지는 '내용'은 사물로부터의 '인과적 촉발(causal affection)'이라는 점에서, 카플란과 칸트 사이의 비교가 너무 단편적이라는 생각을 하였어요. 카플란의 논의에서는 발화의 맥락이 매우 중요한 반면, 칸트의 논의에서는 그런 맥락이 그다지 고려되지 않는데, 이런 차이를 무시하고서 카플란으로 칸트를 설명하는 것이 과연 정당한 것인지 모르겠더라고요.
결론적으로, 한나의 책은 분명 상당히 독창적인 관점에서 칸트를 읽고 있고,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거의 생각하지 못할 법한 아이디어들을 서로 엮고 있다는 점에서 참 재미있긴 한데, 저에게는 논의가 너무 대담하거나 다소 의아스럽게 느껴졌습니다. 물론, 한나의 전문적이고 두꺼운 칸트 연구를 초견적으로만 보고 평가한 저의 문제일 수도 있겠지만요. 그래도 이 책은 앞으로도 종종 참고하게 될 것 같네요. 제가 주로 맥도웰이나 브랜덤 같은 언어철학적 헤겔주의에 관심을 가지다 보니, 그와는 꽤나 상반된 위치에 있는 하나의 언어철학적 칸트주의를 그냥 지나칠 수는 없겠더라고요. 혹시라도 앞으로 책을 다시 읽으면서 한나에 대한 제 평가가 바뀌는 게 있다면 그때마다 생각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다른 분들 중에서도 한나의 책을 읽으신 분이 있다면 의견을 나눠주시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