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철학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글에 드러나 있는 문제의식을 보면 니체로부터 아곤주의(agonism)를 읽어내려는 시도에 관심이 가실 거라 생각이 됩니다. 제가 이해하기로, 소모적 파멸적 경쟁을 통해 사회 계층의 고착화와 개인 및 공동체의 절멸을 가져오는 능력주의에 비해, 아곤주의는 사회계급의 재생산과 개인을 절멸로 이끄는 투쟁을 거부하고, 경쟁의 승리를 구성원들 전체의 도야의 기회로 삼고 경쟁의 패자들을 패자로 라벨링하기를 거부하는 사회를 그리는 입장인 것 같습니다. 글쓴이께서 파멸적 경쟁과 생산성 저하라는 스퀼라와 카뤼브디스를 넘어설 단서를 찾으신다면 여기서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여느 때와 다름없이 아곤주의(경합주의 혹은 아고니즘으로 번역되는 agonism)를 공부하다가 최근 사회 담론에서 자주 언급되는 능력주의와 아곤주의는 어떤 차이점을 갖는지 생각해봤습니다. 능력주의에 대한 정확한 개념 규정 없이, 아곤주의는 니체주의적 아곤주의를 기반으로 했습니다.
전통적인 독법에 따르면 니체 철학은 개인주의 철학의 형태를 띠고 있다. 대표적으로 니체는 더 강하고, 고귀한 소수의 인간 유형의 번성에만 관심을 가졌으며, 그의 엘리트주의적 철학은 독단적인 자기 창조를 위한 것이라는 아펠(1999)의 해석이 있다. 또한 말년의 유고작(책세상 학회전집 기준 19-21권)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힘 상승에 대한 니체 자신의 강조를 염두에 둔다면, 니체 철학에서 배태한 아곤주의의 이념은 사실상 능력주의의 근본 이념과 별 다를 바 없어 보인다. 그런데 정말 그러한가? 분석적 전통에 서 있는 니체 주석가들의 최근 니체 해석에 따르면 니체가 지지하는 아고니즘과 능력주의는 확실히 구별된…
니체가 평화보다는 투쟁과 그를 통한 승리를 강조하고 추구했다는 사실은 유명하다. 그의 입장은 "내(차라투스트라)가 권하는 것은 평화(Frieden)가 아니라 투쟁(Kampf)과 승리(Erfolg)다"에서 집약적으로 잘 드러난다. (Z1, 10) 그렇기에 '투쟁'은 니체 철학에서 주요 개념어로 자리 잡는다. 니체가 높이 사는 투쟁의 성격에 관해서 대립하는 두 가지 갈래의 독법이 있다. 한쪽은 그것을 '조절되고 조정된 형태의 투쟁'으로 해석하는 반면, 또 다른 한쪽은 '조절되지 않은 완전히 폭력적인 형태의 투쟁'이라 말한다. 후자는 니체의 투쟁 개념을 폭력 혹은 테러리즘에 가벼이 연결시키므로 그는 극복대상으로 정립되고, 이러한 맥락에서 그의 투쟁 개념은 사회철학 계열에서 그를 공격하는 전거가 된다. 하지만 대개의 경우 이런 해석은 조잡하거나 지지하는 텍스트 근거가 별로 없다. 반면 니체가 우수히 여기는 투쟁이 전자(조절되고 조정된 형태의 투쟁)의 것에 가깝다는 입장을 지지할만한 근거는 …
저자는 챕터3 「Agonistic Democracy and Institutions」에서 경합적 민주주의 접근법과 제도들의 관계에 대해 얘기한다. 저자에 따르면 경합적 민주주의 이론에 "제도에 대한 논의가 없다", "논의가 추상적이다"라는 비판이 자주 가해진다. 저자는 신제도주의의 논의를 빌려와 그러한 비판에 맞선다. 신제도주의는 형식적 제도뿐만 아니라 습관이나 문화적 규칙 따위와 같은 비형식적인 것 또한 제도로 바라보고, 그것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따라서 비형식적 제도(e.g. a logic of appropriateness, normative norms, demonstrated behaviours)에 의존하는 경합주의자들 또한 제도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고 있다고 반박할 수 있다.
그럼에도 그 비형식적인 제도를 어떻게 시민들에게 제공할 것이냐는 큰 문제가 남아 있다. 곧, 추상적이고 규범적 수준의 것을 현실의 수준으로 어떻게 내릴 것이냐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니체 베이…
2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