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네, 제가 또 겁없이 메타윤리학적 주제를 가져 왔습니다 (...)
(2) 개인적으로 (기본적으로) 도덕 비인지주의를 옹호하는 편이다.
(i) "살인은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
에서 '도덕적으로 옳지 않다.'는 도덕적 사실에 대한 진술이 아니라, 대상에 대한 감정/찬반의 표현이라 생각한다.
(3) 내가 의문을 삼는 것은, 도덕적 사실에 대한 진술이 '아니더라도' 그에 대한 참-거짓은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닐까? 라는 생각이 머리에서 떠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3-1) 이는 기본적으로 '도덕적 진술'이 대상에 대한 감정/찬반만을 표현하지 '않는다'는 점에 기반한다.
(i) 살인은 옳지 않다.
(ii) 살인은 역겹다.
두 문장은 대상에 대한 감정/찬반의 표현에서는 동일하다. 둘 다 살인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태도를 보여준다. 하지만 직관적으로 두 문장에는 의미의 차이가 존재한다. "역겹다"는 표현은 부정적인 감정/태도에 더해서 어떠한 내용/느낌을 전달하는 듯하다. 이는 "역겹다"를 "증오한다"라는 표현으로 대체해보면 보다 명확해진다.
(3-2) 또한 도덕적 진술마다 태도/감정의 정도(degree)가 다른 경우 역시 생각해 볼 수 있다.
(i) 기부 하는 건 좋은 일이다.
(ii) "아니, 그냥 좋은 일인건 아니지. 기부하는 건 존나 멋진 일이야."
두 문장은 대상에 대한 감정/찬반의 표현 정도가 다르다. (ii)의 발화자는 대상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선호의 정도보다 더 높은 선호도를 표현하고자 했다.
[이건 (3) 참-거짓 문제와는 다르다는 생각이 든다.]
(4) 도덕적 진술의 참/거짓을 단순히 도덕적 사실과의 정합성으로 보지 않으면,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까? (꽤 강한 가정이지만] 나는 좋음이란 상황에 적절함이라 생각한다. 그렇다면, 도덕적 진술의 참/거짓은 상황에 적절한가, 하지 않는가의 문제로 치환될 수 있다.
여기서 (3)의 테제를 결합해보면, 이렇게 볼 수 있다. 도덕적 진술의 참/거짓은 상황에 '적절한' 감정/태도를 가지는지의 문제인 셈이다. (이기서 적절함의 범위에는 호오뿐 아니라, 그 내용[혐오나 증오의 차이처럼], 강도 역시 포함될 것이다.)
(5) embedding problem이 있다. 도덕적 진술이 (명제적인) 참/거짓을 가지지 않는다면, 도덕적 진술을 '포함한' 명제가 참/거짓을 가지는 문제는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가?
(i) 살인은 옳지 않다.
(ii) 카렌은 살인이 옳지 않다 믿는다.
(i)은 내 가정에 따르면, 감정의 표현으로 명제적 참/거짓값을 가지지 않는다. (마치 감탄사/표현어인 "씨발!"이 진리값을 가지지 않는 것처럼 말이다.) 하지만 (ii)는 진리값을 가지는 것처럼 보인다. 우리는 카렌이 도덕적 진술에 대한 믿음을 가지는지, 아닌지에 대해 참/거짓을 말할 수 있다.
(5-1) 나는 이 문제가 언어 표현이 지칭하는 '대상'이 전환되는 문제로 본다면, 해결할 수 있다 본다. 예를 들어 '안다'라는 표현에서도 우리는 동일한 유형의 문제에 봉착한다. (정말?)
(i) 나는 자전거를 탈 줄 안다.
(ii) 카렌은 자전거를 탈 줄 안다.
'자전거를 탈 줄 안다'는 명제로 표현되었지만, '자전거를 탈 줄 안다'라는 명제적 지식와 대응되진 않는다. '자전거를 타다'는 명제가 아닌 '노하우'라 보는 것이 정확할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전환이 직관적으로 딱히 문제가 되지 않는다 느끼는 것 같다. 그렇다면 (5)의 예시도 이와 비슷하게 볼 수 있지 않을까?
(5-2) 기본적으로 나는 노하우와 명제 사이의 관계를 '환원될 수 있지만', 그 환원이 '무의미한' 관계라 생각한다.
이 아이디어는 기본적으로 무한과 가산(accountable)에서 가져왔다. 수학에는 연속/불연속의 개념이 있다. 숫자는 연속적이다. 자연수 1과 자연수 2 사이에는 무한한 숫자들이 존재한다. 하지만 자연수는 불연속적이다. 자연수 1과 자연수 2 사이에는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즉, 기본 단위를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같은 범위조차 다르게 '분할'할 수 있는 셈이다.
노하우 역시 이렇다 본다. 예컨대, (i) 자전거를 탈 줄 암은 다음과 같은 명제적 지식의 형태로 환원 가능할 것이다.
(a) 오른발로 자전거 페달을 밟는다
(b) 왼발로 자전거 페달을 밟는다
이 과정은 다시 무한하게 분할 가능하다.
(a) 오른발로 자전거 페달을 밟는다
(b) 왼발로 자전거 페달을 밟는다
(c) 손으로 방향을 잡는다
즉, 노하우 지식은 명제적 지식으로 분할할 수 있지만, 명제적 지식으로 (체계적으로) 환원 가능한지는 알 수 없는 셈이다.
(5-3) 이미지에 대해서도 우리는 같은 말을 할 수 있다. 한 갈색 개를 상상해보자.
(a) 저것은 개다.
(b) 저것은 갈색이다.
(c) 저것은 네 개의 다리를 가진다
(d) 저것의 눈은 어떠하게 생겼다
이러한 명제의 목록은 무한할 것이다. 동시에 이미지나 노하우는 명제의 참/거짓 값으로 잘 표현되며, 직관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아 보인다.
(a) 내가 상상한 개는 갈색이다.
(5-4) 우리는 이 세계에서 일어나는 사건(event), 행위(action), 이미지(image) 등 여러 가지에 대해 명제로 표현할 수 있지만, 동시에 명제로 (온전히) 환원하는 것은 어려워 보인다.
(i) 나는 그를 때렸다.
이 명제로 표현된 사건은 당연히 참/거짓값을 가진다. 하지만 이 사건들을 무수히 많은 명제로 분할할 수 있다.
(i) 나는 그를 주먹으로 때렸다.
(ii) 나는 그를 오른 주먹으로 때렸다.
(iii) 나는 그를 오른 주먹으로 복싱하듯 때렸다.
(만약 명제로 표현된 사건이 우리가 사는 세계 에서 발생했다면 우리는 이렇게 더 구체적인 묘사가 가능할 것이다.)
(이는 가능 세계에 대한 어떤 강한 전제를 함축하는 듯하다.)
상황에 적합한 도덕적 행동 역시 이런 방식으로 이해해볼 수 있지 않을까?
(6) 결론을 내리자면 다음과 같다.
(i) 도덕적 진술은 대상에 대한 감정/찬반을 표현한다. (동시에 여기에는 감정의 내용, 강도 등의 정보 등도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자연 언어의 한계로 이게 명확히 표현되지 않을 뿐이다.)(어떠한 의미에서 '좋다'라는 표현이 우리가 느끼는 감정/찬반에 대한 '최소한'의 정보만을 제공하는 셈이다. 나는 이 최소한의 정보가 도덕적 진술에 있어서 '근본적'인지 의문스럽다.)
(ii) 도덕적 진술의 참/거짓인 이러한 감정/찬반이 상황에 얼마나 '적합한지'의 문제로 치환할 수 있다. 이 적합성이란 명제의 참/거짓과는 구분된다. (굳이 따지자면, 상황의 적절성을 상상하는 folk psychology 혹은 empathy의 문제로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이 주장이 성립하려면, 도덕적 명제/원칙을 거부하는 도덕 개별론에 대한 논증이 있어야 하는 듯하다.)
(iii) embedding 문제는 다음과 같이 이해할 수 있다. 비록 도덕적 진술이 지칭하는 것이 명제가 아닌 것이지만, 명제로 분할할 수 있다. 그렇게 분할된 명제의 참/거짓을 말하는 말하는 것이다.
(7) 도덕적 진술에 대한 내 주장은 내가 가진 더 강한 형이상학적 주장을 함축하는 듯 하다.
(a) 세상은 연속적으로 존재한다.
(b) 인간은 그 세상을 어떠한 단위를 가지고 분할한다. (사건, 이미지, 개념, 명제, 행동)
(c) 어떠한 분할도 '최소단위'가 아니다. 그러므로 분할 과정에서는 언제나 '보더라인 케이스'가 생기고, 모호성의 문제가 발생한다. (아마 유일한 예외가 있을 수 있다면, 수학일 것 같다.)
이와 같은 형이상학적 주장은 다음과 같은 흥미로운 주장으로 연결되는 듯하다.
(d) 그렇다면 픽션적 존재자들은 무엇인가? 셜록 홈즈는 무엇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