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번역에 대한 단상

(1) 드레이퍼스(H. Dreyfus)와 호그런드(J. Haugeland)가 쓴 "Husserl and Heidegger: Philosophy's Last Stand"라는 논문의 각주들을 살펴보는데, 참 재미있다. 둘 모두 영미권을 대표하는 하이데거 연구자들이고, 특히 드레이퍼스는 『세계-내-존재(Being-in-the-World)』라는 대단히 유명한 『존재와 시간』 해설서까지 쓴 인물인데도 모두 다른 사람이 번역한 '영어 번역본'으로 하이데거를 인용하고 있다! 게다가 지금 깨달았는데, 드레이퍼스의 『세계-내-존재』에 인용된 대부분의 하이데거 텍스트도 영어 번역본이다. 새삼스럽게, "장인은 도구를 탓하지 않는다."라는 말이 생각난다.

(2) '번역'하니까 생각난 건데, 하버마스 같은 사람도 로티의 『철학과 자연의 거울』을 독일어 번역본으로 인용한다. 호네트도 맥도웰의 『마음과 세계』를 독일어 번역본으로 인용한다. 들뢰즈도 프랑스어 번역본으로 흄을 인용한다. 이런 사람들이 영어 독해를 못해서 자기네 나라 말 번역으로 텍스트를 인용하겠나? 번역본이 있는데, 굳이 다른 나라 말로 책을 인용해야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니까 자연스럽게 번역본을 쓰는 것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철학계에서는 원어 독해 능력을 엄청나게 추앙하면서 번역본을 무시하는 경향이 있으니 솔직히 참 답답한 일이다. 기껏 누군가가 피똥 싸면서 번역을 해도, 그게 마치 학술적으로 아무런 가치를 지니지 못하는 것처럼 인정도 못받고 인용도 안 되는데, 누가 번역을 하고 싶어하겠나?

(3) 솔직히 나는 철학 텍스트를 본래의 언어로 읽어야 한다고 강조하는 사람들 중에 해당 언어를 극상으로 잘 하는 사람들이 과연 얼마나 되는지조차 의문스럽다. 헤겔 관련 학술서를 여러 권 번역하시고 독일에서 10년동안 생활하신 선생님조차도 "저는 아직 독일어가 어려워요. 번역본이 있으면 훨씬 수월하게 읽을 수 있죠!"라고 나에게 직접 말씀하신 적이 있다.

(4) 번역에서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으면 그 부분이 왜 문제인지만 지적하면 될 뿐이다. 해당 언어와 우리말 사이에는 건널 수 없는 언어적 차이가 '느낌적인 느낌'처럼 존재하고, 해당 언어를 배운 자기만은 그 차이를 정확히 안다고 주장하는 건, 내가 보기에는 거의 '사기'다. 즉, (a) 정말 중요한 언어적 차이는 언제나 번역될 수 있다. (참고로, '통약불가능성'에 대한 비판은 도널드 데이비슨 같은 철학자들이 강조하는 중요한 철학적 논제이기도 하다.) (b) 번역을 평가절하하는 사람 중에 정말 해당 언어를 고급 원어민 화자급으로 민감하게 읽어낼 수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5) 그러니 이제 우리 세대에서는 좀 더 자신 있게 번역본을 생산하고, 인정하고, 인용해도 좋지 않을까?

11개의 좋아요

저도 학부생 때 영미권에서 나온 칸트 자료를 좀 찾아보다가 놀란 게, 국내 논문들은 대부분 Meiner출판사나 주어캄프(바이셰델)판을 인용하는데 영미권 학자들은 CUP에서 나온 칸트 영역본을 인용하는 경우가 많다는 거였어요.

지금 시점에서 생각해보면 좀 복합적인 문제가 있는 것 같습니다. 세부전공마다도 사정이 조금씩 다른 것 같구요. 특히나 널리 인용되는 학술 표준이 되는 번역이 과연 있는가 물었을 때 실제 전공자분들의 생각이 어떨지도 좀 궁금합니다. 분석철학쪽 텍스트는 정말 번역을 찾기가 어렵거든요..(대부분 논문이라 그렇긴 하지만) 현재 나와 있는 번역서에 대한 평도 좀 갈리는 편인 것 같구요.

번역 관련해서 저는 선집 번역이 정말로 없다는 게 너무 아쉽습니다. 꼭 논문선집이 아니더라도 어떤 학자의 저작들을 조감해볼 수 있는 key text들을 추려 뽑아 번역하는 것도 필요해 보이는 데 말이죠.

3개의 좋아요

네네, 저도 어제 칸트 전공하시는 선배님이 말씀해주셔서 처음 안 건데, 국제칸트콘그레스에서는 아예 "영어로 논문 쓸 거면 니가 직접 다 번역하려 하지 말고 케임브리지 칸트 번역 사용해라."라고 규정까지 명시해두었다고 하네요ㅎㄷㄷㄷ

2개의 좋아요

(1) 여기서 문제는 단순한 '번역'이 아니라, 공인될만한 학문적 역량을 가진 '번역 겸 주해서'가 부족하다는 점 아닐까, 라고 생각합니다.
20세기부터 나온 문헌들은 대체로 별 문제가 없는데, 고대 문헌으로 갈수록 이 문제가 기하급수적으로 발생하죠. 왜 이 단어는 이런 뜻인가, 왜 이런 해석이 정당한가.

아직 우리 학계는 1) 번역은 물론 이런 교정본에 대한 평가도 미비하고 2) 교정본을 평가할만한 인재풀도 적으며 3) 결정적으로 수요가 부족해 보입니다.

당장 아무런 맹자 번역본을 보아도, (참고로 맹자는 제자백가 문헌 중에 가장 분량도 적고 위서 시비도 거의 없는 희귀한 책입니다.) 비판적 교정을 행한 사례가 거의 없습니다.

[사실 코미디이긴하지만 중국 본토 - 대만 - 홍콩 - 일본 - 한국 학계가 모두 공인하는 통합된 한문 원본조차 없다는 것도 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한지 보여주죠. 맹자가 문헌학적 시비가 없기에 다행이지. 묵가나 장자처럼 온갖 문제가 드러나는 텍스트는 뭐....]

2개의 좋아요

해당 내용에 대해서 제가 착오가 있었던 것 같네요. 해당 글을 어제 밤에 제가 써 놓고, 조금 이상해서 아침에 가이드라인 다시 찾아봤는데, 아니었네요. 원 댓글 수정하고 다시 작성했습니다.

2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