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연히 페이스북을 통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문화교양학과 이우창 교수님의 글을 읽게 되었습니다. 중세와 근대에 대해 일반적으로 널리 퍼져 있는 선입견을 비판하시면서 크게 다음 두 가지 표현이 지닌 문제에 대해 지적하셨더라고요.
(a) "신 중심의 중세에서 벗어나 인간을 중심으로 하는 근대로"
(b) "데카르트 이래 보편화된 이성 중심의 근대적 주체가…"
첫 번째 문구는 1990년대 이전 역사학계의 관점에 머물러 있다는 점에서 낡았고, 두 번째 문구는 '데카르트주의'나 '근대적 주체' 따위로 요약될 수 있는 특정한 인간관이 근대를 지배한 적이 없었다는 점에서 허구적이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제가 이우창 교수님과 페북 친구가 아닐 뿐더러, 서강올빼미가 페북과 연계된 사이트도 아니다 보니, 글을 직접 공유할 수 없는 것이 아쉽네요.)
저는 두 가지 지적 모두에 동의하고, 이우창 교수님의 글에 대해 비판할 의도도 전혀 없지만, 그래도 (b)의 경우 약간의 '정상참작'을 해줄 수 있는 여지가 존재한다고 생각해요. '데카르트주의'나, '이성 중심'이나, '근대적 주체'라는 표현들은 모두 현대철학의 맥락에서 등장한 표현들이니까요. 저 표현들은 역사학적 연구를 통해 실체를 밝혀낼 수 있는 대상을 가리키고 있다기보다는, 근대에 대한 20세기 이후 철학자들의 '해석'이라고 할 수 있죠. 물론, 그 해석이 과연 얼마나 정당한지는 따져보아야겠지만, 적어도 저는 저 해석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역사학보다도 철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생각해요.
(1) 근대적 주체?
'주체'라는 개념에 대한 논의를 현대철학에서 촉발시킨 인물은 하이데거입니다. 하이데거의 후기 사유를 대표하는 논문들 중 「세계상의 시대(Die Zeit des Weltbildes)」라는 논문이 "세계가 상으로 변하고 인간이 주체로 되는 두 과정"을 "근대의 본질"이라고 규정하였죠. 그리고 이 변화의 시발점으로 '데카르트'라는 이름을 언급하고 있고요.
[언제나 그윽한 눈빛으로 우리를 바라보는 하이데거. 세계사에서 이상한 일이 있을 때 영국을 찍으면 대충 맞듯이, 현대철학에서 이상한 논의가 있을 때 하이데거를 찍으면 대충 맞습니다.]
하이데거의 이런 '해석'은 근대에 이르러 형이상학이 세계를 정초하는 방식에 변화가 생겼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습니다. 이전까지 형이상학은 세계 속에 존재하는 사물들의 '본질'이나 신의 정신 속에 존재하는 '보편자' 등에서 자신의 토대를 발견하고자 한 반면, 근대 형이상학은 인간의 정신 속에 존재하는 '표상'에서 자신의 토대를 발견하고자 한다는 점이죠. 즉, 인간에게 주관적으로 확실하게 여겨지는 '상(Bild)'으로부터 출발하여 세계 전체를 이론화하고자 하는 시도가 근대 형이상학의 특징이었다는 것이 하이데거의 주장입니다.
"나는 생각한다. (그러므로) 나는 존재한다."라는 데카르트의 유명한 코기토 명제가 이와 같은 사고 방식을 가장 잘 나타내는 사례라고 할 수 있죠. 데카르트는 "나는 생각한다."라는 주관적 활동을 토대로 삼아 존재하는 모든 것들에 대한 이론을 구축하려고 합니다. '나'라는 주관에 주어져 있는 관념들 중에서 가장 확실한 관념을 찾아내어, 그 관념 위에 세계에 대한 다른 모든 관념을 쌓아올리려 하는 거죠. 세계 전체는 그 관념들의 체계에 따라 '세계상(Weltbild)'의 형태로 파악되는 것이고요.
근대에 이르러 인간이 '주체'가 되었다는 하이데거의 평가도 바로 이러한 형이상학 기획이 지닌 특징을 말하는 것입니다. 원래 '주체(Subjekt)'라는 단어는 라틴어 '수브옉툼(subjectum)'에서 나왔고, '수브옉툼'은 그리스어 '휘포케이메논(hypokeimenon)'의 번역어이죠. 형이상학에 익숙하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휘포케이메논'이란 우리말 형이상학 용어로는 '기체(基體)'라고 번역됩니다. 다른 것들을 아래에서 떠받치는 근본적인 사물을 가리키는 말이죠.
따라서 인간이 '주체'가 되었다는 하이데거의 주장이란, (흔히 대중적으로 오해되는 것과 달리,) 인간이 무슨 자유나 결정권을 지닌 존재가 되었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오히려 인간이 형이상학적으로 다른 모든 것들을 떠받치는 '토대'가 되었다는 의미죠. 쉽게 말해, 철학자들이 외부의 세계보다도 인간의 주관적 관념이 지닌 형이상학적 우선성을 강조하게 된 시대가 근대라는 것입니다. 근대에 이르러 인간의 주관적 관념이 세계를 성립시키는 형이상학적 토대로 여겨지게 되었다는 것이, "인간이 주체가 되었다"라는 말의 의미인 것이죠.
물론, 하이데거의 이런 '해석'에 모두가 동의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애초에 하이데거는 엄격한 문헌 분석을 통해 이런 주장을 도출해낸 것이 아니죠. 하지만 저는 '근대적 주체'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에 무시하기 어려운 통찰이 들어 있다고 생각합니다. 실제로, 근대철학은 합리론과 경험론을 막론하고서 대부분 인간의 주관적 '관념'으로부터 출발하여 세계를 설명하려는 경향을 강하게 보이니까요. 흔히 데카르트와 정반대편에 있는 것으로 여겨지는 로크, 버클리, 흄조차도 감각 경험으로부터 우리에게 주어지는 소위 '인상(impression)'이라는 관념을 가장 확실한 것으로 상정한 채 자신들의 형이상학을 제시하죠. 데카르트를 비판하는 철학자들조차 데카르트와 똑같은 형이상학적 구도를 받아들여 자신들의 논의를 전개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저는 근대철학 전체가 '데카르트주의'나 '주체중심주의'의 영향 아래에 있었다는 주장이 아주 얼토당토 하지 않은 주장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물론, '데카르트주의'나 '주체중심주의'라는 명시적인 표어가 제시된 적은 없었고, 모든 철학자가 데카르트에게 동의하거나 '주체'라는 개념을 명시적으로 사용한 것도 아니지만, 적어도 근대철학의 주요 사조들이 데카르트처럼 인간의 주관적 관념을 토대로 삼아 형이상학을 구축하려는 기획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만큼은 부정하기 어려우니까요. 즉, '데카르트주의'나 '근대적 주체'에 대한 현대철학의 논의들을 평가할 때는, 그 논의들이 근대에 쓰인 명시적인 텍스트보다도 근대가 전제하였던 암묵적인 사고 방식을 겨냥하고 있다는 점만큼은 염두에 두어야 할 거예요. 설령 어느 근대인도 '데카르트주의'나 '주체'를 강조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그들이 그 용어들로 집약될 수 있는 사유 구도에 갇혀 있다면, 근대철학에 '데카르트주의'가 횡행했다는 주장이나 근대가 '주체'의 시대였다는 주장이 정당화될 수 있으니까요.
- '이성중심주의'에 대해서도 호르크하이머의 『도구적 이성 비판』으로 해설해 보고 싶은데, 이건 다음에 시간이 되면 해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