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맹자
맹자의 경우, 어떤 번역본을 읽더라도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저 같은 경우, 홍익 출판사에서 나온 박경환 역을 논문 쓸 때도 썼습니다.
한국에서 맹자 번역은 대부분 한학의 강한 영향을 받아서 주희주를 따라가고 부분적으로 조기주를 따르지만, 이게 전체 맥락에서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은 드뭅니다.
번역이 결정적인 영향을 주는 부분의 경우, 신광래(퀭로이슌)의 <맨 얼굴의 맹자>를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번역도 훌륭하고 책 자체도 좋습니다.
(2) 순자
순자의 경우, 김학주본은 악명 높은 오역이 있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따라서 김학주본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통상 지금까지는 한길사에서 나온 이운구본을 참고했습니다만, 아무래도 철학 전공자가 아니시다보니, <해폐>나 <정명> 같은 파트의 번역이 두루뭉술한 감이 있습니다.
가장 추천하는 판본은 전통문화연구회에서 나온 <순자집해>입니다. 비록 원문을 (다른 학자들의 재구를 받아드려서) 임의대로 수정한 부분이 조금씩 있지만, 해석이 크게 달라지는 경우는 드뭅니다.
(참고로 전통문화연구회 번역본은 사이트 홈페이지에서 있는 DB로 원문과 번역본을 공개하고 있습니다.)
(3) 묵자
묵자의 경우, 전반부는 사실 어느 텍스트를 봐도 크게 문제가 될 건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 같은 경우, 최환 역 을유문화사 본을 논문 쓸 때 썼습니다.
묵자 번역에서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경/경설/대취/소취를 어떻게 이해하는가 입니다. 텍스트 자체의 훼손이 워낙 심해서, 가끔가다보면 반쯤은 학자들의 집합적인 망상이 아닌가 싶을 때도 있습니다.
크게 해석에 두 갈래가 있는데, 하나는 중국 손이양의 <묵자간고>를 따르는 번역과 다른 하나는 그레이엄의 번역을 따르는 방향입니다.
<묵자간고> 같은 경우, 전통문화연구회에서 지속적으로 번역하고 있습니다. (아직 경/경설 파트는 번역되지 않은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레이엄의 번역본 경우 한역된 것이 없습니다.
최선의 경우는, 홍콩대학교 출판부에서 나온 Ian Johnstone의 영역본을 참조하는 것입니다. 손이양와 그레이엄은 물론, 후대의 번역까지 두루 참고해서 가장 가능성이 높아보이는 해석을 제시하고 절충적인 편이라서 좋습니다.
(4) 장자
장자의 경우, 악명이 높습니다. 일단 텍스트상의 훼손이 심하진 않습니다. 그래서 해석은 꽤 명확한데, 구절과 구절의 연결이 어떻게 되는지에 관한 논쟁이 극심합니다. (이건 현행 33장본 장자 자체가 원본 장자를 곽상이 편집해고 주석한 텍스트라는 한계에서 촉발된 문제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텍스트 자체가 말장난이나 비유가 넘치는 책이라, 명확히 해석하기 어려운 지점도 분명 있습니다.)
우선 가장 클래시컬하고 원본을 존중하는 형태로 번역한 책으로는 글항아리 김갑수본이 있습니다.
가장 공격적이고 자신의 주장을 부각하기 위해 거침없이 텍스트를 재구성한 본으로는 그레이엄본이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그레이엄본이 장자 해석에 대한 참신한 인사이트를 많지만, 공식적인 인용을 위해서는 김갑수본을 선호하는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