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크대학의 Regina Rini가 며칠 전에 올린 기고문 "신경 아교세포로서의 철학(Philosophy as Glial Cell)"이 최근 본 포럼에 올라오는 여러 논의와 주제가 잘 맞는 것 같아 대충 발췌역해서 나눠보고자 합니다. (Rini는 이전에 다른 글에서도 다른 맥락에서 언급된 적이 있기는 했죠 ...)
외국에서 살아보는 것은 애국심에 대해 고찰해볼 좋은 기회가 되고는 한다. 스스로의 학문적 기반에 대한 자부심도 비슷한 것 같다. 나는 최근 몇몇 간학문적 프로젝트에 참여한 덕분에 우리의 학문적 삶 가운데 철학이 갖는 위상에 대하여 깊이 생각해볼 기회가 있었다. 그 결과, 그럴싸한 은유 하나가 생각났다. 철학은 인류의 중추신경계에 신경 아교세포(glial cell)를 제공해준다는 것이다. 자, 설명해줄테니 걱정 마시라.
닐 디그래스 타이슨이나 리처드 도킨스 같은 TV에 최적화된 과학자들을 보면 여러분은 과학자들이 으레 철학을 폄하하길 좋아한다고 여기게 될 공산이 크다. 그렇지만 (실제 내가 실험과학자들과 이야기하며 경험한 바에 따르면) 그건 사실과 거리가 멀다.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최소한 기본적으로는) 철학에 대해 생각하는 바 자체가 아예 없다. 그렇지만 보통들 20분 정도 이야기를 나눠보면 과학자들은 철학적 탐구에 대해 큰 흥미를 느끼고는 하는 것 같다. 왜냐면 철학자들은 대개 연구실 현장에서 벌어지는 과학에서는 잘 다루지 않는 일종의 멀찍히 떨어진데서 보는, 큰 그림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 때문이다.
[...] 개념적 한계, 혹은 익숙한 방법들의 근본적인 인식적 자격을 묻는 식의 활동은 악착같이 연구비를 따기 위해 매진하는데 있어 그리 유용하지 않다. 그렇지만 철학자와 협업하는 것은 한발짝 뒤로 물러서 국지적인 톱니바퀴들이 어떻게 큰 인식적 장치로 맞춰지는지를 파악할만한 기회가 된다.
이는 결코 철학이 "모든 학문의 여왕"이 된다는게 아니며 [...] 그렇다고 철학을 시녀로 치부하는 것도 아니다. 이런 은유들이 놓치는 것은 그 상호작용이 수평적이며 꼭 위계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이다.
이래서 신경 아교세포가 등장한다. 심리학 개론 수업에서 들었을 법한, 여러 신경세포를 마치 "풀"처럼 이어주는 볼품없는 친구라고 어렴풋이 기억할지도 모르겠다. [...] 지난 20여년간 신경과학자들은 아교세포가 두뇌 형성에 매우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기 시작했다. [...]
만약 신경계를 딱 몇 초만 관찰한다고 치면, 모든 일은 죄다 전기신호를 주고 받는 신경세포에서만 벌어지는 것처럼 보일 것이다. 그렇지만 수년, 수십년에 걸쳐서 관찰한다면, 그 볼품없는 아교세포의 역할을 고려치 않고서는 두뇌의 기능적 조직을 이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무슨 소리를 하고 싶은거냐고? 내가 보기에, 각종 과학 분야들 (및 역사나 문학 같은 인문학 분야들)은 인류의 공유적 지식을 담는 은유적 두뇌의 신경세포 역할을 한다. [...] 각자 매우 효율적이고 매일매일 새로운 통찰을 던져주는 것이다. [...] 철학이란, 인류의 두뇌의 아교세포인 것이다. [...] 우리가 신경세포 동료들의 헤드라인에 뜨는 경우는 드물지만 (연구비 수주는 더더욱 드물테고), 철학을 아예 간과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끼칠 것이다 [...]
제 개인적인 견해와는 독립적으로, 많은 현대 철학자들의 자기인식을 잘 보여주는 글이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이 글에 달린 윌리엄 패터슨 대학 Eric Steinhart의 댓글도 인상에 깊었습니다.
This is great! A really wonderful analogy. Is there any way this could be translated into actions to stop admins from closing philosophy depart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