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서양철학으로 논문을 쓰기 전 유의사항들

(0) 아무도 알려주지 않아서, 혼자 터득한 것을 일종의 기록으로 남겨놓은 것입니다.

1단계 ; 당신이 읽는 원전이 무슨 판본이고 누구의 교정본인지 꼭 확인해라

  • 아쉽게도, 비서양 철학 텍스트들의 경우 합의된 교정본이 없는 경우가 꽤 많습니다. 덤으로 각 언어권 학계마다 사용하는 정본이 다른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꼭 무슨 판본인지 확인해봐야합니다.
  • 게다가 판본이 여러개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노자 같은 경우 고고학 발굴본이 두 개(죽간본, 백서본)에 통용본도 한 개있습니다. (통용본도 주석마다 조금씩 용어가 차이가 납니다.)
  • 이 문제는 특히 불경을 다룰 때 가장 중요하고 심각합니다. 산스크리스트 - 한문 - 티베트, 세 언어로 판본이 다 있는 경우도 있고, 덤으로 교정본이 있는 경우는 굉장히 드뭅니다. 게다가 각 언어권마다 축약본, 확장본 등 여러 판본이 있는 경우도 흔합니다. (대표적으로 화엄경이 한문본만 8개 있습니다.)

2단계 ; 하려는 작업이 무엇인지 명확히 해라

  • 크게 철학적 작업과 철학사적 작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철학적 작업이라면 책에 나와있는 작업을 보다 세밀한 주장 - 논증 형태로 재구성하고 그걸 평가하는 작업입니다.
    반면 철학사적 작업이라면, 이 책이 당시/후대 다른 학파들과 무슨 연관성과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는 작업입나다.
  • 목적을 정하는게 중요한 이유는, 그래야 적절한 논문을 찾아 읽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대체로 철학적 작업은 영미권 - 홍콩 - 싱가포르 등에서 이루어집니다. 반대로 철학사적 작업은 중국 - 일본 등에서 많이 이루어집니다.

3단계 ; 번역어부터 확인해라

  • 한국인인 이상 비서양철학 논문은 필연적으로 영어 - 한국어 - 원어(한문) 세 가지 언어를 교차 참조할 수 밖에 없는 형태입니다.
    여기서 문제는 한국어의 경우, 한문을 음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컨대, 예라는 단어는 무슨 의미일까요? 우리는 대충 느낌은 오지만, 느낌만으로 논문을 쓸 수는 없는 법입니다.
    이 때, 영어 번역본이 중요한 개념어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줍니다. 허나 이 과정에서 영어 번역어가 반드시 맞는 것은 아닙니다. 때로는 무심결에 영어 컨텍스트에 해석을 끼워맞추는 경우도 많습니다. 그래서 번역어들을 면밀하게 살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4단계 ; 국뽕을 피하자

  • 넌 왜 이걸 논문으로 썼니?에 대한 질문에 명확히 답할 수 있어야, 가장 좋은 논문이라고 봅니다.
    각 나라에서야 자국 학자를 연구하는걸 당연시 여기지만, 조금만 필드를 넘어가도 연구 자체가 당연시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때로는 이 문헌이 철학이라고 우겨야하는 경우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이건 비서양철학을 하는 모든 연구자들의 천형이지만, 이걸 극복할 수 있다면 필연적으로 좋은 논문이 나올 겁니다.
11개의 좋아요

“아무도 알려주지 않아서, 혼자 터득한 것”… 이라는 부분이 참 와 닿네요. 대학에서 이런 기초적인 팁들을 배우기가 참 힘들잖아요…

4개의 좋아요

"아무도 알려주지 않아서, 혼자터득한 것"이라는 말이 참 공감이 가고 마음이 먹먹합니다.

논문의 작성, 인용방식, 선행연구를 선별하고 활용하는 방식, 저널의 티어 확인 및 선별 기준 등등 전문적인 연구자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모든 기초적 소양이 전문기술의 영역에 속하지만 이를 체계적으로 훈련시키는 표준화된 교과과정이 대체로 부재한다는 생각을 하고는 합니다.

좋은 자료 공유 감사합니다.

3개의 좋아요

좋은 글을 보면 우는 올빼미 : “올빼-”

좋은 글 공유 감사드립니다.

이런 애잔한 분위기를 원했던 것은 아니였지만 ㅠㅠ 위로가 되네요.
대체로 한국의 대학원이 '직업인으로서의 교수’를 양성하는데 무관심하다는게 아쉽습니다. 공부만 잘한다고, 밥 벌어먹고 살 수 있는건 아닌데 말이죠.

2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