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리적 외계인은 가능한가?

James Conant의 논문 "The Search for Logically Alien Thought: Descartes, Kant, Frege, and the Tractatus" 읽기를 계속 미루다가 드디어 읽어보았는데요. 기대 이상으로 내용이 재미있었습니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이 논문에 나타난 코넌트의 초기 비트겐슈타인 해석 자체는 "새로운 비트겐슈타인" 진영을 통해 그 얼개를 직간접적으로 접했었기에 별로 새롭진 않았습니다만, 그러한 해석에 이르는 내러티브를 아퀴나스, 데카르트, 칸트, 프레게, 퍼트남을 통해 재구성한 부분이 매우 흥미진진 했습니다. 여기서 그 핵심적인 파트를 간략히 소개해볼까 합니다. 초기 비트겐슈타인에 대한 코넌트의 입장은 다른 훌륭한 비트겐슈타인 전공자 분들의 서강올빼미 글들을 참조하실 수 있습니다.


논리적 법칙들이 사유 자체의 법칙으로 이해되는 한에서, 논리적 법칙들은 일종의 사유의 한계를 나타낸다. 그렇다면 우리의 사유를 지배하는 논리적 법칙들이 아닌, 다른 논리적 법칙들을 따르는 외계인들과 조우하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할까? 예컨대 우리는 a=a 라는 동일률을 받아들이는 반면, 그들의 논리학에서는 동일률의 부정이 참이 되는 그러한 외계인들 말이다. 이들을 "논리적 외계인" (logical alien)이라고 부르자.

이러한 질문은 퍽 자연스러워 보이고 우리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그러나 프레게는 사고실험을 통해서 이러한 질문의 배후에 있는 비정합성을 꼬집는다. 프레게의 비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프레게가 가지고 있는 언어철학적 이해를 먼저 살펴보아야 한다. 프레게에 따르면, 진정한 사상 혹은 명제 (eigentlicher Gedanke)는 참/거짓 둘 중 하나이다. 따라서 명제적 형태의 질문은 언제나 그러한 명제의 참/거짓 둘 중 하나를 승인할 것을 요구한다. 이것을 거꾸로 말하면, 진리값을 결여하는 명제 혹은 사상은, 엄밀히 말하면, 명제/사상이 아니다. 그것은 가짜 명제 혹은 가짜 사상 (Scheingedanke)일 뿐이다. 그 명제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그 명제가 참인지 거짓인지를 화자 및 청자가 이해할 수 없다는 점에서 그렇다. 가짜 명제는 진짜 명제인 척 위장하지만 사실은 진짜 명제를 흉내내는 모조품일 뿐이다. 가짜 명제의 발화자는 (만약 그가 이 명제의 참을 진정 주장하고 있다면) 자신이 무엇을 발화하고 있는지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못하는 상태이다.

다시 논리적 외계인의 사고실험으로 돌아가자. 심리학주의(psychologism)를 따르는 사람들은, 그러한 논리적 외계인이 가능하다고 주장한다. 왜냐하면 심리학주의에 따르면 논리적 법칙은 우리의 정신이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 인류의 정신은 (지금 우리가 따르고 있는) 이 논리적 법칙들을 믿고 그것들에 의해 지배되도록 그렇게 구성되어 있지만, 외계인은 다르게 구성된 정신을 가지고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외계인의 사유를 지배하는 논리적 법칙들은 우리 인간을 지배하는 논리적 법칙들과 충돌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논리적 외계인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심리학주의자들의 논변이다.

그러나 프레게는 이러한 논변이 intelligible하지 않다고 반박한다. 이 논변을 파훼하는 법은 의외로 간단하다. 딱 하나의 질문만 던지면 된다: “그래서 우리와 외계인 중, 누구의 논리적 판단이 옳은가?” 이 질문은 흥미롭게도 인간의 논리학적 관점과 외계인의 논리학적 관점 모두를 포괄할 수 있는 메타적 관점을 선제한다. 그런데 그러한 메타적 관점이 있다면, 우리와 외계인 모두를 지배하는 논리학적 관점이 있다는 말이 되므로, 심리학주의자 스스로의 주장을 반박하게 된다. 만약 그러한 메타적 관점이 없다면, 이 질문의 참/거짓을 우리는 결정할 수 없고, 따라서 (위의 언어철학적 전제에 따라) 논리적 외계인에 대한 모든 질문과 주장은 모두 가짜 명제에 불과하다.

요약:

  1. 심리학주의자는, 논리적 법칙이 마음의 구성을 반영한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우리 인간과 마음의 구성이 다른 외계인이 있다면 그 외계인은 우리와 다른 논리적 법칙을 가질 것이다.
  2. 심리학주의자는 1번의 주장을 참이라고 주장한다. 그 배후에는, 우리 인간의 마음이 (1번의 참을 믿도록) 그렇게 구성되었다는 사실이 놓여 있다. 또한 심리학주의에 따르면, 외계인이 실제로 1번을 참이라고 생각하는지조차 우리는 알 수 없다. 이것은 외계인 역시 마찬가지이다. 외계인 역시, 우리 인간이 1번을 참이라고 여기는지 아닌지 알 수 없다.
  3. 그러나 이러한 논변에 빠지는 것은 심리학주의자가 이중적인 모순적 태도를 취하기 때문이다.
    1. 한편으로 심리학주의자는 우리의 사고방식으로부터 한 걸음 물러나서, 우리의 사고방식과 외계인의 사고방식을 놓고 서로 비교해볼 수 있는 양 행세한다.
    2. 다른 한편으로, 심리학주의자는 우리 인간의 정신은 이러이러하게 구성되었기 때문에, 우리는 우리의 사고방식으로부터 한 걸음 물러날 수 없다고 주장한다.
  4. 따라서 논리적 외계인의 가능성을 인정하는 심리학주의자의 논변은 말이 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심리학주의자는 “우리와 외계인 중, 누구의 논리적 판단이 옳은가?”라는 질문 자체를 거부하면 되는 것 아닌가? 이러한 질문을 거부하고, 그저 우리의 사고방식에 가두어진 채로 머무르면 되는 것 아닌가? 그러나 애초에 심리학주의자가 보여주고자 했던 것을 상기해보라. 그것은 바로 외계인과 우리가 만나 대화를 나눈다면 어떤 논리적 명제에 대해 그들과 우리가 “불일치”할 것이라는 점이었다. 우리는 동일률 명제를 승인하고, 그들은 부정할 것이다. 따라서 심리학주의자가 “우리와 외계인 중, 누구의 논리적 판단이 옳은가?”라는 질문 자체를 거부해버리면, 애초에 그러한 “불일치” 시나리오를 묘사할 수 없다.

따라서 프레게에 따르면 심리학주의자는 다음과 같은 딜레마에 처한다:

  1. “우리와 외계인 중, 누구의 논리적 판단이 옳은가?”라는 질문을 던짐으로써, 사실상 외계인과 우리의 공통의 기저에 놓여 있는 논리적 관점을 인정하거나
  2. “우리와 외계인 중, 누구의 논리적 판단이 옳은가?”라는 질문 자체를 거부함으로써, 사실상 외계인과 우리의 논리적 법칙이 다를 수 있다는 묘사 자체를 포기하거나. 이경우 심리학주의자가 보일 수 있는 최대한은, 우리의 논리학과 그들의 논리학 사이의 “일치의 부재”일 뿐 “불일치”가 아니다.

여기까지 읽은 독자들은 “아! 그렇다면 논리적 외계인은 존재할 수 없구나!”하고 결론내릴지 모른다. 그러나 이것은 성급하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펴본 바는 논리적 외계인의 가능성을 주장하는 심리학주의자의 명제가 사실은 가짜 명제였다는 점이다. 이 가짜 명제는 참/거짓을 결정할 수 없는 넌센스이다. 그러나 심리학주의자의 명제가 가짜 명제라면, 그 가짜 명제의 부정 역시 참/거짓을 결정할 수 없는 가짜 명제가 된다. 즉 “논리적 외계인은 가능하다”라는 주장만큼이나 “논리적 외계인은 불가능하다”라는 주장 역시 가짜 명제인 것이다.

결국 프레게의 사고실험은 논리적 외계인의 가능성에 대한 어떤 긍정적/부정적 입장표명을 의도한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에 대한 긍정적 입장만큼이나 부정적 입장 역시 마찬가지로 가짜 사상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드러나는 것은 오히려 그들 심리학주의자만큼이나 (프레게를 포함한) “우리” 역시 이러한 가짜 사유의 유혹에 빠져 있다는 것이다. 논리적 외계인의 가능성에 대해 이러쿵 저러쿵 논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그러한 유혹 말이다. 여기서 우리는 <논고>에서의 비트겐슈타인이 보여주고자 한 것에 도달한다. “우리”가 해야 하는 것은 그러한 가짜 명제들 이면에 숨어있는, 어떤 형언할 수 없는 진리(가령 "논리적 외계인은 불가능하다")를 깨닫는 것이 아니라, 바로 그러한 유혹 일체를 애초에 떨쳐버리는 것이다.

13개의 좋아요

잘 읽었습니다. 제가 아는 헤겔과 비슷하네요. 헤겔의 논리학은 순수한 형태의 생각이 생각을 해야하는 것에 대한 것입니다. 다시 말하면, 저라던가 Herb 님이 생각해야하는 것에 대한 것이 아닙니다. 대신, 헤겔에게 순수한 형태의 생각이란 생각하는 것들의 플라톤식 형태입니다. 우리는 이 순수 생각에 participate하면서 생각하는 존재들인 것이지요.

이런 논리학의 관점은

여기서 말하는 메타적 관점이랑 비슷한 것 같습니다. 메타적 관점이란 결국 인간과 외계인의 논리학적 관점을 모두 포괄하는 메타적 관점이지요. 이 메타적 관점을 가장 일반적으로 가져가게 되면 그것이 헤겔의 논리학의 관점이겠지요. 왜냐면 헤겔에게 있어 그 어떠한 생각자도 결국 논리학의 생각에 participate하는 것이니깐요. 그러니깐 만일 논리학의 관점에서 참/거짓이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생각자에게 있어 이미 참/거짓이 결정된 것입니다. 만일 논리학의 관점에서 참/거짓이 결정될 수 있다면, 그리고 우리가 "그래서 논리학의 관점에서 참/거짓은 뭔데?" 라고 묻는다면

이 질문과 같은 것이겠지요. 이런 면에서 프레게와 헤겔의 공통점을 이끌어낼 수 있겠네요.

2개의 좋아요

코넌트는 언급하신 메타적 관점을 긍정한 철학자의 전형으로 칸트를 언급하긴 합니다. 칸트는 인간이건 외계인이건 이성적 사유를 펼치는 한에서 동반될 수밖에 없는 사유의 선험적 질서를 논리학으로 본 것이죠. 아쉽게도 헤겔에 대한 언급은 등장하지 않더군요.

제 생각에는, 헤겔에게서 사유는 외부를 가지지 않으니, 헤겔이 논리적 외계인의 가능성을 "부정"할 것이 명백해 보입니다. 그리고 이 지점에서 프레게와의 차이도 엿볼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코넌트에 따르면) 프레게나 초기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적 외계인의 가능성에 대해서 긍정하는 것과 부정하는 것 모두를 illusion이라고 보는 반면, 헤겔은 그러한 가능성을 명백히 부정할 테니깐요. 정신현상학 식으로 말하면 헤겔은, 논리적 외계인을 긍정하는 것과 부정하는 것 그리고 프레게/비트겐슈타인적인 드리프트 모두 결국 사유의 자기전개 과정에서 정신이 마주하는 한 "계기"들에 불과하다고 말하지 않을까요?

1개의 좋아요

아, 칸트가 그런가요? 전 칸트가 헤겔에 비해 굉장히 finite 한 주체를 다루는 것으로 알고 있었어요. 가령 intellectual intuition이 가능하지 않다거나 하는 것들이요. 칸트알못으로 질문을 하자면, 신의 사유는 인간이 이해할 수 없는 거 아닌가요? 신의 사유 중 우리가 이해 못하는 게 있을 것 같은데 말이죠.

이 단락은 잘 이해를 못했어요. 일단 "외부"를 어떤 의미로 쓰신 건지 정확히 뭔지 이해를 못하겠네요. 헤겔의 "외부"란 단어가 워낙 여러 사람들에게 다르게 쓰이다보니 그런 것 같습니다 ("외부"를 물리적인 외부로 보는 사람들도 있고, 논리적인 외부라고 보는 사람도 있고, 일종의 결과라고 보는 사람도 있고, 다양하지요). 정신현상학에 관해서는 음... 제가 이해하기론 의식에 관한 것이 정신현상학인데, 사유의 자기전개라고 하셔서 이해하기가 힘듭니다. 사유의 자기전개는 논리학에서 나오는 내용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또 프레게와 비트겐슈타인적인 드리프트가 정확히 뭔지, 그리고 그 드리프트가 정신현상학의 어디서 나오는지 (만일 나오지 않는다면 정신현상학이 다른 방식으로 전개될 수 있는 것인지), 그리고 헤겔이 (1) 논리적의 외계인의 가능성을 부정하면서 (2) 논리적 외계인을 긍정하는 것과 부정하는 것이 계기라고 하는 것도 정확히 무슨 뜻인지 이해를 못했어요. 허브님의 헤겔 해석을 제대로 알고 있지 않아서 그런 것 같습니다.

그래도 가짜명제에 대해서는 동의합니다. 헤겔은 논리적 외계인이 불가능하다고 할 것 같아요. 그래도 한 메타적 관점으로 심리학 주의자들을 잠재울 수 있다는 건 헤겔이 프레게와 동의할 것 같네요.

2개의 좋아요

https://philpapers.org/rec/BECNLA

동일률의 부정을 논리적 참으로 받아들이진 않지만, 동일률의 부정이 참이 될 수도 있음을 받아들이는 비반사 논리(nonreflexive logic)를 생각해보면 외계인은 어쩌면 우리 가운데 숨어 있을지도 모릅니다.....

2개의 좋아요

"그래서 고전논리학과 비반사논리학 중 누가 옳은가?" :joy:

1개의 좋아요

"외부"에 대해서는 예전에 지나가면서 언급한 코멘트가 있습니다:

프레게/비트겐슈타인의 드리프트라고 표현한 것은 본문에 나타난 것처럼, "논리적 외계인의 가능성"에 대한 긍정과 부정 모두를 삼가는 언어철학적 해결책을 말한 것이었습니다. 즉 그러한 논리적 "외부"에 대한 논의가 illusion에 불과하니 그에 대해 논하고 싶어하는 유혹을 떨쳐내라는 치유책이죠. 그러나 헤겔이라면 이러한 언어철학적 치유책을 여전히 나이브하다고 평가할 것 같습니다. 헤겔이라면 우리가 그러한 유혹을 떨쳐내는 동시에, 그러한 유혹을 사변적으로 잘 설명할 수 있는 어떤 상위의 사유형태로 이행한다고 말하지 않을까 하는 거죠. 이것을 정신현상학에서 자연적 의식의 여정에 비유하여 말한 것이었고, 정신현상학/논리학의 차이를 딱히 염두에 둔 것은 아닙니다.

1개의 좋아요

흥미롭군요. 저는 프레게의 입장이지만 심리적 입장을 반박하기도 힘들군요. 대체로 언어로 설명하는 것은 언어자체에 순환 논리가 들어 있는 경우들이 많더라고요.
동일률이 위배되는 사례를 양자간섭에서 찾았으니 도일률 논리를 부정하는 외계인 사고실험을 못 본체할 수도 없고요. 양자역학의 간섭은 입자의 이중성 탓으로 저는 보기 때문에 동일률 위배로 저는 보지 않지만 동일률로 보는 시각도 많으니 여전히 입장 정리는되지 않습니다.
저는 오히려 세상의 개체가 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자같은 미시 세계에서는 다른 논리가 적용된다고 봅니다. 새로운 층이 창발될 때 힝의 재규격화, 정신의 재규격화가 일어납니다. 동일률은 재규격화 과정에서도 모든 층 사이를 관통하는 강력한 논리이지만 언어는 동물층에서만 나타난 새로운 현상이지요. 그래서 언어로 동일률을 제대로 포착할 수 있는지 의문도 듭니다.
외계인이 전자같은 존재라면 동일률을 위배할 수 있겠지만 언어를 사용할 수는 없을 겁니다.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