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계 다수설과 대중들의 의견이 갈리는 주제는 어떤 게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불금이어서 그런지, 비가 와서 그런지, 갑자기 궁금증이 생겨서 서강올빼미를 찾아왔습니다.

대중들의 생각과 학계에서 다수가 지지하는 주장이 다른 게 어떤 게 있을까요? 물론 철학은 다양한 의견들이 끊임없이 교류하는 곳이고, 합의가 일어나는 것도 어렵습니다만... 예를 들어, 자유의지 같은 경우는 유튜브에서 방송하는 걸 보면 많은 대중들이 과학적 사고관을 들이밀면서 "없다"라고 얘기를 하는 거 같은데요. 일단은 양립가능설이 철학계(최소한 미국 철학계)에서는 다수설로 자리잡았다고 말해도 과장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비슷하게 심리적 이기주의도... 뭔가 대중들은 반응이 좋은데... 철학계에서는 일단 거의 사장된 이론인듯합니다. 스탠포드 백과 egoism 항목에도 "dim"이라는 용어까지 쓰걸 보아, 어느 정도는 통용되는 거 같구요.

Prospects for psychological egoism are dim. Even if some version escapes recent empirical arguments, there seems little reason, once the traditional philosophical confusions have been noted, for thinking it is true. At best it is a logical possibility, like some forms of scepticism.

만약 그러한 주제들이 또 있다면 어떤 게 있을까? 그리고 의견 차이가 나는 이유는 어떤 것일지가 궁금하네요.

3개의 좋아요

옛날에 제가 비슷한 질문을 올렸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 때 제가 받은 대답은

였습니다.

1개의 좋아요

(1)

사실 이건...양립 가능설이 "자유의지"라는 개념에 대한 수정을 통해서 윤리학에 필요한 책임 개념을 지키려는 일종의 개념 공학적 시도로 개인적으로 이해하고 있어서 ㅋㅋㅋㅋ.

엄밀히 말하면 대중들이 생각하는 자유의지는 없다, 라는 점에 다수의 학자들도 동의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뭐...정확히 말하면 괄호 넣기를 통해 굳이 대답하지 않는 안전한 선택지를 고르던가요.)

(올빼미에 저와 같은 의견이신 분도 계시고요.)

(2)

이 부분도, 그냥 이걸 철학자들이 다뤄야하나? 라는 것에 가깝다 느낍니다.

성선/성악이라는 것도 온갖 정의가 있을 수 있고, 정의가 합의된다 한 들 인간의 행동 방식에는 온갖 영향들이 있을 수 있다는 걸, 이제 학계는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니 딱 한쪽이다 주장하는 이론은 설 자리가 없어진 것이겠죠.

항상 느끼는 거지만, 학계의 논의들은 흑백 어느 쪽이든 그 중간 사이에 굉장히 디테일한 입장들이 있는 반면 대중들은 둘 중 하나이길 바랍니다.

뭐...그게 잘못된건 아니지만 끊임없이 불통이 생기는 원인이라 전 느낍니다.

7개의 좋아요

과학자들은 자유의지가 없다는 주장을 많이 하지요. 고전 역학을 공부한 과학자는 그럴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역학을 제대로 공부한 과학자는 결정될 수없는 초기조건 경계조건이 있음을 압니다. 이런 불확실한 조건 때문에 카오스 이론이 나오고 불확실한 미래에 대처하기 위해 인간에게 자유의지가 생겼습니다. 물론 저처럼 자유의지를 과학적으로 설명하는 분들이 적지만 사실입니다. 자유의지 문제는 더 이상 논쟁 거리가 될 수 없지만 아직도 위키 등에는 다양한 해석을 열어 두고 있더라고요

2개의 좋아요

결정론을 부정하시는 것 같아 보입니다. 하지만 철학계에서는 양자역학이 결정론을 폐기시킨다고 보지 않습니다. 봄식 해석이 사실일 수도 있고, 초끈 이론이 사실일 수도 있으니깐요. 알버트의 책에서 봄식 이론을 조금 다뤘습니다 (링크: https://www.rivercitymalone.com/wp-content/uploads/2011/12/David-Albert-Quantum-Mechanics-Experience-1992.pdf). 참고로 알버트는 물리학 박사기 때문에 "과학을 봐야 알 수 있는 직관"은 전부 갖고 있습니다.

하지만 또 자유의지가 뭔지에 대해서도 굉장히 말이 많습니다. 자유의지가 정확히 뭔지, 우리가 "자유의지"란 단어를 쓸 때 어떻게 쓰는지, 혹은 자유의지가 우리의 단어사용이 아닌 흔히 말하는 '자연종'인지 등등 말이지요.

그러니깐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애초에 결정론이 폐기됐는지도 의문이고, 결정론을 폐기한다고 하더라도 자유의지가 정확히 뭔지 아직 논쟁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5개의 좋아요

사회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가 가장 대표적인 사례 아닐까요?

3개의 좋아요

(1) '사회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 같은 것은 정치 문제인데, 사실 많은 정치 문제는 대중들끼리의 의견도 갈리는 것인지라...

(2) 학계의 일원이 아닌 제가 볼 때, 한국의 교수님들이 현실정치 논하는 기고를 볼 때면, 뭔가 현실과 유리된 듯한 느낌을 받을 때가 많습니다.

(3) 예를 들면, [알라딘서재]12.3 친위쿠데타 이후 탄핵 정국에 대한 몇 가지 정치철학적 성찰 이라는 글을 읽어보았는데,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특정 정치인과 정당에게 붙이는 "신자유주의" 레떼르는 설득력이 없어보이고, 사회주의라는 쟁점이 국내에서 그리 중요한 것 같지도 않고, "아나키즘이라는 쟁점은 이번 탄핵 정국의 핵심 요소"라고 하는데, 솔직히 뭘 보고 그런 소리 하는지 모르겠고.... 제가 너무 반지성주의적인 걸까요? 정치평론보다 더 구체적인 정책학적 논의를 볼 때에도 현장의 목소리과 괴리된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1개의 좋아요

물론 현실 수준에서의 사회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는 정치적 문제일 수 있지만, 제가 댓글에서 염두에 둔 것은 이론적 수준에서 사회주의와 민주주의의 관계입니다. 적어도 한국에 국한한다면 대중적으로 '사회주의=반민주주의 제도/국가/이념 등'으로 여겨지는데, 이론적으로는 해당 등식이 딱히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6개의 좋아요

흥미롭네요. 한국 한정으로만 생각하면 역사적인 게 큰 거 같아요.

1개의 좋아요

심심할때마다 가끔 survey 2020을 보는데 재미있더라구요. 도덕 실재론이나 의무론 등의 입장이 의외로 학계의 다수설에 가까운걸보고 흥미로웠습니다

1개의 좋아요

저도 종종 비슷한 생각을 해요. 60년대 이후로 사회-문화적으로는 상대주의나 회의주의가 엄청나게 퍼진 것 같지만, Philsurvey에서 조사된 내용을 보면 전문 철학자들 중에서는 여전히 도덕이나 가치에 대해서도 그렇고 형이상학에 대해서도 그렇고 보수적인 입장을 취하는 사람들이 꽤나 많아서 의외였어요.

1개의 좋아요

진화 같은게 생물학계에 자리잡은 개념이지만, 아무래도 개신교나 이슬람 인구가 많다보니 인구로 따지면 별로 지지받지 못할 수도 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