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사논문_김인태.pdf (1.6 MB)
2025년 2월 석사 졸업 예정입니다. 여러분들에게 석사 논문과 그 내용을 공유하고 싶어 글을 올립니다.
제 논문은 트롤리 문제에서 특정한 선택지를 정당화하는 일원주의적 원리를 찾고자 하는 시도가 유망하지 않고, 트롤리 문제는 침묵주의적 관점에서 해소되어야 할 문제라고 주장합니다. 이를 위해 프란시스 캠의 허용가능한 해악의 원리(Principle of Permissible Harm)와 피터 바우만의 평등한 해악의 원리(Principle of Equal Harm)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이 원리들이 실패한 이유가 결국 일원주의적 접근에서 비롯되었음을 밝힙니다.
그리고 다원주의적 접근 중에서도 특정한 선택지를 정당화할 필요가 없음을 보이기 위해 덕 윤리와 침묵주의를 결합한 '침묵주의적 덕 윤리'를 도입해서 문제를 해소하고자 합니다. 특정한 선택지를 정당화하는 것이 '해결'이라면, 트롤리 문제는 서열화할 수 없는 객관적 가치들의 충돌하는 상황이므로 철학은 이 문제에 답을 내려줄 수 없음을 인정하는 태도의 전환이 '해소'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다만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저는 트롤리 문제에 있어 철학이 특정 선택지를 정당화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의미에서 침묵해야 한다고 하는 것이지, 철학이 아무런 기여도 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침묵해야 한다고 주장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다양햔 철학 이론들은 트롤리 문제가 어떤 도덕적 원리나 가치, 덕목을 위반하는지에 대한 풍부한 논의를 제공하고 행위자들이 객관성, 합리성, 일관성, 정합성을 유지하도록 요구한다는 점에서 철학은 여전히 트롤리 문제를 맞닥뜨리는 사람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이 제 논지입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논문을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그리고 이제 개인적인 소회를 말하자면, 정말 석사 논문 쓰는 과정이 어려웠습니다. 텍스트도 어렵고, 제 텍스트 이해에 대한 지적과 피드백도 많이 받고, 어떻게 논문을 써나가야할지 너무 막막했습니다. 그래도 주변 사람들의 심리적 지지와 그리고 철학과 선배들의 열성적인 도움으로 겨우 석사논문을 완성할 수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석사 논문은 학적 커리어로 인정받지 못하고, 아무도 읽지 않는다고 하지만 저에게 있어서는 의미가 매우 큰 논문입니다. 제 고민과 노력이 묻어나있는 논문이라 애정이 큽니다. 그러니 많이 읽어주시고 댓글이나 포스팅으로 비판하거나 질문해주시면 기쁜 마음으로 응답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