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점이 강하게 반영된 글은 '순수하지 않은' 글일까?

얼마 전에 존 설(J. Searle)의 심리철학을 전공하시는 박사과정 J 선생님과 이런 대화를 나누었습니다.

나: 그러고 보니, 설의 논의들은 이곳저곳에서 자주 접하였지만, 정작 저는 설의 글을 제대로 읽어본 것이 거의 없네요. 설의 심리철학을 살펴보려면 어떤 글을 읽는 게 좋을까요?

J: 한국어로도 번역되어 있는 Mind가 심리철학 개론서로 좋아요. 그런데 이 책이 중립적인 관점에서 쓰인 개론서는 아니에요. 설 본인의 관점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어서요.

나: 오히려 좋네요! 정보를 병렬적으로 나열하기만 한 책은 재미가 없잖아요!

철학을 처음 공부하던 시절에는 가치 중립적인 관점에서 각각의 입장들을 소개한 개론서들이 좋았습니다. 저자의 관점이 강하게 반영된 글들은, 뭐랄까, '순수하지 않다'고 생각해서요. 그런데 어느 순간 생각이 많이 바뀌었네요.

첫째로, 순수하게 객관적인 관점에서 쓰인 요약이나 논평이라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모든 종류의 요약은 주어진 전체 텍스트에서 몇 가지 강조점들을 뽑아내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죠. 문제는 무엇이 '강조점'이 되어야 하는지를 정하는 기준이 언제나 요약하는 사람의 입장이라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똑같은 텍스트를 읽고 요약하더라도, 어느 내용에 강조점을 두는지에 따라 서로 다른 요약들이 생겨날 수밖에 없죠. 하물며, 논평의 경우는 말할 것도 없고요.

둘째로, 저자의 관점이 반영된 글들이 순수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은, 그 저자의 학문적 기여를 폄하하는 태도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철학적 논의라는 것은 끊임없이 비판적 관점을 제시하고 논쟁하는 과정에서 발전하는 것이잖아요. 그러다 보니, '관점'이 들어간 텍스트를 마치 객관성을 상실한 텍스트인 것처럼 여긴다면, 그건 결국 해당 텍스트의 저자가 철학의 발전에 기여할 만한 실력이 없는 사람이라고 여기는 꼴이 되더라고요. "글에다가 너의 관점을 집어넣는다고? 너가 무슨 칸트나 헤겔 같은 거인이라도 되는 줄 아니? 나는 거인들에게 관심이 있는 거지, 너의 관점 따위에는 관심이 없어. 너의 알량한 관점은 철학사에 아무것도 더해주지 못하거든." 같은 식의 태도를 저 스스로가 암묵적으로 숨기고 있었던 것이 아닌지에 대해 어느 순간 반성하게 되었습니다.

셋째로, 저자의 관점을 폄하하는 태도는 사실 그 관점을 제대로 평가할 만한 안목이 부족했던 제 자신의 무능력함을 드러내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였습니다. 공부를 처음 하는 사람일수록 무엇이 중요한 논의이고 무엇이 중요하지 않은 논의인지, 무엇이 새로운 논의이고 무엇이 진부한 논의인지, 무엇이 일반적인 논의이고 무엇이 개성적인 논의인지 구별하지 못하잖아요. 그러다 보니, 아무리 흥미롭고 독창적인 관점이 제시되어도, 그 관점을 객관적인 정보에 불필요하게 뒤따르는 '부가물' 정도로만 생각하고 무시해버리는 거죠. 그동안 저자의 관점이 반영된 글을 제가 순수하지 않다고 보았던 것도, 사실 이렇게 제 부족한 안목과 무능력 때문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에 부끄러웠습니다.

그런데 아마 저자의 '관점'이나 '개성'을 순수하지 않은 것으로 보는 태도가 단순히 저 혼자에게만 내재되어 있던 태도는 아닌 것 같아요. 사실, 저는 철학을 공부하면서 이런 태도를 지닌 분들을 꽤 많이 접하였습니다. 저와 제 지인분들은 종종 '원전독대'라는 말로 이런 태도를 표현하고는 했는데, 한 마디로, 칸트나 헤겔 등의 고귀한 원전을 기존 연구들이 왜곡하였기 때문에, 아무런 선행연구에 의존하지 않고서 혼자 청정한(?) 눈으로 원전을 독대하여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는 식의 태도였습니다. 물론, 때로는 이런 식의 원전 연구도 반드시 필요하겠지만, 저는 많은 경우 이런 태도가 생산적인 논의를 가로막는 아주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고전'이라고 인정된 텍스트 이외에는 어떤 텍스트의 가치도 인정하지 못하게 해버려서, 철학이 끊임없이 제자리 걸음만 걷도록 만드니까요. DBpia 등에 끊임없이 논문이 쌓이는데도, 그 논문들이 아무도 읽지 않는 데이터조각으로 남는 이유도 여기에 있겠죠.

16개의 좋아요

짧은 생각이지만 존 설과 같은 대가들은 기존의 철학적 사유를 따르기보다 자신의 분명한 사유와 관점을 통해 깨부수는것이 바람직하다고도 생각합니다. 자신의 독특한 용어나 사유를 통해 관점을 드러낼수 밖에 없는 측면이 있다고 생각입니다.

2개의 좋아요

사실 입문을 원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조금 더 중립적인 글을 읽고 싶을 수도 있지요. 어떤 의견이 어떤 논쟁이 있는지 모르는 상태에서는 한 사람의 생각보다는 general consensus를 더 알고 싶을 수 있으니깐요. 이런 부분에서는 저자들이 "I think"라던가 "In my view"라고 하면서 자신의 입장을 표명하고 있다고 사인을 주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사실 어느 정도 철학서에 익숙한 사람이면 이런 것들을 보면서 걸러들을 수 있겠지만, 그렇지 않으면 저 사인들이 무슨 의미인지 모를 수도 있지요.

8개의 좋아요

반드시 대가가 아니더라도, 저는 모든 연구자들이 글에 자신의 관점과 개성을 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해요. 사실, 국내 연구자들은 자신의 관점을 드러내는 데 있어서 지나치게 부끄러움이 많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해요. 오늘만 해도 국내 논문을 4편 정도 읽었는데, 하나같이 글의 4/5를 해설에 할애한 다음 마지막 '결론' 부분에서 겨우 비판적 논평을 살짝 첨가하더라고요. 그것도 마치 개론서에나 나올 법한, 아무 특색 없는 항목 나열식 비판을 말이에요. 해당 논문의 저자분들께는 죄송한 마음이지만, 저는 이런 글쓰기가 그다지 좋지 않다고 평가해요. 글이 '논문'이 아니라 '설명문'이 되어버리니까요. 정말로 '연구자'라고 한다면, 자신의 방법, 관점, 평가를 숨기지 않고 전면에 드러낼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해요.

11개의 좋아요

철학이라는것이 자신의 사유를 다듬는 과정이며 그것을 철학적 검토 혹은 비판과 논증이라고 배웠고 저도 그렇게 생각합니다. 누군가의 철학을 공부한다는 것은 그의 생각을 일방적으로 받아들여 암기한다는 의미는 아닐것입니다.

4개의 좋아요

요즘 논문을 쓰면서 느끼는 점인데, 이차 문헌을 쓸 때도 저자의 독특한 관점이 없고 그저 일반적 논의들만 소개하고 충실하는데 그치는 글들은, 사실 이차 문헌으로써 사용하기에도 매력적이지 않다는 생각을 많이 합니다. 저자의 고유한 관점과 해석이 있을 때 제가 그것을 제 논지를 지지하거나 혹은 반대로 그것을 제 입장과 대립되는 관점으로 끌어들여서, 제 논의를 진전시키기에도 좋더라구요. 그런 과정이 학문이 발전하는 과정의 한 부분이 아닐까 생각도 듭니다. 생각을 주고 받고 이렇게요.

그리고 윤님이 말씀하신대로, 연구자들이 자신의 목소리를 내는데 좀 더 자신감이 있으면 좋겠다는 데 정말 동의가 되어요. 사실 그 부분이 가장 가치있는 부분 일텐데, 텍스트를 잘 정리해서 소개해 주는 것 보다도요. 음, 업계 업자들이라면 이 부분을 가장 눈여겨 보는 게 당연할 거 같거든요. 대중서를 쓰고 대중 독자를 염두에 둔 글이 아니라면요.

7개의 좋아요

'지금까지의 모든 위대한 철학의 정체가 나에게 점차 분명하게 되었다. 즉 그것은 각 철학을 창시한 자들의 일종의 자기고백이자 의도하지도 않았고 자신도 모르게 쓴 일종의 회고록이다.' 저는 그래서 니체 선악의 저편 6절에 나오는 이 구절이 좋더라구요. 완전히 객관적인 시선이란 건 애초에 존재할 수가 없는데다가 사실 우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 즉 언어와 논리라는 매개를 빌려 내가 어떤 인간인지를 전하고 있을 뿐이라는 사실이죠. 사실 언어라는 수단을 통해 우리의 모든 심상을 누군가에게 100% 전할수도 없다고 생각하구요. 이 부분에서 '기표는 기의에 영원히 닿지 못하고 끊임없이 미끄러진다.'는 라캉의 말에 동의합니다. 제 인생영화에 대해 제가 아무리 떠들어도 제가 사랑하는 사람이 그 언어를 통해 저와 똑같은 느낌을 공유받을 수 있는 건 아니니까요. 예전엔 그게 저주라고 생각했는데 지금은 오히려 저주임과 동시에 축복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어요. 언어라는 매개를 우리가 경유해야만 하는 이상, 매개는 우리를 서로를 이해해볼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고리가 되기도(축복), 내 마음을 심상그대로 전할 수 없고 반드시 언어라는 매개를 거쳐야만 한다는 이유에서 하나의 장벽이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나와 전혀 다른 생각을 하는 사람의 글을 보며 내 생각의 지평이 깨지기도 하고, 나와 비슷한 지점의 생각을 공유하는 사람이라도 그것을 수사하는 언어의 방식이 다르면 또 거기서 전혀 다른 영감을 얻기도 하구요. 같은 곳을 바라본다고 해서 같은 것을 바라보는 것은 아니라는 그 사실이 오히려 기쁨을 준다는 걸 알게 됐습니다. 저는 철학 전공이 아니지만 철학자나 예술가들에게 끌리는 이유가 자기만의 관점을 그들의 각기 다른 방식을 통해 그들이 보는 매력적인 세상을 조금이나마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유하는 것 같습니다. 돌아보면 거기서 본 것들이 내 세계까지 침범해 와 내 세계를 넓히고 아름답게 채색해주는 것 같아서 좋더라구요.

6개의 좋아요

Answer님의 말에 적극 동감합니다. 제가 지금까지 생각해오던 것과 거의 유사합니다. 정확한 저작이 기억 안나지만, 플라톤의 대화편에서도 언어는 치유약이면서도 독이라는 이중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하죠.(아시는 분 있으시면 댓글로 좀 알려주세요.) 비극이 될지 희극이 될지는 모르지만, 결국 인간은 언어를 통해야만 하고 벗어날 수도 없으며 그 언어를 통해 자기 자신과 타자를 해명해내고 이해하며 표현해내는 존재라고 생각합니다. 그런 존재라고 제가 자의적으로 확정짓는 것이 인간을 또 다시 고정적인 외피에 가두어버리는 것일지도 모르지만.

3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