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겐슈타인과 들뢰즈는 화해할 수 있을까요?

에서 들뢰즈가 비트겐슈타인을 매우 싫어한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들뢰즈는 차이와 생성을 말하는 철학자이기 때문에 1:1 대응을 주장하는 전기 비트겐슈타인과는 방향이 정반대와도 같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경우, 비본질주의를 주장하기에 이릅니다. 여기서 시뮬라크르를 긍정하는 들뢰즈와 어쩌면 통할 수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또한 컨텍스트를 중요시 여기는데요, 저는 여기에서 들뢰즈의 '기계' 개념이 떠오릅니다.

두 철학의 거장들이 과연 화해할 여지는 없는걸까요?

3개의 좋아요

재미있는 주제네요. 들뢰즈가 비트겐슈타인을 혐오한 것처럼, 비트겐슈타인주의 전통에 있는 로티도 들뢰즈에 대해 다소 노골적으로 비아냥거린 적이 있죠. 들뢰즈가 "니체의 더 멍청한 면"을 장려하고 모방한다면서요. "니체가 지닌 형이상학적 체계 건설의 경향"을 들뢰즈가 뒤따르고 있다고 비판한 거죠.

At an early stage in his engagement with French “postmodern” philosophers he wrote a brief review of Deleuze’s Nietzsche and Philosophy together with Richard schacht’s Nietzsche, in which he painted a rather unflattering picture of a Parisian silliness that was supposed to have cultivated and imitated “the more fatuous side of Nietzsche” (Rorty 1983, 620). Deleuze’s crime was to have taken seriously Nietzsche’s metaphysical system-building tendency and to have elaborated the theory of will to power in a manner that ultimately “dissolves everything into a mush of reactive forces in order to bring out their underlying nastiness” (Rorty 1983, 619). (Paul Patton, Deleuzian Concepts: Philosophy, Colonization, Politics, Stanford,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2010, p. 60.)

그렇지만 저는 비트겐슈타인과 들뢰즈가 반드시 서로 상극인 철학자들이라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오히려 전통적인 형이상학과 대립한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이 더 많은 철학자들이죠. 특별히, 비트겐슈타인은 '차이의 철학자'라고 불릴 수도 있어요. 비트겐슈타인인 본인이 '차이'라는 주제를 굉장히 강조했거든요. 셰익스피어의 『리어왕』에 나오는 "내가 너희에게 차이를 가르치겠다."라는 구절을 『철학적 탐구』의 모토로 삼으려 했을 정도로요.

위의 <철학의 길> 강의 5-2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자연주의, 데리다의 해체주의, 들뢰즈의 차이의 형이상학 사이의 관계에 대해 이승종 교수님과 제가 토론한 내용이 있어요. 간략하게만 요약하자면, 비트겐슈타인과 들뢰즈는 모두 동일성보다는 차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일치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은 '차이'라는 현상을 형이상학적 지평에서 다루고자 하는 시도를 거부했다는 점에서는 들뢰즈와 구별된다는 내용이에요.

6개의 좋아요

두 철학자를 비교하는 데 관심이 있으시다면, 서동욱 선생님의 『차이와 타자』(2000, 문학과지성사) 제2부 제5장에 등장하는 「보충적 논의: 들뢰즈와 비트겐슈타인」을 참조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4개의 좋아요

위의 <철학의 길> 강의 5-2에서는 비트겐슈타인의 자연주의, 데리다의 해체주의, 들뢰즈의 차이의 형이상학 사이의 관계에 대해 이승종 교수님과 제가 토론한 내용이 있어요. 간략하게만 요약하자면, 비트겐슈타인과 들뢰즈는 모두 동일성보다는 차이라는 주제에 초점을 맞췄다는 점에서 일치하지만, 비트겐슈타인은 '차이'라는 현상을 형이상학적 지평에서 다루고자 하는 시도를 거부했다는 점에서는 들뢰즈와 구별된다는 내용이에요.

무료로 이렇게 좋은 강의가 있었네요.
살짝 들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두 철학자를 비교하는 데 관심이 있으시다면, 서동욱 선생님의 『차이와 타자』(2000, 문학과지성사) 제2부 제5장에 등장하는 「보충적 논의: 들뢰즈와 비트겐슈타인」을 참조하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역시 다루어진적이 있었군요!!
나중에 시간나면 차이와 타자도 읽어봐야겠어요.


두 답변 모두에는 해결책이 눌러지지 않아서 일단 우선적으로 답변 남겨주신 YOUN님 것에 표시해두도록 할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