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덕적 진술에 관한 몇 가지 생각

(1)

곰곰히 생각했을 때, 아마 이 부분이 주관주의와 제 입장이 갈라서는 부분이라 여겨집니다.

저는 (만일) 이모티비즘이 도덕적 진술이 "어떠한 명제의 형태"도 아닌 "감탄사"(와 같은 것으로) 환원된다는 주장이면, (만일 semantic한 차원이면) 수용할 수 있으나 사실상 무의미하다 생각이 듭니다. (왜냐하면 이 주장이 성립하는 영역이 단순한 진술이 아닌 "도덕적 진술"이라는 맥락 속에 있기 때문입니다. 전 어떠한 대상이 없는 "도덕적 진술"[그게 감탄사일지라도]은 상상하기가 어렵네요.) 화용론적 차원이면 어떻게 (명제의 형태로 드러내는 내용이 없는) 감정만을 드러내는 것으로 볼 수 있는지는 이해가 되지 않고요.

나아가 주관주의에서 받아드리기 어려운 지점은 "도덕적 진술의 참/거짓을 따질 수 있다."는 부분입니다. 이 부분에서 저는 도덕적 진술이 감정의 표현이라는 전제하에, 이 진술의 도덕적 참과 사실적 참을 구분해야 한다 여깁니다.

(i) x는 옳다.
(ii) 카렌은 x가 좋다 생각한다. (믿는다는 논쟁의 여지가 있을 수 있어서 생각하다고 좀 더 평이하게 옮겼습니다.)

저는 도덕적 진술이 (ii)의 형태로 전환된다 여깁니다만, 이게 어떤 의미에서 도덕적 진술의 참/거짓을 가릴 수 있다는 것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ii)가 실제 사태에 대응한다는 점에서, 진리대응론적으로 이 문장의 참/거짓은 가릴 수 있습니다. (주관주의는 이러한 참/거짓이 곧 도덕적 참/거짓이라 여기는 것인가요?)

하지만 저는 그렇다고 이게 도덕적 참이라는 생각은 딱히 들지 않습니다. (어떤 의미에서 참에 대한 두 가지 다른 기준을 적용하고 있는 듯한 생각도 드네요.)

보론하자면 이런 것 같습니다. 다른 문장을 예로 들면 도덕적 진술은 다음과 같은 유형인 것으로 보입니다.

(i) 저 사람은 한국인이다.
(ii) 저 사람은 조센징이다.

두 문장은 명제에 있어서 같고, 진리값도 같아 보입니다. 다만 차이가 있다면, 대상에 대한 '태도' 혹은 '감정'이겠지요. 저는 도덕적 진술이 이와 같다 생각합니다. 다만 핵심은 태도/감정에 있으며, 이 영역에서 (진리대응론적인) 도덕적 참은 존재하지 않다 여겨집니다.
굳이 도덕적 '참' 같은 것을 찾자면, 원문에서 언급한 상황에 대한 감정/태도의 적절성으로 저는 이해하고 있습니다.

(2)

SEP(Moral Cognitivism vs. Non-Cognitivism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에 따르면, 제 입장에 가장 가까운 것은 이모티비즘보단, 표현주의(expressionism)이나 유사 실재론(quasi-realism)이나 혼합 이론으로 보입니다. 다만 구체적인 각론을 살펴봐야 무엇이 쟁점 사항인지 알 수 있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