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소에 장애인 인권 문제에 관심이 있어서 이에 영향을 받은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감각기관에 장애가 있는 사람이나 정신질환을 가진 사람에게 철학이 어떤 의미를 가질까 라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습니다. 제가 보기에 철학에서는 퀴어 이론에서 다루는 성별 불일치 같은 요소를 제외하면 감각기관이나 사고능력의 장애, 인격장애나 정신적 병리증상에 대해 다루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이는 대부분의 철학자들이 정신질환이나 감각기관의 장애를 겪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이것이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저는 인식론이나 윤리학에서 이러한 주제들을 다루지 않았다는 부분이 조금 허전하게 느껴집니다.
(많은 비판을 받기는 했지만) 이성적인 동물이 인간이다, 사유할 수 있는 존재가 인간이다 와 같은 주장을 펼치는 사람들은 생각할 수 없는 사람을 무엇으로 여길까요? (철학자와 정신질환자의 관계에 대한 예시를 들자면, 러셀이 청소년기에 정신질환을 앓고 있던 자신의 큰아버지를 알게 된 후 큰 충격을 받고 공포심에 휩싸인 경험이 있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수학 원리는커녕 기본적인 논리 개념도 이해하지 못하는 분들에겐 철학이 어떤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요?
저는 안면실인증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요소가 많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흔히 안면실인증을 사람의 얼굴을 헷갈리거나 구별하지 못하는 정도로 여기지만 증세가 심한 경우 자신의 얼굴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사물을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분들에게는 굳이 테세우스의 배 같은 본질과 변화에 대한 사고실험을 제시할 필요가 없습니다. 안면실인증 환자분들에게는 아무 변화가 없는 테세우스의 배도 보는 각도나 배 주변의 환경에 따라 이미 다른 대상으로 인식되기 때문입니다.
그 밖에도 반사회성 인격장애를 가진 사람과 보편 윤리의 관계, 시각장애인과 미술, 청각장애인과 음악, 뇌병변이나 발달지체에 의한 언어장애인과 사피어 워프 가설의 관계 등등 여러 가지 아이디어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아이디어들을 처음 떠올렸을 때는 철학에 대해 지금보다도 모르는 부분이 많았고 지금도 이 주제에 대해 어떤 식으로 접근해야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어쩌면 이 글과 같은 내용이 이미 철학계에서 논의되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제 능력으로는 스스로 던진 주제들과 질문들에 답하거나 건설적인 사고를 통해 논의를 발전시키기가 어렵습니다. 혹시 이 주제에 관심 있는 분이 계신다면 꼭 의견을 말씀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내용의 문제점, 글쓰기 방식에 대한 지적은 항상 감사히 받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