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주의와 헤겔주의: 헤겔에 대한 옹호(1)

41022_hegelglasses

(1) 헤겔주의는 '현상/사물 자체'를 이분법적으로 구분하고자 한 칸트의 시도가 심각한 철학적 문제에 빠진다고 비판합니다. 한편으로, 칸트는 우리의 인식이 결코 알 수 없는 '사물 자체'를 상정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칸트는 우리의 인식이 '사물 자체'를 어떠한 방식으로든지 알고 있다고 주장합니다. 두 가지 입장 사이의 모순은 종종 '"사물 자체"의 아포리아(aporias concerning the "thing-in-itself")'라고 일컬어지기도 합니다.

(2) 이러한 문제는 초창기 독일 관념론 철학자들로부터 지적되어 소위 '두 세계(two worlds)' 이론과 '두 관점(two perspectives)' 이론 사이에서 벌어지는 오늘날의 칸트 해석 논쟁에서 역시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가장 먼저 '사물 자체' 개념이 지닌 문제를 지적한 인물은 야코비였습니다. 스탠포드 철학 백과사전은 '야코비의 딜레마(Jacobi's dilemma)'라는 이름으로 사물 자체 개념이 지닌 한계를 다음과 같이 해설합니다.

  • 야코비의 딜레마: 우리의 감성을 촉발시키는 대상은 현상(appearances)인가 사물 자체(things in themselves)인가? 야코비는 그 대상이 사물 자체일 수 없다고 논증하는데, 왜냐하면, 그렇게 하는 것은 범주를 사물 자체에 적용하는 활동을 포함할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 대상은 현상일 수 없는데, 왜냐하면 현상은 자신이 (이른바) 유발한 바로 그 경험 때문에 존재하기 때문이다. 그는 칸트의 체계가 비일관적이라고 결론내린다.*

즉, 칸트는 우리의 인식을 촉발시키는 대상에 대해 이중적 태도를 취합니다. 한편으로, 우리는 외부에 존재하는 '사물 자체'가 인식을 촉발한다고 말해야 합니다. ('촉발'이란 현상보다 논리적으로 앞서는 대상으로부터 일어나야 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 우리는 외부에 존재하는 '사물 자체'가 인식을 촉발한다고 말할 수 없습니다. ('촉발'이란 인과의 범주가 적용되는 현상의 영역에서만 성립합니다.) 두 입장을 동시에 받아들이고자 하는 시도는 모순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야코비는 칸트의 철학을 다음과 같이 비판합니다.

"나는 사물 자체에 대한 가정 없이는 칸트의 체계 안으로 들어갈 수 없고, 또 나는 그 가정을 가지고서는 거기에 머무를 수 없다."(Jacobi, Werke, vol. II, p. 304)

(3) 헤겔주의는 칸트가 '사물 자체'라는 불필요한 형이상학적 대상을 상정한 나머지 잘못된 모순에 빠졌다고 지적합니다. '사물 자체의 아포리아'는 애초에 우리의 인식과 동떨어진 대상이 존재한다고 전제하지 않는 상황에서는 발생하지조차 않습니다. "왜 우리가 굳이 '사물 자체'라는 이상한 대상을 받아들여야 하는가?" 가 바로 헤겔주의가 제기하는 근본적 의문입니다. 헤겔주의는 사물 자체를 다음과 같이 바라봅니다.

  • 사물 자체: 우리가 볼 수도, 들을 수도, 만질 수도 없지만, 여하튼 인식의 영역 너머에 존재하기는 하는 대상

헤겔주의는 칸트가 사물 자체에 대해 해명하는 방식이 종교인들이 '신'에 대해 해명하는 방식과 완전히 동일하다고 평가합니다. 가령, 우리는 종교인들이 '신'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야기하는 모습을 종종 접하곤 합니다.

  • : 우리가 볼 수도, 들을 수도, 만질 수도 없지만, 여하튼 인식의 영역 너머에 존재하기는 하는 분

인식의 영역 너머에 결코 알 수 없는 대상을 상정한 채 다시 인식의 영역 속에서 그 대상을 알 수 있다고 주장하려는 입장은 모순에 빠질 뿐입니다. 애초에 '알 수 없는 대상'을 상정해버릴 경우 그 대상을 알고자 하는 모든 시도는 원천적으로 차단당하고 맙니다. 따라서 헤겔주의는 "여하튼 사물 자체가 인식의 영역 너머에 존재하긴 한단 말이야!"라는 주장이 대단히 공허하다고 지적합니다.

(4) 소위 '헤겔주의'라는 이름을 지닌 진영은, 상이한 강조점을 내세우기는 해도, 기본적으로 우리의 인식과 동떨어진 실재를 부정합니다. 가령, 분석철학에서 헤겔주의를 옹호하는 대표적 철학자 중 한 명인 로티는 '직관적 실재론(intuitive realism)'을 다음과 같이 비판합니다.

실용주의자는 이런 것[직관적 실재론]을 공허하다고 여긴다. 실제로, 실용주의자는 '주관적인 것(the subjective)'에 관한 네이글[직관적 실재론을 대표하는 철학자]의 많은 담론들을 언어의 그물망 한 가운데 있는 빈 공간 주위에 선을 그리는 행위로, 그러면서 여기에는 아무것도 없는 게 아니라 뭔가가 있기는 있다는 식으로 주장하는 행위로 여긴다.(Rorty, Consequences of Pragmatism, p. xxxvi)

마찬가지로, 대륙철학에서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바탕으로 헤겔의 철학을 새롭게 독해하고자 하는 지젝 역시 실재가 우리에게 비밀처럼 숨겨져 있다는 생각을 부정합니다. 오히려 그는 카프카의 『심판』 제9장에서 등장하는 문지기와 시골 사람의 이야기를 비틀어 우리에게 아무런 실재도 비밀스럽게 숨겨져 있지 않다는 사실이 그 자체로 '비밀'이라고 다음과 같이 이야기합니다.

"즉 오랫동안 기다리고 난 후에 시골 사람은 버럭 화를 내며 문지기에게 소리 지르기 시작한다. '이 나쁜 놈아, 넌 마치 어떤 커다란 비밀을 향한 출입구를 지키고 있다는 듯이 행세하는구나. 문 뒤에 비밀이라곤 없고, 이 문은 오직 나를 위해서, 오직 내 욕망을 잡아내기 위해서 만들어진 것이라는 걸 잘 알면서 말이야.' 그러자 문지기가 그에게 조용히 대답한다. '그것 보쇼, 이제 당신이 진짜 비밀을 알아냈지 않소. 문 뒤엔 오직 당신의 욕망이 끌어들인 것밖에 없다는 사실을……."(지젝, 『이데올로기의 숭고한 대상』, 118쪽)

8개의 좋아요
1개의 좋아요

are the objects that affect our sensibility appearances or things in themselves? They cannot be appearances, Jacobi argues, because that would involve applying the categories to things in themselves. And they cannot be appearances, because appearances exist in virtue of the very experiences they are (allegedly) causing. He concludes that Kant’s system is inconsistent (Jacobi, Werke , vol. II, 291–310; Fichte raises the same objection in the Second Introduction to the Wissenschaftslehre ; cf. Fichte, Werke I, 488).

요 부분이군요. 음음.

1개의 좋아요

솔직히, 요 부분 자체는 읽어도 무슨 말인지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게 쓰여 있지만, 요 부분 앞뒤로 요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있어요. 특히, 그 앞의 내용에서 감성을 촉발시키는 대상이 '사물 자체'라고 할 경우 우리가 현상의 영역에만 적용되어야 하는 범주를 사물 자체에 적용해야 하는 문제에 빠진다는 설명이 있어서 "appearances"를 "사물 자체"로 수정 번역하였습니다.

2개의 좋아요

예전에 야코비 얘기를 들었던 기억에 따르면 해당 번역이 맞는 것 같습니다.

1개의 좋아요

"범주를 물자체에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물자체가 우리의 감성을 촉발시킬 수 없다"라고 알려진 야코비의 물자체 비판의 이 단순화된 정식은 사실 최근 야코비 연구자들에 의해 많이 반박되고 있습니다. 저 정식은 신칸트주의자들이 칸트에 대한 비판을 도식화할때 야코비와 고틀롭 에른스트 슐체(Gottlob Ernst Schulze)의 두 비판을 하나로 뒤섞으면서 나온 정식이기 때문입니다. 야코비 본인은 사실 칸트가 범주를 물자체에 적용하기 때문에 틀렸다고 주장한 적이 없습니다. 이 비판은 사실 슐체가 칸트의 비판철학을 비판하고 흄의 회의주의를 옹호하면서 주장한 슐체 고유한 비판이었습니다. 위에 언급된 피히테의 저서 Second Introduction to the Wissenschaftslehre에서 피히테 역시 이 두 비판을 서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10개의 좋아요

야코비의 비판과 슐체의 비판의 차이점을 명료화하는 것은 사실 상당히 어려운 문제이고 여전히 논쟁점이 많습니다. 슐체의 비판과 비교하여 야코비의 비판을 표현하자면, 체계의 일관성 문제에 대한 내재적 비판과 초월적 대상으로서의 물자체라는 개념에 의해 발생되는 니힐리즘이라는 외재적 비판이라는 두 측면으로 나눠서 파악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칸트는 초월적 감성론을 다룰 때에는, 물자체를 우리 의식 밖에서부터 우리의 감성을 촉발하는 대상으로 전제하고 있지만, 칸트의 서술의 전개 속에서 점점 이 물자체가 의식 안으로 옮겨지고, 최종적으로는 오직 오성에 의해 "사유"될 수 있는 초월적 대상으로 변한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야코비는 칸트의 초월적 감성론과 칸트의 오류추리론을 일일이 대조해가며, 물자체의 개념이 순수이성 비판 안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추적합니다.

8개의 좋아요

칸트의 물자체에 대한 서술 상의 이 변화를 야코비는 칸트철학의 정신인 주관적 관념론과 칸트가 가지고 있는 실재론적 입장 사이의 충돌이라고 주장합니다. 칸트는 사실상 철두철미한 주관적 관념론을 제시하고자 했고, 사실 그것이 칸트 철학의 본질을 이루는 것임에 불구하고, 칸트 본인의 실재론적 고민이 이를 주저하게 만들고, 결국 초월적 대상을 넘어서는 우리 의식 밖의 물자체를 전제로서 삼고 출발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 후에 야코비는 칸트의 후계자들이 그렇기에 사변적 에고이즘이라는 비판을 두려워하지 말고, 칸트 철학 안에서 물자체가 의식 안에 있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받아들일 것을 충고합니다. 그리고 이 충고를 피히테가 그대로 받아들입니다. 오직 야코비만이 칸트를 가장 정확하게 읽고 있었고, 자신의 학문론을 위한 발판을 마련해줬다구요.

11개의 좋아요

그러나 이렇게 초월적 대상으로 된 물자체만을 인정하는 주관적 관념론을 주장하게 될 경우 니힐리즘의 문제에 빠지게 됩니다. 칸트의 정신과 피히테의 철학은 완전한 관념론적 체계의 완성을 목표로 하지만, 그에 의해 모든 실재성이 체계 안에서 박탈당하고, 오직 초월적 자아의 어떤 공허한 유희만 남는다고 말입니다.
이 비판은 당연히 이후 피히테, 셸링, 헤겔의 문제의식, 즉 관념론과 실재론을 관념론 안에서 어떤식으로 통합시킬지에 대한 근본문제의식으로 나아가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직 밖이라 너무 부정확하게 작성된 것 같습니다. 이후 제대로 슐체와 야코비의 비판를 비교하는 글을 올려보겠습니다. (헉 야코비와 술체가 아니라 슐체와 헤겔의 비판을 물어보신거였군요. 그것도 따로 다뤄보겠습니다.)

8개의 좋아요

야코비에 대한 자세한 설명 감사합니다! 야코비나 슐체에 대해 아시는 분이 계시니 내용을 점검 받을 수 있어서 좋네요. 저는 영미권의 분석적 헤겔주의 사조로부터 헤겔에게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보니 독일 관념론 전통 속에서 논의되었던 주제에 대해 자세하게는 알지 못하는데, 앞으로도 이런 문제가 나올 때마다 도움을 많이 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야코비의 칸트 비판을 내재적 비판과 외재적 비판으로 나누어 설명해주신 내용도 참 유익하네요.)

3개의 좋아요

전문적인 견해 정말 감사합니다! :+1::+1::+1:

3개의 좋아요

오늘 스탠포드 철학백과에서 이 내용 다시 찾다 보니, 제가 오기인 것 같다고 지적한 부분이 수정되어 있네요. 몇 달 전까지도 오기가 그대로 남아 있어서 이걸로 시간 날 때 원 저자한테 메일이나 한번 보내볼까 했는데, 수정되어서 뭔가 괜히 아쉽네요.

2개의 좋아요

앗 저 stang 교수님이랑 친한데 다음에 슬쩍 한 번 꺼내봐야겠어요 ㅎㅎ

1개의 좋아요

어느 한국 대학원생이 스탠포드 백과 글에서 도움 많이 받았다고 전해주세요~!ㅋㅋㅋ

1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