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도 YOUN님 말씀처럼 글쓴이님의 해석에 큰 문제가 있어보이진 않아요.
다만
에 대한 제 소견을 좀 말씀드리면, 글쓴이님께서 갖고 계신 권력담론 해석과 비교가능할것 같네요.
푸코는 <감시와 처벌>을 통해 권력을 실체가 아닌 관계로 바라보자는, 지식과 권력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는 관점을 취합니다. 이전의 대부분의 권력(담)론은 (1) 권력을 실체로 여기고, (2) 그런 권력(담)론에서는 지배/피지배 의 이분법 속에서 양자택일의 선택밖에 없습니다. 이것이 푸코의 권력담론이 갖는 차별점입니다.
푸코의 권력담론에 따르면, 힘은 유동적인 성격을 갖고, 권력관계는 언제나 역전 가능한 것입니다. 따라서 누구나 권력 그물 속의 한 지점을 차지하고 있고, 권력 관계가 있는 곳에는 언제나 저항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글쓴이님의 이 말과 크게 다르지 않은 말입니다.
다만 <감시와 처벌> 이후 지식-권력의 축에 주체의 축까지 도입되는데, 이 주체의 축에 대한 이해가 가미돼야 권력담론에 대한 이해도 높아지기에, 풀리지 않은 궁금증이 많거나 헷갈리시는 부분은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푸코의 무엇에 관심있으신지 모르겠다만, 필요하시면 다음의 글을 참고해보세요. 이전에 정리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