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가 말하는 주인과 노예의 구분이 명징한 것으로 착각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많은 경우 니체의 삶 긍정(affirmation)·강화(enhancement)·부정(denial)·보존(preservation) 개념을 칼같이 구분해버린다. 예컨대, 니체 철학에서 '삶-긍정'과 '삶-부정'이, '삶-강화'와 '삶-보존'이 대립하며, 그러고선 긍정과 강화가 연결되는 개념이고 부정과 보존이 연결되는 개념이라 이해한다. 하지만 이런 식으로 니체를 이해하는 경우, 그의 철학 전체 그림을 모두 놓친 것이거나 놓치게 된다.
<주인/노예> 도식에서 출발하자면, 두 특성 모두가 문화 창조와 진보 및 정신적 개발의 전제조건이다 (BGE 188). 주인만이 혁신을 이뤄내지 않는다. 니체의 이상적 인간 또한 두 특성이 하나의 영혼에 상호침투된 결과이다 (BGE 260). 물론 니체는 모든 노예적인 것이 가치 창조의 능력을 지닌다고 생각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그는 분명 노예적인 것 또한 창조성을 지니고 있다고 강조한다. 그 예가 금욕적 사제이다 (GM3 15). 어쨌든 핵심은 <가치 창조자(creator)/가치에 따르기만 하는 무리(herd)> 도식과 <주인/노예> 도식은 일치하지 않고, 도식 간의 포갬(overlap)이 있다는 것이다.
문화 발전을 포함한 모든 혁신이 주인과 노예라는 대립하는 두 특성의 상호침투의 결과라는 니체의 주장은 내가 나와 다른 무엇과의 갈등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니체에게 있어 삶-긍정이란 이런 불가피한 역동성을 인정(say yes)하고 자신과 대립하는 것을 무화시키지 않는 태도를, 삶-부정이란 인정하지 못하고 자신과 대립하는 것을 무화시키려는 태도를 뜻한다. 달리 말해 삶-긍정은 타자를, 힘에의 의지의 아곤적인 구조를, 자신과 대립하는 것이 영원히 반복됨(eternal recurrence)을 인정하는 관점을, 삶-부정은 그러한 아곤적 생성에 대한 허약함을, 타자의 필수성을 인정하는 능력의 부재를 의미한다.
그렇기에 삶-긍정적 관점은 (자신과 대립하는 것과의 관계 속에서) 자신 삶을 창조해나간다는 의미에서 삶-강화 개념과 연결될 수 있지만, 자신의 이해관계를 넘어서 삶의 필연적 조건(역동성)을 긍정한다는 점에서 삶-강화를 넘어서는 개념이자 **광의의 긍정(global affirmation; Great Yes)**이다. 삶-부정적 관점 또한 삶-강화와 연결될 수 있다. 삶-부정적 관심 또한 자신의 삶의 방식을, 자신만의 힘의 형태를 촉진하는데 관심이 있다. 삶-긍정의 방식을 취하지 않으면서도 삶을 강화하는 대표적인 예시로 니체가 제시하는 것이 기독교이다 (AC 34-35, 39-40). 그들의 삶-부정적 관점은 협소한(local) 의미에서, 즉 그들의 삶 형태만을 강화하기를 긍정한다는 점에서 어떤 것을 긍정(의욕)하는 힘("yes-creating force")이라고 여전히 부를 수 있다. 이와 달리 아무것도 의욕하지 않는 것, 삶 강화의 완전한 부재가 바로 "자살적 허무주의"이다 (GM3 28). 그러므로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해 다시 도식을 짜보자면 <삶-강화/자살적 허무주의>와 <삶-긍정/삶-부정>이라는 두 구별이 있을 수 있다.
『GM3 13』이 위 구별을 잘 보여주고 있다. 해당 장에서 우리는 삶-부정적 관점을 취하면서도 협소한 의미에서 삶을 긍정하고, 또 자살적 허무주의를 취하지 않고 자신 삶을 강화하는 인간상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인간상은 첫 단락에서 논한 착종된 니체 철학 도식에 따르면 간파 불가능하다. 니체는 금욕적 이상의 삶-강화하는 힘을 인간의 "병적인 성격"과 연결한다. 다음의 구절은 삶-부정적 관점을 취하는 금욕적 이상이 협소한 의미에서 죽음이 아닌 삶을 긍정한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금욕주의적 이상은 (…) 죽음과 싸우며 죽음에 대항한다. 금욕주의적 이상은 삶을 보존하기 위한 기교이다.
이어지는 구절은 금욕주의적 이상이 생산적 힘을 갖고 있으며, 역사적으로도 삶을 강화하는 수단으로 사용됐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상이 인간을 지배하고 권력을 쥘 수 있었다는 것, 특히 인간의 문명화와 사육이 관철된 곳에서는 어디에서나 그랬다는 것은 역사가 가르쳐주는 바이다.
이어 니체는 금욕주의의 긍정하는 힘이 금욕적 사제를 매개로 하여 "병든 인간"에게 삶을 강화하는 수단을 제공했다고 밝힌다. 즉, 삶-부정적 관점을 취하는 금욕적 사제는 병든 인간에게 삶-강화의 수단을 제공하는 생산적 힘을 가진 자이고, 병든 인간은 그를 따름으로써 삶에 부정적이면서도 "삶을 보존하고 긍정"하게 된다.
금욕적 성직자는 다르게 존재하고 다른 곳에 있고 싶어하는 갈망이 체화된 자이고, 실로 이러한 갈망이 최고도에 달한 자이며, 그러한 열렬한 갈망의 진정한 정열과 격정 자체이다. 그러나 바로 그러한 갈망의 힘이야말로 그를 지상에 붙잡에 두는 사슬이다.
그런데 그러면 왜 사람은 병이 들어 삶-부정적 관점을 취하게 된 것인가? 이 병을 유발한 것은 무엇인가? 이 문제가 남아있다. 그러니 "고통 자체와 고통받는 자가 느끼는 불쾌감"과 싸우는 금욕적 사제와 달리 "고통의 원인이나 진정한 병"의 원인을 추적하고 싸우는 것이 바로 니체의 진짜 목표라고 할 수 있겠다.
(*)표시: 별첨.
참고 출처: LJ Hatab 2008, pp.140-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