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lliams Chapter 3: Cohesion 1

저번 챕터에서는 한 문장이 어떻게 클리어해질 수 있는지에 대해 알아봤으니, 이번에는 문맥을 활용해서 클리어하게 쓰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것은 노트필기에 가깝습니다. 이게 흥미롭다면 pdf를 구해서 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되게 읽기 쉬운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Managing the Flow of Information
문장들은 어떻게 써지냐에 따라서 그 문장이 무엇에 관한 것인지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A blackhole is created by the collapse of a dead star into a point perhaps no larger than a marble" 과 "The collapse of a dead star into a point perhaps no larger than a marble creates a blackhole" 은 같은 내용의 문장들입니다. 하지만, 이 문장들이 관한 내용들이 다릅니다. 첫번째 문장은 블랙홀에 관한 것이며, 두번째 문장은 죽은 별의 collapse에 관한 문장입니다. 그렇다면 이 두 문장 중 어떤 문장을 채택해야할까요? 두번째 문장이 능동태니 두번째 문장을 써야할까요? 윌리엄스는 문맥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만일 그 단락이 블랙홀에 관한 것이면 첫번째, 죽은 별의 collapse에 관한 것이라면 두번째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1) Some astonishing questions about the nature of the universe have been raised by scientists exploring the nature of blackholes in space. (2) (3) So much matter compressed into so little volume changes the fabric of space around it in profoundly puzzling ways.

라는 문단을 봅시다. 이 문단은 블랙홀에 관한 것입니다. (1)에서 그것을 알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이 플로우에 맞추게 된다면, 수동태일지라도 우리는 첫번째 문장을 채택해야한다는 것입니다. 즉, 문장들은 그것이 어떤 것에 관한 것인지에 따라 어떻게 써질지가 정해진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윌리엄스는 한 발짝 더 나아가, 문장이 어떤 것에 관한 것인지 설정하는 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만일 우리가 처음 보는 개념, 익숙하지 않은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면 (주로 단락의 시작에서 나오겠죠) 그 개념은 문장 끝에 나와야하며, 우리가 익숙한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면 문장의 앞에 놔야합니다. 이 두 법칙은 위에 블랙홀에 대한 단락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1)은 블랙홀이 문장 마지막에 나오지만, (2)에서는 문장 제일 앞에 나오죠. 윌리엄스의 설명은 여기까지지만, 여기가 철학 포럼인 만큼, 철학 논문의 예시를 가져와봤습니다. 다음 단락은 샘플 에세이를 쓰는 철학과 학생이라면 모델로 삼아야한다는 것으로도 잘 알려진 Fischer의 Frankfurt-Style Compatibilism입니다.

Many philosophers have worried that God’s existence (understood in a
certain way) or causal determinism (the doctrine that nonrelational features of the past, together with the laws of nature, are causally sufficient for all truths about the present and future) would rule out moral responsibility. One influential reason for this discomfort, although certainly not the only reason, is that it is plausible to suppose that God’s existence (construed in a certain way) or causal determinism would rule out ‘‘genuine’’ alternative possibilities. If moral responsibility requires this sort of alternative possibility (at least at some relevant point along the path to behavior), then it would seem that God’s existence or causal determinism would be incompatible with moral responsibility.
The thought that moral responsibility requires genuine alternative possibilities— the freedom to will, choose, or do otherwise—has been and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motivation for incompatibilism about such doctrines as God’s existence or causal determinism and moral responsibility. It is quite natural to suppose that if we have only one option that is genuinely available to us, then we have to do what we actually do, and that if we have to do what we actually do, we are compelled so to behave. But if we are compelled to behave as we actually do, then surely we cannot legitimately be held morally responsible for what we do.

일단 첫번째 문장을 봅시다. 이 문장은 a worry that God's existence (or causal detemrinism) can rule out moral responsibility 에 관한 것입니다. 문장이 길진 않지만, 피셔가 이것을 문장 마지막에 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문장은 상대적으로 깁니다. 하지만 그 문장은 이 worry를 문장 앞부분에다가 두면서 시작합니다: "One influential reason for this discomfort..." (챕터 2를 읽으신 분들은 여기서 왜 discomfort라는 nominalization이 들어갔는지 아실 것입니다.) 앞문장에서 이 discomfort를 설명하였기에 문장 앞부분에다가 둘 수 있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 문장 끝에서는 다시 새로운 개념을 설명하죠: "God's existence would rule out 'genuine' alternative possibilities.'" 즉, 이 genuine alternative possibilities에 대해서는 설명한 적이 없기 때문에 문장 끝에다가 두고 있는 것이지요. 다시 다음 문장에서는 문장 앞 부분에 "this sort of alternative possibility"를 문장 앞에다가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 단락을 봅시다. 다음 단락의 문장은 역시 앞에서 봤던 개념들을 먼저 언급하며 시작합니다: "The thought that moral responsibility... has been" 그리고 이 문장은 새로운 개념을 다시 언급하죠: "important motivation for incompatibilism about such doctrines as God's existence..." 즉, 이 문장은 incompatibilism 에 관한 문장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다음 문장에서는 incompatibilism을 설명하는 문장들, 즉 우리가 어떨 때 자유가 없는지를 문장 앞에 배치합니다. (incompatibilism 이 우리에 관한 개념이니깐요). 또한 여기서 봐야할 것은, 앞서 말했던 수동태/능동태에 관한 선택입니다. "We are compelled so to behave"의 능동태는 "The only option compells us so to behave"가 되겠지만, 이 문장들은 incompatibislim,즉 우리가 자유가 없다는 것에 관한 문장들이어야하기 때문에 우리는 수동태를 쓰게 됩니다.

7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