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20세기 초반 독일어권(비엔나 그룹과 현상학자들)에서 과학과 다른 학문(윤리학 등의 인문학 - 여기서는 규범학이라고 불릴 예정)을 구분하고 그 성격을 다르게 규정한 뒤, 과학과 규범학은 대비되는 영역으로 이해되었다. 그 뒤 오늘날까지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여러 논쟁들이 벌어지고 있다.
이 글은 허수아비 논쟁을 피하기 위해, '설명’이라는 단어가 가진 중의성에 주목해야한다고 주장한다. 설명에는 크게 a) 인과적 설명과 b) 목적론적(흔히 규범적이라는 표현과 혼용되지만, 앞선 규범학과의 오해를 피하기 위해 목적론적으로 쓰겠다) 설명이 있으며, 학자들 간의 논쟁은 과학/규범학과 설명의 관계, 설명들 간의 관계에서 발생한다고 주장할 것이다
(1) 설명이란 무엇인가? 간단히 정의하자면, '왜 그러한가?'에 대한 질문을 받았을 때, (왜냐하면, ~ 때문에 등의 구문과 함께) 그에 대한 답으로 제시하는 것들이다. 그리고 앞서 말했듯, 이 설명에는 두 가지 의미 - 즉 두 가지 관점이 성립한다.
(2) 과학이 무엇을 설명하는가? 우리는 과학적 설명이 (a) 인과적 설명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예컨대, '사과가 빨간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해서, '사과 껍질의 특정 색소가 특정 빛의 파장을 반사해서, 그 반사된파장을 인간 눈의 특정한 시신경이 감지하기 때문이다.'라고 설명을 제시할 수 있다.
반면 과학적 설명이 (b) 목적론적 설명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사과가 빨간 이유가 무엇인가’라는 같은 질문에, '사과가 빨개서, 생물체가 그걸 더 많이 먹어서 더 많이 번식되기 위한 목적 때문이다.'라는 답이 여기에 해당한다.
과학에 대한 인과적 설명과 목적론적 설명이 가진 차이는 개연성에 있다. (a) 인과적 설명은 단순히 A-B 간의 '개연적 연관성’을 주장하며, 미래에도 그런 '개연적 연관성’이 유지될 가능성이 높다는 설명’만’을 제시한다. 그러나 (b) 목적론적 설명은 ‘개연적 연관성’ 이상을 과학적 설명이 제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3) 한편, 규범의 영역에 속한다고 여기지는 행위에 대해서도 우리는 두 가지 설명일 제시할 수 있다. (b) 목적론적 설명을 우선 살펴보자. '왜 우물에 떨어질 것 같은 아이를 구했인가?'라는 질문에 우리는 '그러는게 규범적으로 옳기 때문이다.'라는 설명을 제시할 수 있다.
반대로 (a) 인과적 설명 역시 제시될 수 있다. 우물에 떨어진 아이를 왜 구했는가, 라는 질문에 '그렇게 해야함을 느껴서 그렇게 했다.'라는 설명이 제시될 수 있다.
(3-1) 규범의 영역에서 (a) 인과적 설명과 (b) 목적론적 설명이 저 예시에서는 모호해 보인다. [학자들 사이에 온갖 논쟁이 있지만] 둘의 구분하는 가장 큰 특징은 '동기’에 달려있다. (a) 인과적 설명의 경우, 행위의 동기-설명을 우리가 실제로 느끼는 '감정’으로 취급한다. 반대로 (b) 목적론적 설명의 경우, 행위의 동기-설명을 우리가 내리는 어떠한 '판단’으로 취급한다.
이 차이를 명확히 보여주는 예시는 '의지 박약’이다. 예컨대, 우리는 일상 생활에서 '불쌍한 사람을 도와줘야한다’는 당위-목적론적 설명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그러한 감정이 들지 않아서 (인과적 동기가 부족해서) 행동하지 않는 경우를 제시할 수 있다.
(4) 과학/규범학과 설명을 둘러싼 문제는 다음과 같을 때 흔히 일어난다. (4.1) 과학에서 설명이 단순한 (a) 인과적 설명이 아니라 (b) 목적론적 설명이라고 주장할 때 일어난다. 이 경우, 학자들은 어떻게 ‘관찰’ 이상의 것을 과학이 '설명’할 수 있는지 논증해야한다.
반대로 (4.2) 규범학/행위 이론에서 행위에 대한 설명을 온전히 (b) 목적론적 설명으로 보고, (a) 인과적 설명을 제거하려고 할 때 문제가 생긴다. 이 경우, 학자들은 앞서 논의한 '의지 박약’과 같은 문제를 해결해야만 한다.
(5) 특히 오늘날에도 학자들이 행위에 대한 (a) 인과론적 설명을 진지하게 논의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내가 보기에 이는 여전히 물질/영혼 이원론의 잔재처럼 보인다. (b) 목적론적 설명이 행위에도 선호되는 이유는, 행위자가 (i) 인과적으로 결정되어있다고 보지 않고 (ii) 자기 스스로 행위를 결정한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혹은 여겨지는 것이 여러 윤리적 문제를 다루는 게 편리하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생각은 잘못되었다. (i) 행위에 대한 인과적 설명이 행위에 대한 인과적 결정론을 함축하지는 않는다. 다시 우물에 빠질 것 같은 아이 사례로 돌아가보자. 우리는 이 아이를 구하는 행위에 대한 인과적 원인으로 아이를 구해야겠다는 감정, 예전에 누군가를 도와주지 않았던 죄책감, 남들이 날 보고 있다는 시선, 이 아이를 구해줄 경우 얻는 명예 등, 많은 원인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원인들 간의 관계, 원인들과 결과의 관계는 ‘모호하다.’ 저 인과적 설명에는 어떠한 원인이 결정적인지, 즉 다른 원인 없이 행동의 동기가 될 수 있는지가 부재한다. 달리 말해, 인과적 설명은 여전히 '개연성’만으로 충분히 성립하며, 무엇이 ‘결정적인지’ 결정론을 함축하지는 않는다.
[비록, 학자들이 여기서 무엇이 결정적인지 탐구하고 싶어하고, 주장할 수 있어도 말이다.]
(ii) 행위자가 자기 스스로 행위를 결정하는 것처럼 보이는 것 역시 '인과적 설명’이 가능하다. 이번에는 무차별 살인의 예시를 생각해보자. 예를 들어, 누군가가 낯선 사람들 공원에서 갑자기 죽였다고 생각해보자. 이 경우, 살인자는 자기 스스로 행위를 결정한 것처럼 보인다.
허나 우리는 이 역시도 시간의 범위를 넓히면 '인과적 설명’으로 대체할 수 있다. 저 누군가가 고아이고, 그래서 뇌신경이 손상되어서, 분노 조절이 잘 안 되어서 벌어졌다고 생각해보자. 이 경우, 우리는 살인이라는 결과가 자기 원인으로 발생했다는 설명 대신, 시간적으로 먼 '원인’으로 인해 발생했다는 '인과적 설명’을 제시할 수 있다. 이 경우, 인간 행위자와 물질의 구분은 자기 원인과 자기 원인이 아닌 것의 차이가 아닌, 즉각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것과 즉각적으로 반응하는 것의 차이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