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론(고대-중세), 인식론(근대), 언어철학(현대)이라는 구분

"The picture of ancient and medieval philosophy as concerned with things, the philosophy of the seventeenth through the nineteenth centuries with ideas, and the enlightened contemporary philosophical scene with words has considerable plausibility."(Richard Rorty, Philosophy and the Mirror of Nature, Princeton, New Jerse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9, 263)

철학사를 구분할 때 종종 고대-중세철학에서는 '존재론'이, 근대철학에서는 '인식론'이, 현대철학에서는 '언어철학'이 핵심 주제로 다루어진다는 말을 여러 사람들이 한다. 서강대 시절에도 이런 말을 많이 들었지만, 최근에 지도교수님이 쓰신 논문을 읽다가도 이런 구분이 나와서, 꽤나 많은 사람들이 이 구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사실, 나는 존재론과 인식론으로 고대-중세와 근대를 처음 구분한 것은 하이데거가 아니었을까 하고 평소에 생각했다. 그런데 오늘 작정하고 이 구분의 출처를 찾다 보니, 셀라스가 "Some Remarks on Kant's Theory of Experience"에서 '인식론적 전회(epistemological turn)'라는 표현을 처음 썼고, 로티가 그걸 이어받아 언어철학 논문집인 Linguistic Turn과 자기 대표저서인 Philosophy and the Mirror of Nature에서 '언어적 전회(linguistic turn)'라는 말을 유통시키면서, 인식론적 전회와 언어적 전회를 기준으로 고대-중세는 '존재론', 근대는 '인식론', 현대는 '언어철학'이라는 구분이 퍼지게 된 것을 알게 되었다.

9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