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의 윤리에 대한 이러한 통속적 이해는 모든 측면에서 틀렸다"

재밌는 문구를 봐서 공유합니다.

우리는 어떤 철학자나 철학적 입장에 대해 일반적인, 표준적인, 혹은 통속적인 이해 X를 갖고 있죠. 모든 철학이나 철학자를 공부할 수는 없는 마당이기에, 대개 철학사를 통해 X를 배우게 됩니다. 동시에 철학자들은 그 이해 X가 잘못됐음을 지적하는 데에서 희열을 느끼곤 하죠. 이것이 철학 연구가 진행되는 방식이기도 하죠.

올빼미에서도 (아마도) 헤겔의 변증법에 대한 통속적인 이해가 처음부터 끝까지 다 틀렸다고 말하는 논문이 공유된 적이 있었는데, 니체에 대해서도 그런 말을 하는 논문이 있네요.

니체의 윤리에 대한 통속적인 이해에 따르면, 그는 한 사람은 적절한 기준에 따라 행동해야 하거나 해야만 한다고 믿었으며, 그 적절한 기준은 개인의 지위(혹은 상황)에 상대적이라고 한다. [...] 일련의 규칙은 아마도 약하고 병든 대중에게 적용될 것이고, 다른 일련의 규칙은 강하고 창의적인 유형에게 적용될 것이다 [...] 니체의 윤리에 대한 이러한 통속적인 이해는 모든 측면에서 틀렸다. [...]

원문 전문: Guay, Robert. "Ethics as social philosophy: Nietzsche on mutuality." Journal of Nietzsche Studies 47.3 (2016): 351-383.

There is a common understanding of Nietzsche’s views on ethics according to which he believes that one ought to or should act on the appropriate criteria, and that the appropriate criteria are relative to one’s status. Everyone’s actions should be governed by some normatively compelling consideration, but there are different considerations for different persons. One set of rules, perhaps, obtains for the weak, sickly masses; another set of rules applies for the strong, creative types. The superior types cannot be bound by the same consideration that apply to others because their flourishing or their projects are too important, or more simply their natural superiority entitles them to greater prerogatives. Variations are of course possible, but something like this, I take it, is a common understanding of Nietzsche’s position. One preliminary aim of this article is to argue that this common understanding of Nietzsche’s ethics is wrong in every respect.

9개의 좋아요

살아가다 보면 나보다 나를 잘 아는 분들이 있지요

윤리에 대한 니체의 입장을 피상적으로 알고있는 터이기에 흥미로운 이야기네요. 우상의 황혼이나 도덕의 계보를 읽었을 때 과연 니체가 저런 식의 강한 주장을 했을까에 대해 의문이 있었거든요. 개인적으로 올빼미에서 헤겔에 대한 통속적인 오해를 반박하는 글들을 흥미롭게 읽었던 기억이 있어서, (니체의 주장을 이해하기도 벅찬 저로서는:smiling_face_with_tear:) 언젠가 니체에 대해서도 그런 글이 많이 포스팅 되기를 바랍니다.

2개의 좋아요

아 이거네요!

핀카드 논문이 헤겔 논문 쓸 때 모델로 삼기 좋다는 말을 들었어요. 물론 논문이 아니라 책이긴 하지만 흡입력이 장난 아니네요.

3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