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렇군요! 생각해 보니, 데이빗슨이 '도식-내용' 이분법을 거부하면서 상대주의를 비판하였고, 맥도웰이 이런 데이빗슨의 논증에 상당 부분 동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좀 복잡해지긴 하네요. '다원주의'라는 용어를 쓰려면, 그 '다원주의'가 과연 데이빗슨과 맥도웰이 거부하는 '상대주의'와 어떻게 다른지를 해명해야 하니까요. (매킨타이어가 '도덕적 상대주의 없는 도덕적 다원주의'를 주장했던 것처럼요.)
그리고 이런 혼동 때문에 몇몇 논평자들은 실제로 맥도웰이 다원주의를 옹호하는 것으로 읽힐 수 있다는 점을 맥도웰에 대한 비판점으로 제시하기도 하네요. 위의 크리스토프 예단도 그렇고, 악셀 호네트도 " Between Hermeneutics and Hegelianism: John McDowell and the Challenge of Moral Realism"에서 비슷한 주장을 하고요. 아마도 이 논평자들은 다원주의를 상대주의의 일종으로 보고서, 다원주의를 받아들이는 것이 맥도웰에게 있어서 일종의 자기모순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또 다원주의가 맥도웰 식의 실재론을 (특히 도덕적 실재론을) 약화시킨다고 생각하는 것 같기도 하고요.
개인적으로 좀 흥미롭게 생각하는 글은, 가다머와 맥도웰의 철학 사이의 유사성을 지적하는 모르텐 타닝의 The Problem of Objectivity in Gadamer’s Hermeneutics in Light of McDowell’s Empiricism이에요. 여기서 타닝은 '세계관'과 '세계'를 분리시킬 수 없다고 강조하는 입장과 '세계관의 다원성'을 잘 결합시키고 있는 것 같아요. 다만, 타닝은 '보편적인 개념적 질서'가 미리 배경에 두어저 있다고 주장하기보다는, 우리의 세계관이 다른 사람의 세계관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 혹은 우리의 세계관과 다른 사람의 세계관과 융합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좀 더 강조하는 것 같아요. ('미리 전제된 보편성'보다는 '보편에 이를 가능성'을 강조하면서 다원주의를 상대주의와 구분한다고 할 수 있을까요?)
McDowell makes a connection between Gadamer’s idea of the intrinsic worldinvolvement of linguistic experience and Donald Davidson’s critique of the dualism between scheme and content. Specifically, McDowell is interested in pointing out an important convergence between Gadamer’s and Davidson’s strategy to avoid relativism. As for Gadamer, McDowell emphasises that relativism is not implicated by denying that we ar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world itself and the topic of our world-view. On the contrary, Gadamer wants to maintain that in every worldview the existence of the world-in-itself is intended. Given the plurality of worldviews, he can only uphold this idea by saying that world-views are not irreducibly closed off from each other. Each world-view potentially contains, and therefore can be extended into, every other. The historical horizon in which we are situated is not a prison but can be extended into or fused with other horizons constituted by a different historical situatedness. McDowell writes:
Our worldview, precisely because it is, qua worldview, open to every other, has as its topic the world itself, not some supposed item constituted by just what we think. [. . .] Our worldview includes its own receptiveness to the possibility of correction, not only by efforts at improvement that are internal to our practices of inquiry but also through coming to appreciate insights of other worldviews in the course of coming to understand them.
Morten S. Thaning, The Problem of Objectivity in Gadamer's Hermeneutics in Light of McDowell's Empiricism, Cham: Springer, 2015, p. 66 my empha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