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원주의자 맥도웰?!

평소에 맥도웰의 철학에는 '다원주의적' 함의가 들어 있다는 생각을 하고는 했습니다. 경험이 '이유의 논리적 공간'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맥도웰의 주장이란, 쉽게 말해 경험이 우리의 '세계관'에 따라 이루어진다는 주장이고, 그 '세계관'이란 시대나 문화마다 다양할 수 있으니까요. 실제로, 맥도웰은 초기의 Mind and World를 비롯해서 후기의 Having the World in View에 이르기까지 '세계관'이라는 개념을 꽤나 강조합니다. 후기의 논문집 제목부터가 "'세계'를 '관점' 속에 가지기"라는 데서부터 이런 점이 잘 드러나죠.

하지만 정작 맥도웰의 논문들이나 맥도웰에 대한 다른 연구들에서는 '다원주의'가 거의 다루어지지 않아서 저의 이런 해석이 과연 올바른 것인지 항상 의문스러웠습니다. 맥도웰은 '실재론'이나 '선언주의'를 강조하는 철학자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다원주의'를 강조하는 철학자로는 언급되지 않아서요. 심지어 '세계관'에 대한 논의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 같더라고요. 세계관을 강조하게 되면 당연하게도 다원주의까지 강조해야 할 것 같은데 말이에요.

그런데 오늘 이 주제로 본격적인 검색을 해 보니, 맥도웰의 1999년 뮌스터 강의록인 Reason and Nature에 이 주제에 대한 토론이 실려 있더라고요. 네덜란드 그로닝겐 대학교의 크리스토프 예단이 "Nature or Natures?: Notes on the Concept of Second Nature in John McDowell’s Mind and World"에서 맥도웰의 입장이 다원주의적이라는 점에 대해 비판적 의문을 제기하였고, 맥도웰은 그 의문에 대해 자신의 입장은 '제2의 자연'(이유의 논리적 공간에서 지각된 세계)의 다원성을 옹호하지만 그 다원성에는 아무런 문제도 없다는 주장을 하더라고요.

It seems that an Aristotelian concept of second nature might well allow for an irreducible plurality of ‘second natures’: Aristotle’s ethics seems to suggest that there might be not only one second nature or one design of human rationality. The crucial question is whether McDowell’s conception of second nature would lose some of its force if we could not assume that there was just one human second nature.

(Christoph Jedan, "Nature or Natures? Notes on the Concept of Second Nature in John McDowell’s Mind and World", Reason and Nature, Marcus Willaschek (ed.), LIT Verlag, 2000, p. 72)

Jedan says that ‘an Aristotelian concept of second nature might well allow for an irreducible plurality of “second natures” ’ (72). I think he is right about this, but wrong to think the point constitutes any difficulty for me. To focus on just one of the three aspects of Aristotelian ethics he considers: certainly a vice is just as much second nature to its possessors as a virtue. So what makes a virtue a virtue – a capacity to get things right in one’s conduct – cannot be the fact that it is second nature to its possessors. What makes it a virtue must be the specific content of the way of seeing situations as calling for action that constitutes it, which is divergent from any way of seeing situations as calling for action that constitutes a vice. Just so with what I suggest we can model on an Aristotelian conception of an ethical virtue, namely knowing one’s way around in the space of reasons. (In fact we can see an ethical virtue as a special case of that: knowing one’s way around in a particular region of the space of reasons.) The point of saying that such a capacity is second nature to its possessors is not to suggest that we can exploit the fact that the capacity is natural in order to entitle ourselves to the idea that its possessors get things right. As Jedan rightly says, a second nature of just this sort can show itself equally in people’s being wrong about what is a reason for what. The point of invoking second nature is only to insist that we need not accept an opposition between the idea of responsiveness to reasons and the idea of what is natural. Such an opposition would rule out the actualizations in sensibility, natural as that must be, of capacities belonging to spontaneity, reason-involving as that must be, that are needed for my way of avoiding the dilemma I begin with.

John McDowell, "Responses", Reason and Nature, p. 108.

맥도웰의 다원주의에 대해 브라질에서 출판된 논문도 있는 것 같지만, 포르투갈어로 쓰여 있다 보니 읽을 수가 없어서 아쉬웠습니다. 여하튼 평소에 막연하게 고민하던 주제에 대해 구체적인 텍스트 근거를 찾게 되니 뭔가 반갑더라고요.

10개의 좋아요

"맥도웰이 다원성을 포용할 수 있다"라는 점에서 저는 이견이 없지만, 이 "다원성"을 과대해석하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적하신대로 인간은 문화마다 혹은 역사적 시기마다 상이한 형태의 제2의 자연을 구현하고 있지만, 맥도웰이 궁극적으로 말하고자 하는 것은 "보편적인 개념성이 다양한 문화/역사(제2의 자연)을 통해 실현된다" 라는 방향이라고 보이거든요. 즉 문화/역사의 다양성은 결국 보편적인 개념적 질서를 배경에 두는 한에서 주어지고 의미가 있는 것이죠 (헤겔 식으로 말하면, 정신이 실현되는 상이한 방식들이라고 할까요).

반대로 다원주의 내지 다원성이 하나의 프로그램으로서 실질적인 힘을 얻으려면, 상이한 문화/역사(제2의 자연)으로 말미암아 결국 급진적으로 상이한 개념적 질서을 산출해내는 반대방향이 가능해야 할텐데, 맥도웰은 데이빗슨을 따라 이것을 거부한다는 점이 제게는 꽤 명백해 보입니다. 그렇다면 결국 맥도웰이 말하는 문화적/역사적 다원성이라는 것은 인간이 보편적인 개념적 질서에 닿을 수 있는 다양하고 풍부한 경로들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찾아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이 점에서 다음 논문이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습니다: McDowell, John. "Why Does It Matter to Hegel That Geist Has a History." Hegel on Philosophy in History 16 (2017).

4개의 좋아요

그렇군요! 생각해 보니, 데이빗슨이 '도식-내용' 이분법을 거부하면서 상대주의를 비판하였고, 맥도웰이 이런 데이빗슨의 논증에 상당 부분 동의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좀 복잡해지긴 하네요. '다원주의'라는 용어를 쓰려면, 그 '다원주의'가 과연 데이빗슨과 맥도웰이 거부하는 '상대주의'와 어떻게 다른지를 해명해야 하니까요. (매킨타이어가 '도덕적 상대주의 없는 도덕적 다원주의'를 주장했던 것처럼요.)

그리고 이런 혼동 때문에 몇몇 논평자들은 실제로 맥도웰이 다원주의를 옹호하는 것으로 읽힐 수 있다는 점을 맥도웰에 대한 비판점으로 제시하기도 하네요. 위의 크리스토프 예단도 그렇고, 악셀 호네트도 " Between Hermeneutics and Hegelianism: John McDowell and the Challenge of Moral Realism"에서 비슷한 주장을 하고요. 아마도 이 논평자들은 다원주의를 상대주의의 일종으로 보고서, 다원주의를 받아들이는 것이 맥도웰에게 있어서 일종의 자기모순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아요. 또 다원주의가 맥도웰 식의 실재론을 (특히 도덕적 실재론을) 약화시킨다고 생각하는 것 같기도 하고요.

개인적으로 좀 흥미롭게 생각하는 글은, 가다머와 맥도웰의 철학 사이의 유사성을 지적하는 모르텐 타닝의 The Problem of Objectivity in Gadamer’s Hermeneutics in Light of McDowell’s Empiricism이에요. 여기서 타닝은 '세계관'과 '세계'를 분리시킬 수 없다고 강조하는 입장과 '세계관의 다원성'을 잘 결합시키고 있는 것 같아요. 다만, 타닝은 '보편적인 개념적 질서'가 미리 배경에 두어저 있다고 주장하기보다는, 우리의 세계관이 다른 사람의 세계관으로 확장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는 점, 혹은 우리의 세계관과 다른 사람의 세계관과 융합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좀 더 강조하는 것 같아요. ('미리 전제된 보편성'보다는 '보편에 이를 가능성'을 강조하면서 다원주의를 상대주의와 구분한다고 할 수 있을까요?)

McDowell makes a connection between Gadamer’s idea of the intrinsic worldinvolvement of linguistic experience and Donald Davidson’s critique of the dualism between scheme and content. Specifically, McDowell is interested in pointing out an important convergence between Gadamer’s and Davidson’s strategy to avoid relativism. As for Gadamer, McDowell emphasises that relativism is not implicated by denying that we are able to distinguish between the world itself and the topic of our world-view. On the contrary, Gadamer wants to maintain that in every worldview the existence of the world-in-itself is intended. Given the plurality of worldviews, he can only uphold this idea by saying that world-views are not irreducibly closed off from each other. Each world-view potentially contains, and therefore can be extended into, every other. The historical horizon in which we are situated is not a prison but can be extended into or fused with other horizons constituted by a different historical situatedness. McDowell writes:

Our worldview, precisely because it is, qua worldview, open to every other, has as its topic the world itself, not some supposed item constituted by just what we think. [. . .] Our worldview includes its own receptiveness to the possibility of correction, not only by efforts at improvement that are internal to our practices of inquiry but also through coming to appreciate insights of other worldviews in the course of coming to understand them.

Morten S. Thaning, The Problem of Objectivity in Gadamer's Hermeneutics in Light of McDowell's Empiricism, Cham: Springer, 2015, p. 66 my emphasis.

2개의 좋아요

말씀하신 바와 인용이 맥도웰이 의도하는 바에 부합한다고 저 역시 생각합니다.

제가 쓴 단어긴 하지만 "보편성"이라는 단어가 오해를 유발하기 딱 좋은 것 같습니다 (실제로도 맥도웰의 글에서 "universal"이라는 단어를 거의 접하지 못한 것 같습니다). "보편성"의 어감이 마치 문화/역사와 무관하게 모든 주체들에게 선험적으로 전제된 믿음/지식들의 목록을 표상시키는 것 같아서요. 그러나 사실 맥도웰이 개념적 질서를 통해 강조하는 것은, 이성적/자발적 사유가 위치하는 그러한 space of reasons가 "단일하다"에 가깝다고 생각합니다. 즉 spaces 가 아닌 one space라는 것이죠. 각기 주체들은 모두 이 space of reasons에 서서 자신들이 속해 있는 문화/역사를 비판적으로 성찰할 수 있고, 심지어 상이한 논리적 체계들 역시 "우리"에 의해 이성적으로 분석/비교되는 한에서 모두 동일한 space of reasons에 놓인다고 할 수 있겠죠.

반대로, 문화/역사와 무관하게 모든 주체들이 동의해야 하는 보편적 믿음/지식들의 목록을 강조하는 이들은, 객관성이 주관성과 독립적으로 존재한다는 형이상학적 실재론 및 소여의 신화에 빠져있다고 맥도웰이 비판하는 이들입니다. 그리고 이 점에서 호네트의 비판은 여전히 (실천적 맥락에서의) 형이상학적 실재론과 그러한 "보편성"의 신화에 빠져있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이들은 단일한 space of reasons가 있다면, 당연히 그에 상응하는 단일한 목록의 믿음/지식들이 주어져야 한다고 생각하며 (따라서 맥도웰의 개념주의와 그의 다원주의는 양립불가능하다고 생각하며), 반대로 단일한 space of reasons에서 주어진 (특히 실천적) 이유들이 다양한 삶의 형식과 결합가능하다는 주장으로부터 불안감을 느끼고 성급하게 이것을 상대주의라고 규정하는 거죠. 주체들이 다른 세계관들과 마주하는 해석의 과정 속에서 주체들이 공유하는 삶의 형식들이 확장되고 이를 통해 "보편에 이를 가능성"이 오히려 열리게 되는 것인데 말이에요.

2개의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