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쩌다보니 논리학 교재를 소개하는 글을 쓰게 됐습니다. 사실 이전에 이 게시판에 "논리학 교재 소개글을 올려야겠다!" 하고 이것저것 정리해보던 중에 제 깜냥으론 제대로 된 비교가 아니라 인상비평에 그칠 것 같아 정리하던 원고를 지워버렸던 적이 있습니다. 지금도 이렇게 몇 가지 열거하는 게 공부하려는 분들께 도움이 될까 하는 생각이 들지만, 필요하신 분이 계시다면 이 정도의 정보라도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우선 소개글에 앞서 몇 가지를 밝히고자 합니다.
(1) 저도 논리학을 잘 모릅니다. 그리고 무슨 책이 좋은지는 더더욱 잘 모릅니다. 저도 좋다고 하는 책들을 중심으로 이것저것 뒤적이다가 정착한 입장이라 아래에서 소개해드리는 책은 단순히 제가 공부하고 있고, 어디서 주워들은 정보들에 따라 선정되었습니다. 여담으로 모 교수님께서는 국내외 저작 중에 논리학 교재로 충실하다고 할 만한 게 거의 없다고 하시기도 하셨다죠..
(2) 앞에서 밝힌 바에 따라 내용의 엄밀성이나 포괄성 등을 평가하기에는 리뷰어의 역량이 부족하다는 점 양해해주시기 바랍니다.
(3) 아래에서 다루는 책들은 대부분 아리스토텔레스 논리학(전통 논리학)은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제 의견이고 아마 다수가 동의하는 생각일 텐데, 현대논리학이 체계적이고 강력하게 자리잡은 이 시점에서 논리학을 배우는 입장에서 전통 논리학이 딱히 필요하다고 보긴 어렵기 때문입니다. 만일 굳이 봐야할 필요가 있다면, Irving Copi <논리학 입문> 앞부분, 혹은 아래에서 소개될 이병덕 교수님의 책 일부분을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기초~중급단계》
-최원배, [논리적 사고의 기초]
-이병덕, [코어 논리학](舊 [논리적 추론과 증명])
: 국내 저자들 책 중에 비교적 최근에 출간되었고 알려진 책들입니다.
두 책 모두 논리학의 기초부터 시작하기에는 특별히 무리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처음 논리학 책을 본 것이 이병덕 교수님 책의 구판이었고, 나름 재밌게 봤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만, 목적이 어떤 것이냐에 따라 추천방향이 달라질 것 같습니다. 간단히 말해 자세하고 깊이 있는 설명을 원하시면 최원배 선생님 저서가, 흥미를 잃지 않고 컴팩트하게 논리학의 핵심적인 요소들을 습득하길 원하시면 이병덕 선생님 저서가 목적에 맞을 것 같습니다. 제가 대략 읽어보기론 두 저서는 학부 논리학의 복병인 조건문을 설명하는 방식, 자연연역의 시스템, 양화사에 대한 설명 등에서 조금씩 차이가 보였는데 앞서의 거시적인 비교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두 책 모두 연습문제 해답이 충실하게 실려 있습니다.
-Irving Copi, [Symbolic Logic]
: 자연연역 파트가 가장 직관적이고 편리한 시스템으로 되어 있습니다. 몇몇 연습문제에 대해 답이 있습니다. 저는 학부 전공 논리학 시험의 자연연역 문제 대비를 하면서 이 책에 있는 연습문제를 거의 다 건드려본 것 같습니다. 그만큼 연습문제 양도 많고 난이도도 그렇게 어렵지 않습니다. 가독성은 좀 답답한 구성입니다. 가장 큰 단점은, 절판이라는 점이죠..
-Volker Halbach, [The Logic Manual]
: 이 책은 저는 잘 모르는 책인데, 주변 지인이 괜찮다고 말해서 하나 적어봅니다.
-Graham Priest, [Logic]
-Wesley Salmon, [Logic]
: 짧은 책들입니다. 전자는 "A Very Short Introduction" 시리즈로 나온 책이고, 후자는 "Prentice-Hall" 시리즈로 나온 책입니다.(아마 절판?) 논리학 교재로 쓰기보단 기초적인 내용을 훑어보기에 좋은 것 같습니다.
-벤슨 메이츠, [기호 논리학]
: 매우 잘 알려진 교재죠. 학부 논리학 수업에서 이 책을 교재로 쓰는 곳이 꽤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장점이라면 널리 쓰이는 교재라는 것 자체가 하나의 장점인 것 같습니다. 다루는 범위도 기초 논리학 치고는 꽤 많은 것 같구요. 하지만 초심자 교재로 독학하기에는 내용이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연습문제 답도 없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아래에 나오는 고급 논리학 교재인 Boolos와는 양화사 해석이나 전체적인 구성면에서 약간 차이가 있습니다.
-Ted Sider, [Logic for Philosophy]
: 말 그대로 철학에서 많이 쓰이는 논리학을 중심으로 핵심만 뽑아 체계를 정리한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책은 그렇게 두껍지 않은데 필요한 내용은 어지간하면 다 있습니다. 계산적인 맛은 좀 떨어지는데 연습문제가 많지 않아서 부담은 덜한 편입니다. 보통 논리학 책에 잘 포함되지 않는 반사실적 조건문에 대한 논리체계(루이스-스톨네이커)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 외, 양상논리, 직관주의 논리, 이차원 의미론 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나는 논리학을 그렇게 빡세게 하고 싶은 생각은 없는데 이런저런 논리학이 어떻게 생겨먹었는지는 궁금하다!" 하시면 읽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고급 교재 / 철학적 논리학》
-Boolos, Jeffrey, Burgess, [Computability and Logic] / 계산가능성과 논리
: 아마 철학자들이 쓴 책으로는 가장 advanced level이 아닌가 싶습니다. 수리논리 교재로 유명한 Enderton 같은 책들은 수학자들이 쓴 거라 읽다보면 약간 괴리감이 느껴지거든요. 제가 느끼기에 같은 일차술어논리와 그 메타논리를 다루더라도 수학자들이 다룰 때와 철학자들이 다룰 때 전달되는 방식이 약간 다른 게 있는 것 같습니다.(철학자들이 약간 더 일반적인 문장들을 염두에 두는 느낌?) 무한집합과 칸토어의 정리부터 1차 술어 논리에 대한 엄밀한 메타논리적 논의, 튜링-계산가능성, 재귀함수, 괴델 정리 등등을 다룹니다. 답지가 따로 있긴 한데, 출판사 홈페이지에서 강사만 받을 수 있도록 잠금이 걸려있고, 학생용 매뉴얼에는 몇몇 연습문제에 대한 힌트가 있습니다.
지금 혼자 공부하는 책 중 하난데, 할 때마다 두뇌의 한계를 경험하고 있습니다.
-Hughes, Cresswell, [A New Introduction to Modal Logic]
: 양상논리를 다루는 교재 중에 가장 대표적인 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후반부는 약간 연구서의 성격도 있다고 합니다. 그래도 중반부까지는 공통되는 내용을 충실하게 다루고 있어 이 책을 소화하면 양상논리를 다루는 담론의 기초를 다지기엔 충분하다고들 하더라구요. 양상 연산자를 "□", "◇"를 쓰지 않고 "L", "M"으로 쓰는게 특징입니다.
그 외에 철학적 논리학/논리철학과 관련해서 제가 본 책은
-A.C. Grayling, [Philosophical Logic] (번역본 [철학적 논리학])
-Susan Haack, [Philosophy of Logics]
-W.V.O. Quine, [Philosophy of Logic]
등이 있습니다. [철학적 논리학]은 내용면에서는 참 알찬 거 같은데 번역 상태가 좀 난감합니다. 오탈자도 많고, 오역도 종종 있는 것 같습니다.
더 좋은 책들도 있을 것입니다. 이들 저서들 중 흥미에 맞지 않는 책들은 있겠지만, 적어도 시중에 양산되는 시험대비 논리학 같은 것들보다는 훨씬 엄밀하고 정확한 지식을 담고 있으니 그 정도에선 믿고 보셔도 될 것 같습니다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