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자유의지 과제로 낸 페이퍼입니다. 철학사랑 현대철학을 엮어보려는 시도를 했는데, 어떤 평을 받을지는 모르겠네요.
+) 아 참고로 제목은 Emery - Actualism without Presentism? Not by way of the Relativity Objection 에서 따왔습니다.
이번에 자유의지 과제로 낸 페이퍼입니다. 철학사랑 현대철학을 엮어보려는 시도를 했는데, 어떤 평을 받을지는 모르겠네요.
+) 아 참고로 제목은 Emery - Actualism without Presentism? Not by way of the Relativity Objection 에서 따왔습니다.
만약 프랑스어를 할 수 있는 사람이 특정 상황에서 실제로 프랑스어 실력을 발휘하는 데에 ‘무의식’ 따위의 신체적 (내지는 non-cognitive) 요인이 중심적으로 작동한다면 이 이론은 어떻게 되나요?
틱 같은 걸까요? 이 부분은 역시 스피노자 다루는 섹션에서 변호가 어느 정도 가능할 것 같습니다. 애초에 틱이 생긴 이유가 환경 변화에 의해 생겼다던가, 틱이 발현되는 이유가 특정 환경 변화에 의한 것이다... 이런 쪽으로 할 수 있겠네요. 물론 정확히 어떤 게 답이 될지는 틱 연구에 대해 봐야 알겠지만요. 비슷한 예로 https://www.youtube.com/watch?v=koNwUeG-iKE&ab_channel=DavidBotran
이런 게 있겠네요. 특히 침묵을 무서워하시는 분은 시끄러운 곳에 있다가 조용해지면 소리를 치시지요.
모든 행동들의 기저에 욕망이니 무의식이니 하는 비인지적 요인이 있다고 간주하는 (가상의?) 정신분석학자를 생각하고 말한 거긴 했습니다. 프로이디언의 관점이 맞다면 자유의지나 심신인과의 문제가 간단히 해소되는 걸까? 하는 질문이 종종 들곤 하네요.
정신분석학이 요즘 시대에 얼마나 진지하게 받아들여질진 모르겠지만, 프로이드에서도 충분히 그런 모습들이 많이 보이지요 (프로이드는 쇼펜하우어/쉘링을 많이 읽었고, 실제로 쇼펜하우어 쉘링 둘 다 스피노자 빠였으니 (쇼펜하우와 스피노자의 연결점은 저 페이퍼에서 언급하지요) 이상할 건 없지요.). 애초에 특정 무의식적 갈망을 형성하는데 있어서 외부 요인이 크게 작용하니깐요. 예를 들어 프로이드가 도라의 정신상담을 하면서 도라의 성적 욕망 대상이 프로이드에게 transfer됐다던가 하는 것들이요.
어떤 긴 나눗셈을 머릿속으로 계산할 때, 이것은 철저하게 능력의 관점에서 바라봐야 할 것입니다. 우선적으로, 나눗셈을 할 수 있는 기본적인 지식적 측면에서의 능력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것이죠. 비슷하게, 어떤 난해한 글을 읽을 때, 그에 관련된 이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능력이 있어야 합니다. 즉, 그런 글을 읽기 전에, 나에게 그런 글을 읽을 능력이 전제되어야 합니다. 성향만 가지고 있어서는 불가능하다는 것이죠. 다른 예로, 어떤 사람이 밖에 나가 술을 마시러 가는 의도를 형성한다고 가정해 본다면, 이런 의도의 형성은 성향적인 개념인 것 같습니다. 특별히 내가 밖에 나가 술을 마시러 가는 의도를 형성하는데, 능력이 요구되는 것은 아닌 것 같습니다. 단순하게 우리는 성향만으로 이런 의도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런 점에서 “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볼 때, 능력은 보다 복합적이고 성향은 단순한 개념인 것 같습니다. 달리 말해, “할 수 있다”는 관점을 능력과 성향에 다르게 적용해야 한다는 의미입니다.
제가 페이퍼에서 강조하지만, 비벨린은 Ability to X/Disposition to X가 아닌 Ability to choose to X/Disposition to choose to X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예시들은 모두 전자에 초점이 맞춰져있습니다.
그러니깐 이 역시 관련없는 얘기입니다.
아, 죄송합니다, 허튼 소리를 했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