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학은 본질적으로 실천적 학문이다. 따라서 어느 시대든 유학은 사회적 위기와 마주했을 때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그러나 현대의 유학은 두 가지 위기를 동시에 마주하고 있다. 외부적으로는 혐오와 대립이 심화와 도덕적 방향성 상실이라는 범세계적인 위기가 있고 내부적으로는 대중들의 무관심과 시대에 뒤떨어진 학문이라는 의심에 의한 존립의 위기가 있다. 외부적인 위기는 어느 시대든 그 내용은 바뀌어왔어도 항상 존재해왔으나, 오랜 기간 동안 동아시아의 정통 이데올로기로서 자리매김 했었던 유학으로서 후자의 위기는 비교적 낯설고 위급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사실 이와 같은 존립의 위기는 완전히 새로운 것이 아니다. 특히 우리는 성리학이 태동하였던 송나라시기에 주희가 겪었던 정치적, 학문적 탄압을 잘 알고 있다. 주희의 학문은 정치권력과 비대칭적인 위치에 놓여있었으나, 결국 유학의 정통으로 청나라 멸망 이전까지, 적어도 공식적으로, 인정받는다. 어떻게 이런 비대칭의 극복이 가능했는지 살펴보면, 우리는 유학이 겪고 있는 내부적 위기를 극복하는 것과 사회적 문제 등 외부적 위기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서로 완전히 다른 문제가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나 여전히 남아있는 중요한 질문은 “어떻게?”이다. 유학은 현대적 문제를 다룸에 있어 어떤 구체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까?
내가 볼 때, 자유 민주주의 사회가 마주하고 있는 가장 긴급한 문제 중 하나는, 이 세계 안에 “개소리”가 만연하다는 것이다. 미국의 철학자 해리 프랑크퍼트는 사실과 관련 없는, 즉 진실의 판에서 완전히 벗어나버린 개소리의 활발한 유통을 지적한다. 거짓말은 진실과 반대되는 말을 하는 것이지만, 개소리는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진실과 관련 없이 그럴싸한 말을 던지는 것이다. 프랑크퍼트에 따르면, 민주주의 사회에서 거짓말보다 더 해로운 것이 바로 이 개소리이다. 거짓말은 적어도 남을 속이기 위해 진실을 감추기 위해 노력이라도 하지만, 개소리는 진실 자체를 무가치한 것으로 만들어버린다. 무엇이 진실인지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진실로 여기는 것이 더 중요하게 될 때, 무엇보다 감정의 호소가 진실을 호도할 때, 우리는 사회가 나아가야 할 올바른 방향에 대한 토대를 잃어버리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길 잃음은 21세기에 우리가 겪고 있는 실제적인 위기이다. 성별, 인종, 국가, 세대, 이데올로기 간의 혐오가 만연하고, 각 집단 간의 대립이 심화되고 있으며,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토대들, 즉 사실에 대한 존중과 민주적 숙고들이 무시되고 있다.
이런 개소리들의 배양의 이면에는 합리성에 대한 회의, 그리고 도덕이란 본능적인 감정들의 상호작용에 불과하다는 데이비스 흄 이래로의 도덕 감정론의 전통이 깔려있다. 하버마스의 영향을 받은 조지프 히스 등의 새로운 계몽주의자들은 이런 문제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우리가 다시 합리성으로 돌아가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내가 볼 때 이것만이 우리가 나아갈 수 있는 길은 아니다. 우리는 감정과 이성의 이분법이 아닌 제 3의 길을 유학으로부터 발견할 수 있다.
유학에서 감정은 도덕적 행위를 구성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그러나 흄의 도덕 감정론과 달리, 유학에서의 감정은 인간의 도덕적 본성을 반영함으로써 선의 가능성을 고유하게 가진다. 그렇다고 해서 유학의 도덕적 시스템이 개인의 감정적 반응 위에만 정초되어있다고 할 수는 없다. 주희에 따르면, 유학은 감정의 방향을 결정하는 이성(意)의 역할을 긍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 이성은 서양에서의 이성과 달리 역사적인 것이다. 리쩌허우는 유학에서의 이성이 형이상학적인 절대적 기준이 아니라, 감정에 기반한 것으로서 삶 안에서 완성되어 가는 것이다. 따라서 평상시의 수양을 통해 심적 토대를 마련해야만 이 이성을 제대로 발휘할 수 있다. 이로써 유학은 감정과 이성 사이의 존재론적인 이분법을 극복함과 동시에, 감정과 이성의 적절한 발휘를 위한 공부의 역할을 역설한다. 즉, 근대 합리론과 달리, 도덕에 있어서의 감정의 역할은 여전히 긍정하면서도, 감정의 무절제를 통제할 이론적 장치를 갖추고 있는 것이다.
물론 전통적인 유학으로의 회귀가 현대 사회의 문제들, 특히 도덕 감정론이 초래한 위기들을 해결하는 현실적인 방안이 아닐 것이다. 전통적 유학으로 회귀는 유학이 그 역사 안에서 발전시켜왔던 전근대적 특징들에 대한 필연적인 긍정을 불러오고 이것은 이론적으로 민주주의와 자유주의와 양립할 수 없다. 그러나 21세기 혐오와 대립이라는 감정적 충돌을 위기로서 겪고 있는 현대의 윤리학에게, 합리성도 도덕 감정론도 아닌 새로운 윤리체계가 요청되고 있다는 사실은 유학에 어떠한 가능성을 기대하게 만든다.
우리는 유학이 제시하고 있는, 또한 오랜 기간 동안 치열하게 발전시켜왔던, 인간 심성론에 주목함으로써 도덕 감정에 대한 이해를 시도해야 한다. 이때 전통적인 이해를 그대로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분야의 학문들의 성과들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기존의 이해를 수정하여야 발전이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이런 발전을 바탕으로, 사회에 만연한 개소리에 대응해야 한다. 그리고 더 나아가 기존의 도덕 감정론이 가지고 있는 한계를 극복해낼 수 있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대응은 합리성에 대한 일방적 의존이 아니라, 인간 본성과 감정에 대한 고려에 입각한 합리성의 활용의 형태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고정 불변하는 형이상학적 기준으로서의 이성이 아니라, 인간의 심성적 토대와 함께 성장하는 이성을 발견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유학은 스스로를 재규정해나가며 전반적으로 변화해나가야 한다. 그리고 오직 그럴 때에, 역설적으로, 유학은 외부에 놓여있는 사회적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는 자신의 본분에 충실할 수 있을 것이고, 이로써 존립의 위기라는 내부적 위기에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것이 혹시 성공적이라면, 그때에 천명과 도통을 다시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